Advanced Reading Expert 2 [2020] - U01-U16
624 카드 | netutor
세트공유
Aggression is a term used to describe behavior that is generally designed to cause physical or psychological damage.
공격성은 대체적으로 신체적 또는 심리적인 손상을 야기하려고 만들어진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다.
It can be aimed at oneself, at others or even at objects.
그것은 자신 및 타인을 향할 수도 있고, 심지어 사물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Although some experts think a tendency toward aggression has primarily genetic causes, others believe that social influences play a larger role.
몇몇 전문가들은 공격적인 성향이 주로 유전적인 원인 때문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전문가들은 사회적인 영향이 더 큰 역할을 한다고 믿는다.
In the 1960s, an American psychologist named Albert Bandura conducted an experiment to learn more about the causes of aggression.
1960년대에 미국인 심리학자 Albert Bandura는 공격성의 원인에 대해 더 알아보고자 실험을 했다.
He started with a plastic clown filled with air, called a Bobo doll.
그는 보보 인형이라고 불리는 공기가 채워진 플라스틱 광대를 가지고 시작했다.
The experiment’s subjects,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three and six, were all shown a video of an adult attacking the Bobo doll, hitting it and yelling at it.
실험 대상인 3세에서 6세의 어린이들에게 보보 인형을 공격하고, 때리고, 소리를 지르는 어른이 나오는 영상을 보여 줬다.
Afterwards,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이후에 어린이들은 세 조로 나뉘었다.
The first group was shown the adult in the video being punished, the second group was shown the same adult being rewarded, and the third group wasn’t shown anything at all.
첫 번째 조에게는 영상에 나왔던 어른이 벌을 받는 것을 보여줬고, 두 번째 조에게는 같은 어른이 보상을 받는 것을 보여줬으며, 세 번째 조에게는 아무것도 보여주지 않았다.
The second stage of the experiment involved leaving the children alone with the Bobo doll, one by one.
실험의 2단계에서는 어린이들을 한 명씩 보보 인형하고만 남도록 했다.
Their behavior was then carefully observed.
그리고 아이들의 행동은 주의 깊게 관찰되었다.
Although all three groups displayed aggressive behavior, the children who saw the adult being rewarded displayed the most aggression toward the doll, while those who saw the adult being punished showed the least amount of aggression.
세 조의 아이들 모두 공격적인 행동을 보였지만, 보상을 받은 어른의 모습을 본 아이들이 인형을 향해 가장 공격적인 모습을 보였고, 반면 벌을 받은 어른의 모습을 본 아이들은 가장 낮은 공격성을 보였다.
Based on this experiment, Bandura proposed a theory which basically states that children can indirectly learn from watching the actions of others.
이 실험을 바탕으로 Bandura는 아이들이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보면서 간접적으로 배운다는 것을 기본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을 제시했다.
Scientists had already known that the behavior of children can be easily influenced through a system of punishment and reward.
과학자들은 이미 처벌과 보상 체계를 통해 아이들의 행동이 쉽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But Bandura’s experiment was the first to clearly show that their behavior could also be shaped simply by seeing someone else being punished or rewarded for certain behavior.
하지만 Bandura의 실험은 어떤 행동에 대해 처벌을 받거나 보상을 받는 누군가를 보는 것만으로 아이들의 행동이 형성됨을 최초로 분명하게 보여준 것이었다.
This had a great impact on psychologists’ views on how much of an influence media can have on kids.
이는 대중 매체가 아이들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치는지에 관한 심리학자들의 관점에 큰 영향을 끼쳤다.
Today it is largely accepted that viewing large amounts of violence in movies and on television can cause children to become violent themselves.
오늘날 영화나 텔레비전에서 많은 양의 폭력을 보는 것이 아이들 스스로를 폭력적으로 변하게 한다는 점이 폭넓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Thanks to Bandura and his Bobo doll, modern psychologists are now able to better understand some of the causes behind aggression in children.
Bandura와 그의 보보 인형 덕분에 현대 심리학자들은 아이들의 폭력성 이면에 있는 몇 가지 원인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And parents and teachers can use this information to help reduce youth violence.
부모와 선생님들도 어린이 폭력을 줄이는 데 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Although it is difficult to prevent children from watching violent movies or playing violent games, it is important to explain to them that this violence is exaggerated, unrealistic, and immoral.
어린이들이 폭력적인 영화를 보거나 폭력적인 게임을 하는 것을 막기는 힘들지만, 그 폭력이 과장된 것이고, 비현실적이며, 부도덕하다는 것을 그들에게 설명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Furthermore, when children use violence to deal with problems, they should be taught that there are always non-violent solutions.
또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이들이 폭력을 사용할 때, 언제나 비폭력적인 해결책이 있다는 것을 그들에게 가르쳐줘야 한다.
During World War I, doctors noticed that some soldiers exhibited peculiar behavior, including giddiness, irritability, and excessive tiredness.
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의사들은 일부 군인들이 현기증, 조급증, 과도한 피로를 포함한 이상 행동을 보인다는 것을 알아냈다.
The cause was not physical but psychological, and the phenomenon became known as “shell shock.”
그 이유는 신체적인 것이 아니라 심리적인 것이었고, 이 현상은 ‘탄환 충격’이라고 알려지게 되었다.
The soldiers were mentally affected by the horrible conditions they experienced.
군인들은 그들이 경험한 끔찍한 상황에 정신적으로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Today we understand that all people, not only soldiers, are susceptible to this form of mental illness, which is now called psychological trauma.
오늘날 우리는 군인들뿐 아니라 모든 사람이 지금은 심리적 외상성 장애라고 불리는 이러한 형태의 정신 질환에 걸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Anyone who experiences an event that psychologically overwhelms them — and is unable to take this experience as a part of their everyday life — will succumb to this mental illness.
누구든 심리적으로 그들을 압도하는 사건을 경험하고 이런 경험을 일상 생활의 일부로 받아들일 수 없는 사람은 이런 정신 질환에 굴복하게 된다.
What are some common causes of trauma?
이 외상성 장애의 몇 가지 공통된 원인은 무엇인가?
It can result from any of the following experiences:
그것은 다음의 어떤 경험으로부터도 발생할 수 있다.
surviving a natural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or flood; falling victim to a physical assault; or witnessing, or being directly involved in, a serious accident such as a car or train crash.
지진이나 홍수와 같은 자연 재해로부터 살아 남는 것, 신체적인 폭행의 피해자가 되는 것, 또는 자동차나 기차 충돌과 같은 심각한 사고를 목격하거나 그 사고에 직접 연루되는 것이다.
A patient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trauma may display any of the following symptoms.
심리적 외상성 장애로 고통받는 환자는 다음과 같은 증상들을 보일 수 있다.
Their eating habits are altered, so they eat more or less than usual, and they may sleep for longer or shorter periods of time than usual.
식습관이 바뀌어서 평소보다 더 많이 먹거나 더 적게 먹고, 평소보다 더 오래 자거나 더 짧게 잘 수도 있다.
They also tend to exhibit lower energy levels and may also complain of chronic pain, the source of which cannot be identified.
그들은 또한 기운이 없는 경향이 있고 원인을 알 수 없는 만성적인 통증을 호소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y may display unusual emotional traits such as spontaneous crying, panic attacks, emotional numbness, and a heightened degree of irritability.
또한 그들은 느닷없는 울음, 공황 발작, 심리적 마비상태, 조급증의 극대화 등 특이한 정서적 특징들을 나타낼 수 있다.
You might also notice that they withdraw from those close to them, have trouble with decision making, and display lapses in memory.
당신은 그들이 자신과 가까운 사람들에게서 멀어지고,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으며, 기억에 착오가 생기는 것을 알아채게 될지도 모른다.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trauma are so devastating because they may make it impossible for the sufferer to function normally under any situation.
심리적 외상성 장애의 영향은 매우 파괴적인데, 이는 그것이 환자들로 하여금 어떤 상황에서도 정상적으로 활동할 수 없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not only hard on the patient but also for those loved ones around him or her.
이는 환자뿐 아니라 그들 주변의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도 힘든 일이다.
In other cases, the consequences of psychological trauma may only become apparent during stressful situations.
또 다른 경우, 심리적 외상성 장애의 영향은 스트레스가 심한 상황에서만 뚜렷하게 나타날 수도 있다.
One puzzling aspect of this ailment is that symptoms may not first appear until years after the actual traumatic event.
이 질병의 한 가지 혼란스러운 면은 실질적인 외상성 사건이 발생한 지 몇 년이 지나서야 비로소 처음으로 증상이 나타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How can psychological trauma be treated?
심리적 외상성 장애는 어떻게 치료될 수 있을까?
ual’s response to it.
외상성 사건의 심각성 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한 개인의 반응에 기반한 전문적인 치료가 요구될 수 있다.
This could involve one-on-one counseling sessions with a trained psychologist or taking part in a local support group.
이것은 훈련된 심리학자와의 일대일 상담 치료나 지역의 치료 모임에 참여하는 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It is important for sufferers to try to establish regular routines and maintain a healthy diet.
환자들이 규칙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Most importantly, perhaps, people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trauma need to realize that it will take time to heal from the event and allow themselves the necessary time to recover.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심리적 외상성 장애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그 사건으로부터 치유되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스스로에게 회복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허락할 필요가 있다는 점일 것이다.
Our bodies are made up of trillions of tiny cells, the building blocks of life as we know it.
우리 몸은 우리가 알고 있듯이 생명의 기반인 수조 개의 작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So the death of our cells would seem to be a harmful event.
따라서 세포의 죽음은 해로운 일로 보일지도 모른다.
However, scientists have discovered that as many as 100,000 cells die in the human body every second as the result of a natural, carefully controlled process known as “apoptosis.”
그러나 과학자들은 ‘apoptosis’라고 알려진 자연적이고 세밀하게 통제되는 과정의 결과로서 인체 내에서 초당 십만 개나 되는 세포가 죽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This term is taken from Greek words meaning “falling or dropping off,” indicating that, just like the leaves that fall from trees every autumn, the controlled death, or suicide, of cells is an essential part of our life cycle.
이 용어는 ‘떨어지거나 쇠퇴하는 것’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따온 것으로, 가을마다 나무에서 잎들이 떨어지는 것과 같이 세포의 통제된 죽음 혹은 자살이 우리 생애 주기의 필수적인 부분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But how is apoptosis regulated?
그런데 어떻게 apoptosis는 통제되는 것일까?
It has been determined that cells are prompted to undergo apoptosis in response to signals originating both outside and within the cell itself.
세포는 세포 외부와 세포 자체 내 양쪽에서 생기는 신호에 반응하여 apoptosis 과정을 거치도록 자극을 받는다는 것이 확실시되어 왔다.
For example, when a cell becomes damaged in some way, the body can send out substances to the cell that instruct it to begin apoptosis.
예를 들어, 세포가 어떤 방식으로 손상을 입으면 신체는 그 세포에게 apoptosis를 시작하라는 명령을 하는 물질을 내보낼 수 있다.
Alternatively, if a cell experiences certain types of stress, such as those caused by viruses or radiation, it may initiate changes in itself that cause it to enter the death process.
또 다른 방법으로는 세포가 바이러스나 방사선에 의해 야기되는 것과 같은 특정 종류의 스트레스를 겪으면, 그것은 스스로 죽음의 과정에 들어가도록 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다.
However, a cell does not have to be damaged or stressed to be selectively eliminated.
그러나 세포가 선택적으로 제거되기 위해 꼭 손상이나 스트레스를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Extraordinary numbers of cells must die simply to allow the human body to develop naturally.
놀랄만한 수의 세포들이 단지 인체의 자연스러운 발달을 위해 죽게끔 되어있다.
Consider the formation of your fingers.
당신 손가락이 생겨난 과정을 생각해 보라.
In the womb, they emerge connected to each other, much like a duck’s webbed foot.
자궁 안에서 그것들은 오리의 물갈퀴 달린 발과 아주 흡사하게 서로 연결된 형태로 나타난다.
Then, it is the apoptosis of the cells contained in the webbing that allows the fingers to separate into individual digits.
그 후에, 손가락들이 개별적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은 바로 물갈퀴에 있던 세포의 apoptosis 때문이다.
With this information, we can see that the human body maintains a very delicate balance between cell creation and cell destruction.
이 사실로 우리는 인체가 세포의 생성과 파괴 사이에서 매우 섬세한 균형을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When this balance is disrupted, the result can be a potentially fatal health condition.
이 균형이 깨졌을 때, 그 결과는 건강 상태에 잠재적으로 치명적일 수 있다.
Cancer is a disease in which too little apoptosis occurs because cells are corrupted in ways that make them resistant to the natural death process.
암은 apoptosis가 너무 적게 일어나는 병인데, 암세포가 자연사 과정에 저항하는 식으로 오염되기 때문이다.
These cancerous cells can continue multiplying until destructive tumors are created.
이러한 암세포는 치명적인 종양이 생길 때까지 계속 증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Parkinson’s and Alzheimer’s can arise if cells are undergoing too much apoptosis.
반면에, 세포가 apoptosis를 너무 많이 겪게 되면, 파킨슨병이나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With the process of apoptosis playing such a vital role in human health, it is no surprise that researchers are continuously studying it.
인체에서 apoptosis 과정이 이처럼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그것을 연구하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If we can learn how to artificially control the apoptosis of cells in our bodies, it could lead to treatments for many life-threatening illnesses.
우리가 인체에서 인위적으로 세포의 apoptosis를 조정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면, 생명을 위협하는 많은 병들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다.
Inspired by a curiosity concerning biological evolution and species change, many 19th century scientists developed theories of evolution.
생물학적인 진화와 종의 변화에 관한 호기심에서 영감을 얻어, 많은 19세기의 과학자들은 진화론을 전개했다.
Among them, Charles Darwin formulated his theory of natural selection:
그들 중에서 찰스 다윈은 자신의 자연선택 이론을 체계화했다.
A species passes on the traits that have allowed it to survive the threats of nature, and in doing so, it both propagates and transforms itself.
종은 자연의 위협에서 자신의 생존을 가능케 한 형질을 전하는데, 그렇게 해서 그 종은 번식하고 형질 변환을 일으킨다.
It has become one of the great intellectual revolutions of human history, drastically changing our perceptions of the world.
그 이론은 인류 역사의 가장 위대한 지적 혁명 중의 하나가 되었으며,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급격하게 변화시켰다.
Darwin’s theory is based on research he conducted in the Galapagos Islands off the west coast of South America.
다윈의 이론은 남미의 서해안에 있는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그가 실행한 연구에 근거를 둔다.
While there, he observed 13 species of a bird called the finch.
거기 있는 동안 그는 핀치라는 새 13종을 관찰했다.
The beak in each species was a different size and shape, and Darwin inferred that the differences were relative to the available food sources in the islands’ different environments.
각 종의 부리는 크기와 모양이 달랐는데, 다윈은 그 차이가 섬의 각기 다른 환경에서 구할 수 있는 식량원과 관련되어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If the nectar from flowers was the main source of food on one island, finches with long beaks would thrive there.
꽃의 꿀이 섬에 있는 주 식량원이라면, 거기에서는 부리가 긴 핀치가 번성할 것이다.
Similarly, those with beaks better suited for eating cactus could get more food on arid islands and so were more likely to survive there.
마찬가지로 선인장을 먹기에 적당한 부리를 가진 것들은 메마른 섬에서 식량을 더 많이 구할 수 있을 것이고, 그래서 거기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더 높다.
Darwin concluded that the 13 species had adapted to their different environments.
다윈은 13종이 각기 다른 환경에 적응해왔던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Based on his observations, Darwin theorized that each species originates from a common ancestor but consists of individuals that are all slight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그의 관찰에 근거하여, 다윈은 모든 종은 공통된 조상에서 생겨나지만, 한 종은 모두 조금씩 서로 다른 개체로 이루어진다는 이론을 세웠다.
Over time, populations split into different species.
오랜 세월에 걸쳐 개체군은 여러 종으로 나누어졌다.
The ones that survive in a given environment have been naturally “selected” because of a beneficial trait, which the following generation inherits.
주어진 환경에서 살아남은 것들은 유리한 형질 때문에 자연스럽게 ‘선택’되었는데, 그 형질은 다음 세대로 유전된다.
In other words, nature chooses the varieties that are best adapted to survive and to reproduce.
다시 말해서, 자연은 가장 잘 적응하여 생존하고 번식한 변종들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Evolution is a slow process; it takes several generations for the species to fully adopt the trait.
진화는 느린 과정이며, 종이 완전히 형질을 받아들이기까지는 몇 세기가 걸린다.
After Darwin formulated his theory, an actual example of evolution was documented in industrialized England.
다윈이 그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나타낸 후에, 진화의 실제적인 예가 공업화된 영국에서 자세히 기록되었다.
In the first part of the 19th century near London, light-colored moths were much more abundant than dark moths.
19세기 전반 런던 부근에는 밝은 색 나방이 어두운 색 나방보다 훨씬 많았다.
When industrial waste from coal-powered factories darkened tree trunks, the dark moths were better camouflaged against the tree bark, which hid them from birds.
석탄을 동력으로 하는 공장들에서 나온 산업폐기물에 의해 나무 줄기의 색이 어둡게 되었을 때, 어두운 색 나방은 그 나무 줄기에 더 잘 가려졌고 새들의 눈에 뜨이지 않게 되었다.
This trait allowed the moths to live longer and reproduce more and was inherited by their offspring until the dark-colored moth became the dominant species.
이런 형질 때문에 어두운 색 나방은 더 오래 살아 더 많이 번식하게 되었고, 후손에게 유전되어 어두운 색 나방이 우성 종이 되었다.
This whole evolutionary process took place within a century.
이 모든 진화 과정은 한 세기 안에 일어났다.
Darwin published On the Origin of Species in 1859 and included detailed descriptions supporting his ideas.
다윈은 1859년에 <종의 기원 >을 발표했고, 그 책에는 그의 생각을 뒷받침해주는 자세한 설명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The theory of evolution was contentious at first, but Darwin’s concepts have become widely accepted and have changed the way people view biology, genetics, and history.
진화론은 처음에는 논쟁을 불러일으켰지만, 다윈의 개념들은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져서 사람들이 생물학, 유전학, 그리고 역사를 보는 방식을 변화시켰다.
Now it is considered one of the cornerstones of modern science.
이제 그것은 현대 과학의 초석들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When an aircraft encounters turbulence, the bouncing and shaking that results can cause passengers to experience some unwelcome familiar feelings: dizziness and an upset stomach, followed by a wave of nausea.
항공기가 난기류를 만나면 그 결과로 생기는 흔들림과 떨림 때문에 탑승객들은 약간의 반갑지 않은 익숙한 느낌을 받는다. 메스꺼움의 고조에 이어지는 어지러움과 배탈이 그것이다.
Unpleasant as it may be, motion sickness is a normal bodily reaction experienced by millions of people.
불쾌할지는 몰라도 멀미는 수백만의 사람들이 겪는 정상적인 신체 반응이다.
Common symptoms of motion sickness include pale skin, cold sweats, and dizziness, usually followed by drowsiness, a flooding of saliva into the mouth, nausea, and even vomiting.
멀미의 일반적인 증세에는 창백한 피부, 식은땀, 그리고 어지러움이 있는데, 대개 나른함, 구강 내 과도한 침 분비, 어지러움, 그리고 심지어는 구토 증세까지 수반한다.
It generally occurs in situations that involve movement — including traveling by car, boat, airplane, or train — and has even occurred among astronauts traveling through outer space, where it is known as microgravity nausea.
그것은 일반적으로 차, 보트, 비행기, 그리고 기차로 여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움직임이 있는 상황에서 일어나고, 심지어는 외계를 다니는 우주 비행사들 사이에서도 일어나는데, 이것은 극미중력 메스꺼움이라고 알려져 있다.
Motion sickness can also be caused by other factors, such as anxiety, unpleasant odors, or a lack of fresh air.
멀미는 불안, 불쾌한 냄새나 신선한 공기의 부족 같은 다른 요소들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
Although no one is completely immune, some people can resist the symptoms better.
아무도 완전히 면역이 되지는 않지만, 어떤 사람들은 그 증세를 더 잘 견딜 수 있다.
The key to understanding motion sickness is the inner ear, a complex system of canals and cavities that is responsible for maintaining a sense of balance.
멀미를 이해하는 데 핵심이 되는 것은 균형감각을 유지시켜 주는 도관과 강의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진 내이이다.
It compiles information gathered from other senses, including the eyes, skin, and joints, combining this with its own data, and ultimately sending a message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at allows people to keep their equilibrium.
그것은 눈, 피부, 관절을 포함한 다른 감각으로부터 모은 정보들을 편집한 것을 그 자체의 정보와 종합하여 마지막으로 사람들이 균형을 유지하게 하는 중추 신경계로 보낸다.
Motion sickness occurs, however, when the sensory data the inner ear receives doesn’t match its own information, and it ends up transmitting conflicting messages.
그러나 멀미는 내이가 받은 감각 정보가 자기 정보와 일치하지 않아 결국 모순되는 정보를 보낼 때 일어난다.
For example, the eyes of a person below deck on a boat in rough seas will visually conclude that nothing is moving.
예를 들면, 거친 바다에 떠 있는 보트의 갑판 아래 있는 사람의 눈은 시각적으로는 아무것도 움직이지 않는다고 결론을 내릴 것이다.
The inner ear, though, will clearly sense the motion, and it is this confusion that leads to feelings of illness.
그러나 내이는 그 움직임을 명확하게 감지할 것이고, 이 혼란 때문에 아픈 것 같은 느낌이 생기는 것이다.
Individuals strongly affected by motion sickness sometimes take antihistamines before they travel, which seem to obstruct the confused signals the inner ear is trying to send to the brain.
멀미에 심하게 영향받는 사람들은 여행하기 전에 항히스타민제를 먹기도 하는데, 그것은 내이가 뇌에 보내려고 하는 혼란스러운 신호를 차단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Others rely on home remedies, such as chewing on ginger.
다른 사람들은 생강을 씹는 것 같은 민간요법에 의지하기도 한다.
Once motion sickness has begun, however, there is little that can be done to alleviate the symptoms.
하지만 일단 멀미가 시작되면 그 증세를 완화시키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다.
The most effective measures seem to be keeping one’s head still, staring at the horizon, and attempting to relax.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머리를 움직이지 않고, 수평선을 응시하며 긴장을 풀려고 노력하는 것인 듯하다.
Reducing the disparity of the sensory information the brain is receiving speeds the body’s natural adjustments, effectively hastening the end of a bout of motion sickness.
뇌가 받고 있는 감각 정보의 불일치를 줄이면 신체의 자연 적응이 빨라지고 멀미 지속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한다.
During World War II, scientists in Nazi Germany performed a variety of brutal medical experiments on concentration camp prisoners.
제 2차 세계 대전 때, 나치 독일의 과학자들은 집단 수용소의 포로들에게 수많은 잔인한 의학 실험을 했다.
The full extent of these crimes against humanity was revealed after the war at the Doctors Trial held in Nuremberg, Germany.
인도에 어긋나는 이 범죄의 전모는 전쟁이 끝난 후에 독일의 뉘른베르크에서 열린 의사 재판에서 밝혀졌다.
The shock and indignation of the world made clear the need for an international code of ethics for medical research.
세계의 충격과 분개 때문에 의학 연구에 대한 국제적인 윤리 강령의 필요성이 분명해졌다.
When the judgment of the Doctors Trial was rendered in 1947, it set forth ten standards for the ethical use of humans in medical experiments.
1947년에 의사 재판의 판결이 났을 때, 그 판결에서는 인간에게 행하는 의학 실험의 윤리에 대한 10가지 기준을 발표했다.
The Nuremberg Code, as these standards became known, allows for experimentation on humans in situations where the desired results cannot be obtained through other means and have the potential to benefit society, but it also outlines a strict set of protections.
뉘른베르크 강령으로 알려진 이 기준들은, 다른 수단을 통해서는 바라는 결과를 얻을 수 없고 사회에 이익이 될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 인간에 대한 실험을 허용하지만, 엄격한 보호 체계도 약술한다.
Its major principle is that of voluntary informed consent, meaning a subject must fully understand what is being proposed and consent to take part in the experiment under their own free will.
그것의 주된 원칙은 자발적이고 정보에 근거한 동의이며, 그것은 피실험자가 무엇을 제안받았는지를 완전히 이해해서 그들의 자유 의지로 그 실험에 참여할 것을 동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Furthermore, it gives subjects the right to end the experiment at any point and dictates that physicians must avoid causing undue pain, suffering, or injury to their patients.
게다가 그것은 피실험자에게 언제든지 실험을 끝낼 권리를 주고 의사들은 환자들에게 과도한 아픔, 고통이나 상해를 초래하는 일을 피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Although the Code wasn’t legally binding, it served as a major step in ensuring ethical behavior within the medical profession and has since become the foundation of a general code of medical ethics.
비록 그 강령이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것은 아니었지만 의학계에서 윤리적인 행동을 보장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고, 그 이후로 의학적 윤리에 대한 일반 강령의 토대가 되었다.
These principles were later reinforced by the Declaration of Helsinki, adopted by the World Medical Association in 1964.
이런 원칙들은 나중에 헬싱키 선언에서 강화되었는데, 그것은 1964년에 세계의학협회에서 채택되었다.
Like the Nuremberg Code, the Declaration placed the concept of informed consent as its centerpiece, although it did allow for surrogate consent when a research participant was mentally or physically unable to give their consent.
그 선언은 비록 연구 참가자가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동의할 수 없을 때 대리인의 동의를 허용하기는 했지만, 뉘른베르크 강령처럼 정보에 근거한 동의의 개념을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삼았다.
The Declaration also states that research with these groups should be conducted only when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health of the disabled population and when it cannot be performed on legally competent people.
그 선언은 또한, 이런 그룹에 대한 연구는 그런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할 필요가 있고 법적 자격이 있는 사람에게는 행할 수 없는 것일 때만 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The Declaration of Helsinki marked the first time the medical community attempted to self-regulate; regulations had previously always been imposed on them from an outside source.
헬싱키 선언은 처음으로 의학계가 자기 자신의 행위를 스스로 규제하고자 한 시도였는데, 이전의 규제는 언제나 외부로부터 강요되어 왔다.
Since the Declaration was adopted, it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to keep pace with new issues that have arisen in the rapidly changing medical field.
그 선언이 채택된 이후로 그 선언은 급속하게 변화하는 의학 분야에서 일어나는 새로운 쟁점들에 발맞추고자 여러 차례 개정되어왔다.
These issues continue to crop up with each new scientific breakthrough and change in society’s moral attitude, leaving the medical community to grapple with the ethical problems of euthanasia, stem cell research, and human cloning.
이런 쟁점들은 각각의 새로운 과학적 큰 발전과 사회의 윤리적 태도 변화에 따라 계속해서 제기되며, 의학계를 안락사, 줄기세포 연구, 인간 복제와 같은 윤리적 문제들로 씨름하게 한다.
The Nuremberg Code and the Declaration of Helsinki created important precedents, but efforts must continue to ensure that ethical standards in medicine remain relevant and protect the rights of all involved.
뉘른베르크 강령과 헬싱키 선언은 중요한 전례가 되었지만, 의학계에서 윤리 기준이 적절성을 유지하면서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을 보장하려는 노력은 계속 되어야 한다.
Advertising is everywhere.
광고는 어디에나 있다.
We are all familiar with television and radio commercials, billboards and product demonstrations.
우리 모두는 TV와 라디오 광고, 광고판, 제품 시연회에 익숙하다.
But some companies have discovered a fresher marketing option: undercover marketing.
하지만 일부 회사들은 좀 더 신선한 마케팅 방법을 찾아냈는데, 바로 언더커버 마케팅이다.
In undercover marketing, consumers learn about the strengths of a product without knowing they are observing an advertisement.
언더커버 마케팅에서 소비자들은 그들이 광고를 보고 있다는 사실을 알지도 못한 채 제품의 강점에 대해 알게 된다.
The goal is to create “buzz,” or “word of mouth” — to get large numbers of people talking about a product.
목표는 ‘소문’, 또는 ‘구전광고’를 일으키는 것, 즉, 많은 사람들이 제품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하는 것이다.
Why is undercover marketing such an attractive option for advertisers?
왜 언더커버 마케팅은 광고인들에게 그렇게 매력적인 선택일까?
First of all, buzz is free, so if the ad campaign is successful in generating positive buzz, the potential rewards far outweigh the initiative’s low cost.
무엇보다, 소문은 공짜이므로 광고 캠페인이 긍정적인 소문을 생성하는 데 성공한다면, 그 잠재적인 효과는 캠페인의 저비용을 훨씬 능가한다.
Also, consumers tend to trust word-of-mouth advertising more than traditional marketing techniques such as commercials.
또한 소비자들은 구전광고를 광고방송과 같은 전통적인 마케팅 기법보다 더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
One example of undercover marketing was carried out by an electronics company.
언더커버 마케팅의 예는 한 전자 제품 회사에 의해 수행되었다.
Actors were paid to walk around busy cities with the company’s latest camera-equipped cell phone, asking pedestrians to take their picture.
연기자들은 카메라가 장착된 그 회사의 최신 휴대전화기를 들고서 분주한 미국의 도시들을 걸어 다니며 보행자들에게 자신의 사진을 찍어달라고 부탁하도록 보수를 받았다.
Everyone who did so received automatic exposure to the product’s features, and the actor reinforced the experience by talking about how great the phone was.
사진을 찍어준 모든 사람들이 제품의 특징을 자동적으로 접하게 되며, 연기자가 그 전화기가 얼마나 대단한지 이야기함으로써 그 경험을 강화한다.
The company hoped that the people who used the camera phone would tell their friends about it, and that their friends would tell other people.
그 회사는 그 카메라 전화기를 사용한 사람들이 친구들에게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또 그들의 친구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하기를 바랐다.
This is how buzz is created.
이런 식으로 소문이 생겨난다.
Undercover marketing takes place over the Internet as well.
언더커버 마케팅은 인터넷 상에서도 일어난다.
To promote its newest milk product, a beverage company recruited six teenage bloggers to mix positive references to the drink into their everyday blog topics.
최신 유제품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어떤 음료 회사는 여섯 명의 십대 블로거를 채용해서 그 음료에 대한 긍정적인 언급들을 날마다 그들의 블로그 이야기 속에 섞어 넣도록 했다.
The idea was that blog readers would more readily believe these endorsements because they appeared to be the bloggers’ personal opinions.
이 발상은 이러한 지지가 블로거의 개인적 의견처럼 보이기 때문에 블로그 독자들이 더 기꺼이 그것을 믿을 것이라는 것이었다.
Though many companies see undercover marketing as a powerful way of creating demand for their products, other groups claim the practice is immoral.
많은 기업들이 언더커버 마케팅을 자신들의 제품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는 강력한 방법으로 보고 있지만, 다른 이들은 이러한 수법이 비도덕적이라고 주장한다.
They say the camera phone campaign, for instance, manipulated the kindness of strangers into an advertising tool.
예를 들어 그들은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전화기 캠페인이 낯선 사람들의 친절을 광고의 수단으로 교묘하게 이용했다고 말한다.
The blogs promoting the beverage company’s milk product also deceived people by leading them to believe they were hearing honest opinions from unbiased individuals.
음료 회사의 유제품 판매 촉진을 도왔던 블로그들 또한 사람들로 하여금 편견이 없는 개인으로부터 정직한 의견을 듣고 있다고 믿게 만듦으로써 그들을 속였다.
Opponents of undercover marketing believe that consumers have the right to understand the origins of any product information they receive.
언더커버 마케팅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소비자들에게는 자신들이 받는 어떤 제품에 대한 정보건 간에 그 출처를 알 권리가 있다고 믿는다.
The unethical aspect of tricking people in this way is a serious problem of undercover marketing.
이런 식으로 사람들을 속이는 비윤리적인 측면은 언더커버 마케팅이 가진 심각한 문제이다.
Such issues will require further discussion as more and more companies try to find alternative marketing methods.
점점 더 많은 기업들이 대안적인 마케팅 수단을 찾으려고 시도함에 따라 이런 논점들은 더 깊은 논의들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Long considered a mainstay of traditional business models, the theory known as the Pareto principle dictates that profits can be maximized by focusing on a small number of high-profit items.
오랫동안 전통적인 사업 모델의 근간으로 여겨져 왔으며, 파레토 법칙이라고 알려진 이론은 소수의 고수익 제품에 집중함으로써 이익이 극대화 될 수 있다고 말한다.
With the advent of e-commerce, however, there has been a trend toward a different approach.
그러나 전자 상거래의 등장과 함께 다른 접근법에 대한 추세도 있다.
The Long Tail theory encourages businesses to shift their focus away from a limited number of popular items and toward a wider variety of less profitable items.
롱테일 이론은 기업들이 제한된 인기 제품에서 벗어나, 이익이 더 적지만 범위가 더 넓은 다양한 제품에 주목할 것을 권한다.
The Pareto principle was named after Vilfredo Pareto, an Italian economist who observed that the distribution of wealth in his country was unequal.
파레토 법칙은 자신의 국가에서 부의 분배가 불공평하다는 것을 관찰한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Vilfredo Pareto의 이름을 딴 것이다.
Twenty percent of the population, he concluded, owned eighty percent of the wealth.
그는 인구의 20%가 부의 80%를 소유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This principle was later found to apply to a variety of business situations.
후에 이 원칙은 다양한 사업의 경우에도 적용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For example, an automobile manufacturer might find that twenty percent of their models account for eighty percent of their profits.
예를 들어 자동차 제조회사는 자신들의 자동차 모델 중 20%가 이익의 80%를 차지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도 있다.
Companies that choose to follow the Pareto principle focus on identifying this vital twenty percent and supplying these items to their customers.
파레토 법칙을 따를 것을 선택한 회사들은 이 결정적인 20%를 찾아내어 이 제품들을 고객들에게 공급하는 데 중점을 둔다.
The Long Tail theory, which gets its name from a feature of the statistical graphs used to illustrate the Pareto principle, is a more recent concept.
파레토 법칙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계 그래프의 모양에서 이름을 얻은 롱테일 이론은 보다 최근의 개념이다.
On the graph, a few popular items appear as a tall peak, while a variety of less popular items make up a long tail at the end.
그래프 상에서 몇몇의 인기 제품들은 높은 정점으로 나타나는 반면, 인기가 덜한 다양한 제품들은 끝 부분의 긴 꼬리 부분을 차지한다.
The Long Tail theory argues that these unpopular items can add up to exceed the profits generated by the best-selling items, so focusing on them can yield large profits.
롱테일 이론은 이러한 비인기 제품들을 모두 합치면 가장 잘 팔리는 제품들에 의해 생긴 이익을 뛰어넘을 수 있으며, 그런 제품에 주력하는 것이 큰 이익을 낼 수 있다고 주장한다.
In order to succeed with the Long Tail model, a business must have the means to store a large amount of inventory and distribute it to a large portion of the population.
롱테일 모델로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 사업체는 많은 양의 재고를 저장하고 그것을 많은 사람들에게 퍼뜨릴 수 있는 수단을 갖춰야 한다.
The business model of Amazon.com offers a clear illustration of the Long Tail approach.
아마존 닷 컴의 사업 모델은 롱테일 접근법의 명확한 실례를 보여준다.
Rather than focusing on best-sellers, Amazon’s website makes available virtually every published book.
베스트셀러에 주력하기보다, 아마존의 웹사이트는 실질적으로 출판되는 모든 책들을 제공한다.
Amazon can keep its various books in centralized warehouses and ship them to Internet customers all around the world while most brick-and-mortar bookstores are limited by storage space.
대부분의 전통적인 서점들이 저장 공간의 제약을 받지만, 아마존은 자신의 많은 책들을 집중화된 창고에 보관해서 전세계의 인터넷 고객들에게 배송할 수 있다.
Traditional bookstores, on the other hand, are more likely to follow the Pareto principle, focusing on providing a few popular items to a smaller number of loyal customers.
반면에, 전통적인 서점들은 소수의 우수고객에게 인기 있는 아이템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는 파레토 법칙을 따르는 것 같다.
There is no simple litmus test to discern which of these concepts will provide a greater edge in today’s business market.
이러한 개념들 중 어느 것이 오늘날 시장에서 더 큰 유리함을 가져다줄지를 분별하는 간단한 리트머스 시험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Successful companies, however, will recognize their value as important tools for analyzing and developing effective business strategies.
그러나 성공적인 기업들은 효과적인 사업 전략을 분석하고 개발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로서 이러한 개념들의 가치를 인식할 것이다.
When asked to identify the most extraordinary woman in history, different individuals will come up with different answers.
역사상 가장 비범한 여성을 선택하라는 질문을 받으면, 사람에 따라 다른 대답을 떠올릴 것이다.
There have been countless women who valiantly engaged in wars and governed countries with more fortitude than the most competent of men, and Zenobia, the Queen of Palmyra, was one of them.
가장 능력있는 남성들보다 더 큰 용기를 가지고 용감하게 전쟁에 참여하며 나라를 다스렸던 수많은 여성들이 있었으며, 팔미라의 여왕 Zenobia는 그들 중 한 명이었다.
Zenobia, whose father was a chieftain of Syria and whose mother’s ancestry was Egyptian, was born and raised in Palmyra, Syria.
아버지가 시리아의 한 족장이었고 어머니의 조상이 이집트인이었던 Zenobia는 시리아의 팔미라에서 태어나서 자랐다.
Since her early days, Zenobia was so exceptional in her beauty and intelligence that she attracted the love of Odenathus, the King of Palmyra.
Zenobia는 어린 시절부터 미모와 지성이 너무나 출중해 팔미라의 왕 Odenathus의 사랑을 받았다.
In 258, Zenobia wedded Odenathus and became his second wife.
258년에 Zenobia는 Odenathus와 결혼했고 그의 두 번째 부인이 되었다.
Yet, although she possessed more beauty, intellect, passion, and love than others could ever dream of, Zenobia’s life resembled a rollercoaster ride more than it did a beautiful fairytale.
그러나 비록 그녀가 다른 사람들이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뛰어난 미모, 지성, 열정, 그리고 사랑을 소유하였지만, Zenobia의 삶은 아름다운 동화라기 보다는 마치 롤러코스터를 타는 것과 같았다.
Immediately upon marrying Odenathus, Zenobia began utilizing her valor and warrior spirit to help Odenathus in his quest to free Palmyra from Rome’s domination.
Odenathus와 결혼하자마자 Zenobia는 로마의 지배로부터 팔미라를 해방시키려는 Odenathus의 투쟁을 돕기 위해 자신의 용맹함과 전사 정신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But soon after their marriage, Odenathus was assassinated by a vengeful nephew who was angry at being punished.
하지만 결혼 후 얼마 되지 않아 Odenathus는 처벌을 받은 것에 화가 나 앙심을 품은 조카에 의해 암살당했다.
In spite of this unexpected tragedy, Zenobia wasted no time in mourning.
이러한 예기치 못한 비극에도 불구하고, Zenobia는 슬퍼하는 데 시간을 허비하지 않았다.
She quickly assumed the role of the king on behalf of her son, who was still too young to rule Palmyra.
팔미라를 통치하기에는 아직 너무 어린 그녀의 아들을 대신해 곧바로 왕의 역할을 수행했다.
With plans to seize vital trade routes from the Romans, Zenobia decided to attack the civilized and fertile land of Egypt.
로마인들로부터 중요한 무역 경로를 탈취할 계획으로, Zenobia는 문명화되고 비옥한 이집트의 땅을 공격하기로 결심했다.
It only took one battle for her 70,000-strong army to conquer all of Egypt.
그녀의 강인한 7만 명의 군대가 이집트 전역을 정복하는 데는 단 한 번의 전투가 필요했을 뿐이었다.
With her fortitude and endurance, Zenobia went on to conquer Ankara, Chalcedon, Palestine, and even Lebanon.
Zenobia는 투지와 인내심을 가지고 앙카라, 칼케돈, 팔레스타인, 심지어 레바논까지 정복해 나갔다.
She subsequently became known as the “Queen of the East.”
그 후에 그녀는 ‘동방의 여왕’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There seemed to be no one who could rival Zenobia on the battlefield until the Roman Emperor Aurelian led his veteran legions against her troops.
로마의 황제 Aurelian이 그녀의 군대에 맞서 그의 노련한 대군을 지휘할 때까지 전쟁터에서 Zenobia에 대항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는 것 같았다.
After a crushing defeat, Zenobia fled behind the strong walls of her capital Palmyra.
결정적인 패배 이후 Zenobia는 수도 팔미라의 튼튼한 성벽 뒤로 도주하였다.
She then snuck past the army line in an attempt to reach her ally Persia to seek help.
그런 후 그녀는 도움을 청하려고 그녀의 동맹국 페르시아에 당도하고자 전선을 몰래 빠져나가기도 했다.
Unfortunately, however, she was captured by Aurelian, and her short-lived empire surrendered to Rome.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녀는 Aurelian에게 붙잡혔으며 짧은 기간 동안 존재했던 그녀의 제국은 로마에게 굴복하고 말았다.
There are several rumors regarding Zenobia’s fate after her defeat.
패배 이후 Zenobia의 운명에 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있다.
While some historians claim that Zenobia killed herself on hunger strike, others claim that she later married a Roman governor and lived in comfort.
어떤 역사학자들은 Zenobia가 단식 투쟁 끝에 죽었다고 주장하는 한편, 다른 이들은 그녀가 나중에 로마의 통치자와 결혼해 편안하게 살았다고 주장한다.
Although her life as a queen was short-lived, Zenobia is still revered as a woman who valiantly triumphed in conquering and ruling over such a vast empire.
여왕으로서 그녀의 삶은 비록 짧았지만, Zenobia는 그처럼 거대한 제국의 정복과 통치에 용감하게 승리한 여성으로서 여전히 존경을 받고 있다.
In many cultures, there have been superstitious fears about witchcraft.
많은 문화권에서 마법에 대한 미신적인 공포가 존재해왔다.
People thought witches could inflict harm and death by causing natural disasters and illnesses with Satan’s help.
사람들은 마녀들이 사탄의 도움을 받아 자연 재해나 병을 초래함으로써 해로운 일이나 죽음을 일으킬 수 있다고 믿었다.
In medieval Europe, this fear materialized in the form of the “witch-hunt,” resulting in tens of thousands of executions.
중세 유럽에서는 이러한 공포가 ‘마녀사냥’이라는 형태로 구체화되었고 그 결과 수만 명의 처형을 초래했다.
The first witch trials in Europe took place in the 13th century, and at the end of the Middle Ages, the fear became a craze.
유럽에서 최초의 마녀 재판은 13세기에 일어났으며, 중세 말기에는 그 공포가 열풍이 되어버렸다.
As the notion that all magic involved a pact with the Devil spread, legal sanctions against witchcraft grew harsher.
모든 마술이 악마와의 계약과 관련이 있다는 관념이 퍼져감에 따라, 마법에 대한 법률적인 제재는 더욱 가혹해져 갔다.
In 1486, the publication of the Malleus Maleficarum the hammer of witches, a guide for identifying and prosecuting witches, inflamed the manic nature of the witch-hunts.
1486년, 마녀를 식별하고 기소하는 것에 대한 안내서인 <마녀의 망치>의 출판은 마녀 사냥의 광적인 본성을 자극했다.
Numerous innocent people were tortured and killed during the “witch craze” between 1450 and 1700.
수 없이 많은 무고한 사람들이 1450년에서 1700년 사이의 ‘마녀 열풍’ 기간 동안 고문당하고 목숨을 잃었다.
People accused of witchcraft were often minorities, the poor, the homeless, and those with unconventional lifestyles.
마녀 혐의를 받은 사람들은 보통 소수 민족, 가난한 사람들, 노숙자들 그리고 자유로운 생활양식을 가진 사람들이었다.
Overall, most of the victims were women, in part because they were considered weaker than men and more susceptible to the temptations of the devil.
대체로 희생자의 대부분은 여성들이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는 그들이 남자보다 약하고 악령의 유혹에 더 빠지기 쉬운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었다.
How did this craze happen?
어떻게 이런 열풍이 일어났을까?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theories explaining its cause, and they show that there were many changes and events that facilitated witch-hunts at that time.
그것의 원인을 설명하는 데에는 다양한 이론들이 존재해 왔으며, 그 이론들은 당시에 마녀사냥을 조장했던 많은 변화와 사건들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First, some theories have pointed out that legal changes allowed for the outbreak of witch trials.
첫째로, 일부 이론들은 법적인 변화가 마녀 재판의 발발을 허용했다고 지적했다.
The Inquisition, which was enacted by the papacy, made it legal to torture and execute people who challenged Christian doctrine.
로마 교황에 의해 법제화된 종교 재판은 기독교의 교리에 도전하는 사람들을 고문하고 처형하는 것을 합법화시켰다.
Through the use of leading questions and a variety of coercive measures, the accused would almost inevitably admit to some form of devilry.
유도 심문의 사용과 다양한 강압적 수단을 통해, 용의자는 어떤 형태의 악마론을 불가피하게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Another assumption is that the Black Death that reoccurred across Europe, mysteriously killing thousands of people in its path, influenced this socially turbulent period.
또 하나의 가정은 유럽 전역에 걸쳐 다시 발발하여 그 과정에서 수천 명의 사람들을 의문스럽게 죽게 만들었던 흑사병이 사회적으로 불안한 이 시기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It made people panic, and neighbors and friends began informing on each other in an attempt to appear innocent of witchcraft.
그것은 사람들을 공포에 질리게 만들었고, 마법에 대해 결백하게 보이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이웃과 친구들은 서로를 고발하기 시작했다.
The conflict between religious ideologies also aided the witch-hunts.
종교적 이데올로기 사이의 갈등 또한 마녀사냥을 촉진했다.
After the Reformation movement started in the 16th century, clerics vigorously sermonized on the danger of witchcraft among the people, and both Catholics and Protestants were burnt as witches in each other’s territories.
16세기에 시작된 종교개혁 운동 이후로 성직자들은 사람들에게 마법의 위험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설교했으며,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모두 각각 상대방의 영역에서 마녀로 화형에 처해졌다.
The witch-hunts started to decline when Europe attained social stability following the end of the Thirty Years’ War in 1648.
1648년에 30년 전쟁이 종결된 이후, 유럽이 사회적인 안정을 이루게 됨에 따라 마녀사냥은 감소하기 시작했다.
Superstition was slowly replaced by rational thought as a means to explain society’s hardships in what would become the Age of Enlightenment.
한 사회의 역경을 설명하는 수단이었던 미신은 계몽의 시대가 되자 점차 이성적인 사고로 대체되었다.
Today, although most superstitions seem to have disappeared, we can’t say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another witch-hunt as long as a fear of the unknown still remains in the form of social intolerance or discrimination.
오늘날 대부분의 미신이 사라진 것처럼 보이기는 하지만, 미지의 것에 대한 공포가 사회적인 편협함이나 차별의 형태로 여전히 남아있는 한, 또 다른 마녀사냥의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말할 수는 없다.
As more and more people cross borders these days, a growing threat is emerging.
최근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국경을 넘나듦에 따라 점점 자라나는 위협이 나타나고 있다.
The danger, however, isn’t from immigrants who come to new lands seeking better lives.
하지만 그런 위협은 더 나은 삶을 찾아 새로운 땅으로 건너온 이민자들로부터 비롯되는 것이 아니다.
Instead, it is derived from a surge of intolerance, called xenophobia.
대신 그것은 외국인 혐오증이라고 불리는 편협한 감정이 고조되는 것에서 비롯된다.
This refers to intense dislike or fear of strangers, especially people from other countries.
이것은 낯선 사람, 특히 다른 나라에서 온 사람들에 대한 극도의 혐오나 공포를 말한다.
It’s a problem facing not just one particular country, but the entire world.
그것은 특정한 한 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이다.
Globalization has brought disparate cultures closer together than ever before and has led to a sharp increase in immigration.
세계화는 이질적인 문화들을 이전 어느 때보다 가깝게 만들었으며, 이민의 급격한 증가를 불러왔다.
This intermingling often has positive results, but it also serves to fuel feelings of xenophobia.
이러한 혼합은 종종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지만 외국인 혐오 감정을 자극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Also, international violent events such as 9/11 and subsequent terrorist attacks have led to an increase in xenophobia.
또한 9/11 테러와 뒤이어 일어난 테러 공격과 같은 국제적인 폭력 사건들도 외국인 혐오증의 증대로 이어졌다.
Xenophobic behavior and racism against immigrant groups has gained legitimacy in certain circles.
이민자 집단에 대한 외국인 혐오증적 행동과 인종차별주의는 특정 집단 내에서 정당성을 얻어가고 있다.
For example, rightwing political parties in several countries in Europe have won seats in parliament, giving them the ability to affect national policies and bring their extreme views into the mainstream.
예를 들어, 유럽 몇몇 국가의 우익 정당들은 의석을 차지해서 국가 정책에 영향을 끼치고 그들의 극단적인 견해를 주류에 편입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되었다.
There have been several causes of racism and xenophobia throughout history.
역사적으로 인종차별주의와 외국인 혐오증의 몇 가지 원인이 존재해왔다.
There have been situations where one group mistreated another for monetary gain, such as slavery.
노예제와 같이 금전적 이득을 위해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을 박해하는 상황이 있었다.
At other times, a belief in racial superiority has been coupled with exploitative political ideolog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hatred of a minority group becomes socially acceptable.
또 다른 시대에는, 인종적 우월감에 대한 믿음이 착취적 정치 이데올로기와 더불어 소수자 집단에 대한 증오가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환경을 조성했다.
And nowadays, there is a socio-economic factor that arises when issues such as rising unemployment, high crime rates, and low educational standards end up being blamed on immigrants.
그리고 오늘날에는 실업의 증가와 높은 범죄율, 그리고 낮은 교육 수준과 같은 문제들을 이민자의 책임으로 돌리게 될 때 나타나는 사회 경제적 요인이 있다.
To figure out the problem of xenophobia, proper awareness and active approaches from all walks of life are needed.
외국인 혐오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계의 사람들의 적절한 인식과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First, politicians must ensure that legislation to protect all minority races is passed, and they must introduce harsh penalties for hate crimes.
우선 정치인들은 모든 소수 인종을 보호하기 위한 법안이 통과되도록 해야 하며, 증오 범죄에 대한 엄격한 처벌을 도입해야 한다.
The media also has a responsibility to avoid the negative stereotyping of minorities in news reporting.
언론 또한 뉴스를 보도할 때 소수자들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 관념화를 피해야 할 책임이 있다.
And, perhaps most importantly, schools and NGOs need to educate the youth on the benefits of tolerance and goodwill, extinguishing any sparks of hatred before they can fully ignite.
그리고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학교와 비정부 기구들이 그 어떤 증오의 불씨도 완전히 점화되기 전에 소멸시키며 젊은이들에게 관용과 선의의 이익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The economic and political realities of the modern world dictate that nations must accept the fact that they will experience more immigrants, visitors, and refugees from all corners of the globe.
오늘날 세계의 경제적, 정치적 현실은 국가들이 전 세계의 모든 지역으로부터 더 많은 이민자와 방문객, 난민들을 수용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여야만 한다고 말한다.
Only by accepting the differences of others will these societies be able to remain cohesive, peaceful, and productive.
다른 사람들의 차이를 수용해야만 이러한 사회들이 단결되고, 평화롭고, 생산적인 상태로 남을 수 있을 것이다.
A serial murderer has killed four people and remains at large.
연쇄 살인범이 4명을 살해하고, 아직 체포되지 않고 있다.
Police are working around the clock to apprehend the criminal, but there is a lack of physical clues left at the crime scenes.
경찰은 범인을 체포하려고 밤낮으로 일했지만, 범죄 현장에 남은 물질적 단서가 부족하다.
In this situation, the only hope lies in criminal profiling.
이런 상황에서 유일한 희망은 범죄자 프로파일링에 있다.
Using this technique, investigators analyze in detail how a crime was committed in order to identify likely suspects.
이 기술을 이용하여, 수사관들은 유력한 용의자를 가려내기 위해서 어떻게 범죄가 일어났는지를 자세하게 분석한다.
The basic premise of criminal profiling is that a criminal’s behavior reveals information about his or her personality.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기본 전제는 범죄자의 행동이 그들 자신의 성격에 대한 정보를 드러낸다는 것이다.
It is used mostly by psychologists and the police to narrow down an investigation to those suspects who possess the certain behavioral and personality traits that are suggested by the way a crime was committed.
그것은 주로 심리학자와 경찰이 범죄가 행해진 방식에 의해 암시된 어떤 행동적, 성격적 특징을 가진 용의자들로 수사의 범위를 좁혀나가는 데 사용된다.
A typical profile includes the perpetrator’s race, sex, age, marital status, living arrangem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liefs, values, probable reactions to the police investigation, likelihood of having a past criminal record, and the possibility of similar offenses having been committed in the past.
전형적인 프로파일은 범인의 인종, 성, 나이, 결혼 여부, 거주지, 심리학적 특징, 신앙, 가치관, 경찰 조사에
대한 예상 반응, 과거 전과 기록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 그리고 과거에 비슷한 범죄를 저질렀을 가능성을 포함한다.
While profiling cannot automatically identify the specific perpetrator, it helps investigators find the right type of person.
프로파일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특정한 범인이 가려질 수는 없겠지만, 이는 수사관들이 적절한 유형의 사람을 찾는 데는 도움이 된다.
The first stage of profiling involves collecting all information available about the crime, such as physical evidence, photographs of the crime scene, autopsy reports and pictures, witness testimony, etc.
프로파일링의 첫 단계는 물증, 범죄 현장 사진, 부검 결과와 사진, 목격자 증언 등과 같은 범죄에 관해 구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포함한다.
Then, the profiler organizes the input into meaningful lines of inquiry regarding different dimensions of criminal activity.
그 후에 범죄 심리 분석가는 그 정보를 범죄 행위의 다양한 측면들에 관한 의미 있는 일련의 질문들로 정리한다.
They usually raise questions like:
그들은 주로 다음과 같은 의문을 제기한다.
“What type of homicide has been committed?”
“어떤 유형의 살인이 저질러졌는가?”
“What is the primary motive for the crime?”
“범죄의 주된 동기는 무엇인가?”
“What was the sequence of acts before and after the killing?”
“살해 전후의 행동 순서는 어떠한가?”
Based on the information found during these stages, the profiler attempts to reconstruct the behavior of the offender and formulate an initial description of the most likely suspects.
이러한 단계들에서 찾은 정보에 근거하여, 범죄 심리 분석가는 범죄자의 행동을 재구성하고 가장 유력한 용의자의 최초의 인상서를 작성한다.
Until recently, much of the criminal profiling field has developed within the law enforcement community, and its approach has been guided mostly by agents’ personal investigative experience.
최근에 이르기까지 범죄자 프로파일링 분야의 많은 부분은 법 집행 기관들에서 개발되었고, 그 접근은 주로 수사관의 개인적 조사 경험에 의해 좌우되었다.
This subjectivity has made the technique vulnerable to various types of criticism.
이런 주관성 때문에 이 기법은 다양한 유형의 비판에 대해 취약점을 드러내 왔다.
Some psychologists have questioned the scientific reliability of criminal profiling because of insufficient research data.
몇몇 심리학자들은 불충분한 조사 자료 때문에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과학적 신뢰성을 문제 삼아왔다.
They believe that research, which uses the statistical techniques of psychology, is the only way to develop more accurate and scientifically defensible descriptions of offenders.
그들은 심리학의 통계 기법을 사용하는 조사가 보다 정확하고 과학적으로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범죄자 인상서를 작성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믿는다.
Although criminal profiling requires improvements as a scientific method, it is obvious that it will continue to play a key role in investigations as modern crimes become more sophisticated and well-calculated.
비록 범죄자 프로파일링이 과학적 방법으로서의 개선을 필요로 하지만, 현대 범죄가 점점 더
복잡하고 주도 면밀해짐에 따라 그것이 계속적으로 수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Most countries have a legally established minimum wage, which is the lowest hourly wage businesses can pay their employees.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기업이 직원들에게 지불할 수 있는 가장 적은 시간 수당인 최저 임금을 법으로 정해놓고 있다.
The primary goal of these laws is to reduce poverty by protecting unskilled workers.
이 법의 주요한 목적은 미숙련 노동자들을 보호하면서 빈곤 문제를 줄이려는 것이다.
While an appropriate minimum wage generally achieves this, it can potentially lead to higher unemployment rates, harming the very workers it seeks to protect.
적절한 최저 임금이 일반적으로 이 목표를 달성하고는 있지만, 잠정적으로는 보호하고자 했던 바로 그 노동자들에게 피해를 끼치며 더 높은 실업률을 야기할 수도 있다.
New Zealand became the first nation to pass a minimum wage law in 1894, with many other countries soon following its example.
뉴질랜드는 1894년 최저 임금법을 통과시킨 최초의 국가였고, 이후 많은 국가들이 곧 그 전례를 따랐다.
Each nation sets its own minimum wage based on a number of financial factors, including standard of living, labor supply and demand, and inflation rates.
각 나라는 생활 수준, 노동 수급, 물가 상승률을 포함한 여러 경제적인 요인에 기초하여 최저 임금을 책정한다.
However, the established minimum wage is often subject to adjustment due to changes in the country’s economic situation.
하지만 책정된 최저 임금은 나라의 경제 상황에 따른 변화 때문에 종종 변경된다.
Supporters of these laws believe they are effective in assuring a fair wage not only to unskilled workers, but also to women, youths and other groups that have historically been underpaid in the workplace.
이 법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이 법이 미숙련 노동자들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근무지에서 제대로 보수를 받지 못했던 여성, 청소년 및 다른 집단에게 타당한 임금을 보장해주는 데 효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
They also point to additional societal benefits of a minimum wage, such as a healthy economy, thanks to low-income workers’ ability to spend more, and an improved morale and work ethic of employees.
또한 그들은 최저 임금의 부가적인 사회적 혜택을 이유로 들기도 하는데, 저소득 근로자들이 소비를 더 많이 하게 되어 경제가 탄탄해지고 직원들의 사기와 직업 의식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Those who oppose minimum wage laws, on the other hand, argue that they fail to achieve the goals they were designed to meet.
반면 최저 임금법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법이 충족시키려고 했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실패했다고 주장한다.
In some nations, the establishment of a minimum wage has increased unemployment, and this has led to the country’s overall earnings actually going down instead of going up.
몇몇 국가에서는 최저 임금 확립이 실업률을 증가시키고, 이는 결국 나라의 전체적인 소득이 증가하는 대신 낮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is due primarily to small businesses being forced to reduce their staff in order to comply with the new laws.
이것은 주로 이 새로운 법을 따르려고 직원 수를 줄일 수 밖에 없었던 작은 기업들 때문이다.
Other businesses seek to regain profits lost to increased wages by raising the prices of their goods and services, a response that can lead to inflation.
어떤 기업들은 상승된 임금으로 인해 줄어든 이익을 찾기 위해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을 올리는데, 이는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These critics also point to statistics that show that the majority of workers directly affected by minimum wage laws don’t actually come from families living in poverty.
이러한 비판은 최저 임금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대다수의 근로자들이 실제로 빈곤하게 살아가는 가족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통계도 지적한다.
In most countries, a heated debate continues over this issue.
대부분의 나라에서 이 문제에 관한 격론이 계속되고 있다.
Some people think the minimum wage should be increased, and others think it should be decreased, while still others believe it is best to eliminate it entirely.
어떤 사람들은 최저 임금이 인상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어떤 사람들은 인하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와중에, 그것을 완전히 없애는 것이 최선이라고 믿는 사람들도 여전히 있다.
Ultimately, it is the overall impact of minimum wage laws that must be carefully analyzed in order to determine the worth of such legislation.
궁극적으로 이러한 법 제정의 가치를 확립하기 위해 신중히 분석해야 하는 것은 최저 임금법의 전반적인 영향이다.
Copyright protects the intellectual property of individuals and corporations from what would essentially amount to theft: the purposeful duplication and redistribution of their creations.
저작권은 개인과 기업의 지적 재산을 실질적인 절도에 해당하는 것, 즉 창작물에 대한 의도적인 복제와 재배포로부터 보호해준다.
But there’s a segment of the computer programming community that encourages the public to modify and redistribute its software.
그러나 대중들이 그것의 소프트웨어를 변경하여 이를 재배포하는 것을 장려하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한 분파가 있다.
To make their intentions clear, they’re supplementing their copyright with something known as copyleft.
자신들의 목적을 분명히 하기 위해, 그들은 그들의 저작권을 카피레프트라고 알려진 말로 보완하고 있다.
Legal ownership of a creation is established by a copyright.
창작물에 대한 법적 소유권은 저작권에 의해 설정된다.
Copyright protects software developers from having their programs copied, modified, or resold.
저작권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을 그들의 프로그램이 복제, 변경, 또는 재판매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해준다.
By granting them exclusive rights to their own creations, copyright allows programmers to work without fear of theft.
그들에게 창작물에 대한 독점권을 부여함으로써, 저작권은 프로그래머들이 도용에 대한 두려움 없이 일하도록 해준다.
Copyright is effective because it is easy to obtain, there aren’t any prohibitive costs, and it can be enforced in a court of law.
저작권은 획득하기 쉽고, 과도한 비용이 들지 않으며, 법원에 의해 집행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There are weaknesses, however.
하지만 단점들도 있다.
According to proponents of the open source software movement, it can hinder the improvement of software, as it blocks opportunities for sharing any source codes or functions.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운동의 지지자들에 따르면, 저작권은 소스 코드나 기능들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막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의 개선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한다.
Copyleft, a play on the term copyright, demonstrates the idea of open source software, which is also known as free software.
저작권이란 단어를 재미있게 바꾼 말인 카피레프트는, 자유로운 소프트웨어로도 알려진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개념을 설명해준다.
The word “free” doesn’t refer to the cost of the programs, although many are distributed without charge.
많은 프로그램들이 무료로 배포되긴 하지만, ‘free’라는 단어는 프로그램의 비용에 대해 얘기하는 것이 아니다.
Instead, it’s the freedom of users to access the programing code of the software.
대신 이는 사용자들이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래밍 코드에 접근할 수 있는 자유를 가리킨다.
Copyleft basically incorporates the copyright’s assertion of ownership but goes on to grant the public the right to access, modify, and freely redistribute the program.
카피레프트는 기본적으로 저작권의 소유권에 대한 주장을 포함하지만, 나아가 대중들에게 프로그램에 접근하고, 그것을 변경하며, 자유롭게 재배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Modified versions of the software are also covered by the conditions of the copyleft, thereby deterring dishonest individuals seeking to profit from someone else’s work.
변경된 버전의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도 카피레프트의 조건들이 적용되며, 따라서 이는 부도덕한 개인들이 다른 사람의 작업물로 이득을 추구하려는 것을 방지한다.
By keeping programs free, the entire software community is able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and evolution of products, modifying them to meet specialized needs and sharing them appropriately.
프로그램들을 자유롭게 열어둠으로써, 전체 소프트웨어 집단은 제품의 개선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그 프로그램들을 변경하여 특수한 요구들에 부응하고, 또 그것을 적절히 공유한다.
However, the details of what is and isn’t permitted under a copyleft can be a bit of a gray zone.
하지만 카피레프트에서 어떤 부분이 허용되고 어떤 부분이 허용되지 않는지에 관한 세부사항은 다소 애매할 수 있다.
And the potential confusion could discourage creativity.
그리고 그런 혼동의 가능성은 창의성을 저해할 수도 있다.
Therefore, copyleft should be considered as an enhancement to the concept of copyright, rather than an alternative.
따라서 카피레프트는 하나의 대안이라기보다는 저작권의 개념을 한 단계 끌어올린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Both of these protections are needed to keep the software industry healthy and productive.
이 두 가지 보호는 소프트웨어 산업을 건강하고 생산적으로 만드는 데 필요하다.
Copyright establishes clear ownership, and copyleft attracts users and allows products to evolve.
저작권은 명확한 소유권을 설정해주며, 카피레프트는 사용자들을 유인하며 제품이 발달하도록 한다.
Together, they create an environment that benefits both those who create computer programs and those who wish to use them.
이 두 가지는 함께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들어내는 사람과 그것들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이익을 주는 환경을 만들어낸다.
Since the mid-1800s, Broadway in New York City has staged the best of live theater and drama, attracting tourists from around the world.
1800년대 중반 이래로 뉴욕시의 브로드웨이는 최고 수준의 공연과 극을 무대에 올려 왔고, 전 세계로부터 관광객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It’s a district where actors and singers live out their dreams, and where an art form has transformed itself to fit the changing demands of each era.
그곳은 배우와 가수들이 그들의 꿈을 이뤄가는 장소이며 예술의 형태가 각 시대의 변화하는 요구에 부응하고자 그 자체를 변화시켜온 곳이다.
Broadway is also the birthplace of musical theater as we know it today.
브로드웨이는 또한 우리가 오늘날 알고 있는 것과 같은 뮤지컬 공연장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The first production considered to be a modern musical was staged on Broadway in 1866.
현대 뮤지컬로 간주되는 첫 번째 작품은 1866년에 브로드웨이에서 상연되었다.
The Black Crook introduced what became hallmarks of Broadway theater: elaborate costumes, complex dance numbers, and lines of chorus girls.
<흉악한 사기꾼 >은 정교한 의상, 복잡한 댄스곡들 그리고 코러스 걸의 대열과 같은 브로드웨이 극의 특징이 된 것들을 도입하였다.
The quality of the productions improved, the audiences got bigger, and shows started running for longer periods, so in the 1890s and early 1900s, hundreds of musicals were being performed in some 80 theaters.
작품의 수준은 향상되었고 관객의 규모도 커져갔으며, 쇼는 장기간 상연되기 시작해서 1890년대와 1900년대 초반경에는 80여 개의 극장에서 수백 개의 뮤지컬이 공연되었다.
Huge billboards advertising the numerous shows lit up the street, giving Broadway the nickname “The Great White Way.”
수많은 공연을 광고하는 거대한 광고판이 거리에 불을 밝혔고, 브로드웨이에는 ‘백색대로 ’라는 애칭이 붙게 되었다.
With the end of the Depression in the 1930s and the onset of World War II, the nature of Broadway theater began to reflect a new social consciousness.
1930년대의 경제 대공황의 종말과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함께 브로드웨이 극장계의 성향은 새로운 사회적 인식을 반영하기 시작했다.
People went to the theater to allay their anxieties about the war, while the shows themselves expressed views on the changing social values.
사람들은 전쟁에 대한 그들의 불안감을 가라앉히기 위해서 극장에 갔던 반면에, 쇼들 자체는 변화하는 사회적인 가치관에 대한 견해를 표현했다.
Referred to as The Golden Age, this period redefined the genre, with plays like 1943’s Oklahoma! exploring social and historical issues.
황금기라고 일컬어지는 이 시기는,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주제를 탐구했던 1943년의 <오클라호마!>와 같은 연극들을 통해 그 장르를 재정의했다.
Theater used song and dance to help develop the plot of the story instead of using musical numbers simply for entertainment value.
연극작품은 단순히 오락적인 가치를 위해서 뮤지컬 곡을 사용하는 대신에 이야기의 줄거리를 발전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노래와 춤을 이용했다.
Some musicals, such as South Pacific, by Rodgers and Hammerstein, contained controversial themes like racism and interracial marriage.
Rodgers와 Hammerstein의 작품인 <남태평양>과 같은 일부 뮤지컬들은 인종차별이나 다른 인종 간의 결혼과 같은 쟁점이 되는 주제를 담고 있었다.
When the area around Times Square became overrun with crime in the 1960s, some believed the good times on Broadway were over.
1960년대, 타임스 스퀘어 주변에 범죄가 들끓게 되었을 때, 일부는 브로드웨이의 좋은 시절은 끝났다고 생각했다.
But the district was cleaned up, and by the 1980s it was undergoing a revival thanks to its staging of large-scale pop operas such as Les Misérables and Cats.
하지만 그 지역은 재정비되었고 1980년대에 그곳은 <레 미제라블>이나 <캣츠>와 같은 대규모의 팝 오페라들의 상연 덕분에 부흥기를 거쳤었다.
By the 1990s, Broadway theater was in a renaissance, with musicals like Moulin Rouge and Chicago reinterpreting the styles of the past.
1990년대에 브로드웨이 극장계는 <물랑 루즈>나 <시카고>와 같이 과거의 스타일을 재해석하는 뮤지컬들로 인해 부흥기를 맞았다.
Musical theater on Broadway has evolved over the years, with each era reflecting a change in American society.
긴 세월에 걸쳐 브로드웨이의 뮤지컬 극장은 미국 사회 내의 변화를 반영하는 각 시대와 더불어 진화해왔다.
Although only half the theaters remain from the original boom of the early 20th century, the district continues to stage performances that live up to its reputation of delivering top-notch live theater, and it is crowded with tourists who inject millions of dollars into the local economy.
20세기 초반의 원래의 전성기에 비해 겨우 절반 가량의 극장만이 남아있다고는 해도, 그 지역은 최고의 라이브 공연을 전달한다는 명성에 걸맞게 공연들을 계속해서 무대에 올리고 있으며, 그곳은 그 지역 경제에 수백만 달러의 돈을 쏟아 붓고 있는 관광객들로 넘쳐나고 있다.
There will be much attention paid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Broadway as a symbol of live theater and musicals throughout the world.
라이브 공연과 뮤지컬의 상징으로서 브로드웨이의 더 많은 발전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이 계속 기울여질 것이다.
Seated within the larger context of English Renaissance theatre, Elizabethan theatre refers to English plays appearing during the reign of Queen Elizabeth I, from 1558 to 1603.
영국 르네상스 시대의 극이라는 더 큰 맥락에서 보면, 엘리자베스 시대의 극은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의 통치기인 1558년부터 1603년까지 나타난 영국 연극을 가리킨다.
However, because so many theatrical precedents were established during this period, the label of Elizabethan theatre often applies to all English drama up until the country’s theatres were closed in 1642.
그러나 이 시기에 너무 많은 극의 전례들이 확립되었기 때문에 엘리자베스 시대 극이라는 명칭은 종종 1642년에 영국의 극장들이 폐쇄될 때까지의 모든 영국 희곡에 적용된다.
Before 1558, mobile acting troupes performed mainly in inns and public spaces, as there were no buildings specially designated as theatres in England.
1558년 이전에는, 유랑 극단이 주로 여인숙과 공공 장소에서 공연을 했는데, 이는 영국에 특별히 극장으로 지정된 건물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Laws passed by the queen gradually phased out these traveling companies in favor of larger, settled groups based in newly constructed theatres around London.
여왕이 통과시킨 법들은 런던 주위에 새로 세워진 극장들에 기반을 둔 규모가 더 큰 정착 집단들을 위해 이 유랑 극단들을 점차 단계적으로 줄여나갔다.
Elizabethan theatres, best represented by The Globe, shared a similar design.
글로브 극장으로 가장 잘 대표되는 엘리자베스 시대의 극장들은 유사한 디자인을 공유했다.
They were rounded, three stories high, and open air.
원형에 3층 높이였고, 노천 극장이었다.
Wealthier patrons enjoyed seats in the covered galleries that surrounded the stage on three sides, while others paid a minimal price to stand in the central yard.
더 부유한 고객들은 무대를 삼면에서 둘러싸는 덮개 있는 관람석에 앉는 한편, 다른 사람들은 최소 가격을 지불하고 중앙의 마당에 서 있었다.
Around the turn of the 17th century, smaller, enclosed performance spaces were also built.
17세기에 들어서면서, 더 작고 사방이 막힌 공연장들도 지어졌다.
Playwrights during this period were of various backgrounds.
이 시기 극작가들의 출신 배경은 다양했다.
Some received their educations at England’s prestigious universities, but many did not.
어떤 사람들은 영국의 명문 대학에서 교육받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았다.
It was not a very lucrative occupation, as acting companies bought plays and owned all the rights to them.
극작가는 그다지 돈벌이가 되는 직업이 아니었는데, 극단이 희곡을 사서 그것에 관한 모든 권리를 소유했기 때문이었다.
The most well known playwright, William Shakespeare, was financially successful only because he owned a share in the company he wrote plays for, many of which debuted at The Globe.
가장 많이 알려진 극작가인 윌리엄 셰익스피어도 그가 희곡을 써 준 극단의 지분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재정적으로 성공한 것이었으며, 그의 많은 희곡 작품이 글로브 극장에서 처음으로 공연되었다.
His sizable collection of dramas, comedies, and histories is seen as the definitive example of Elizabethan theatre.
상당히 많은 그의 정극, 희극, 그리고 사극 작품들은 엘리자베스 시대극의 확실한 표본으로 간주된다.
The lack of elaborate scenery and special effects meant that Elizabethan theatre relied heavily on the actors and the versatility of the theatre space to convey the complex content of a play.
정교한 무대 배경과 특수 효과가 부족했다는 점은 엘리자베스 시대의 극이 연극의 복잡한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주로 배우와 극장 공간의 다용성에 크게 의존했음을 의미한다.
Often the costume of an actor could signify that character’s gender, social class, mental state, and the time of day in which the scene was taking place.
배우의 의상은 종종 등장인물의 성, 사회 계층, 정신 상태 그리고 그 장면이 벌어지는 시간을 나타낼 수도 있었다.
Likewise, ample use was made of such physical features as the balcony above the stage, which allowed for the expression of concepts like time, distance, and supernatural events.
마찬가지로, 무대 위의 발코니 같은 물리적인 특징들도 충분히 활용되었는데, 이는 시간, 거리 그리고 초자연적인 사건과 같은 개념들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In 1642, the English Civil War resulted in the closure of London’s theatres.
1642년에 영국 내란으로 런던의 극장들이 폐쇄되었다.
Once the monarchy regained power, they were reopened, but by this time a more Puritanical outlook was in fashion, and the subject and nature of drama changed accordingly.
군주제가 다시 복원되자 극장들이 다시 개장했지만, 이 무렵엔 더 청교도적인 견해가 유행하였으며 극의 주제와 성격이 그에 따라 변화했다.
Yet, many principles from Elizabethan theatre remained, and early English Renaissance plays are still some of the most recognized in the Western world.
그러나 엘리자베스 시대극의 많은 원칙들이 남아있었으며, 초기의 영국 르네상스 희곡들은 여전히 서구 세계에서 가장 인정받고 있다.
Have you ever been walking down an empty street and suddenly felt like someone was watching you?
텅 빈 거리를 걸어가다 갑자기 누군가 당신을 쳐다보고 있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는가?
You may have been right.
당신이 옳았을 수도 있다.
In cities and towns across the world, it’s become common practice to use surveillance cameras to monitor public places.
전 세계의 도시나 마을에서, 공공 장소를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관행이 되었다.
Large department stores, for example, employ CCTV systems to deter shoplifters from stealing merchandise.
예를 들면, 대형 백화점에서는 좀도둑들이 상품을 훔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CCTV 시스템을 사용한다.
Mounted in plain view on walls and ceilings, these cameras seemingly watch our every move.
벽과 천장에 잘 보이게 설치된 이 카메라들은 우리의 모든 움직임을 지켜보는 것 같다.
There is no way to know whether or not this video feed is being actively monitored, but this uncertainty is usually enough to prevent people from behaving badly.
이 영상 자료가 적극적으로 확인되는지의 여부는 알 수 없지만, 보통 이러한 불확실성만으로도 사람들이 나쁘게 행동하는 것을 충분히 막을 수 있다.
The idea of keeping order through the threat of constant surveillance can be traced back to the early 19th century.
지속적인 감시의 위협을 통해 질서를 유지한다는 발상은 19세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Jeremy Bentham, an English philosopher, created plans for something he called the Panopticon, a structure designed to efficiently facilitate the control of a large population of prisoners.
영국의 철학자인 Jeremy Bentham은 그가 팬옵티콘이라고 부른 것에 대한 계획을 세웠는데, 그것은 많은 수감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안된 건물이 었다.
The Panopticon was a ring-shaped building with a tower in the center.
팬옵티콘은 가운데 탑이 있는 링 모양의 건물이었다.
A small number of guards in the tower would have the ability to watch a large number of prisoners in their cells, but the prisoners would not be able to see the guards.
탑 안에 있는 소수의 간수들은 감방에 있는 많은 수감자들을 볼 수 있었겠지만, 수감자들은 간수들을 볼 수가 없었을 것이다.
Since the prisoners would never be sure if they were being observed, Bentham believed they would behave at all times as if they were.
수감자들은 자신들이 감시당하고 있는지를 확신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항상 감시당하고 있는 것처럼 행동할 것이라고 Bentham은 생각했다.
Though Bentham’s exact design never materialized, it has affected the way we maintain order in our society.
Bentham의 계획이 비록 실현되지는 않았지만, 우리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는 방법에 영향을 끼쳤다.
In his book Discipline and Punish, the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 used Bentham’s idea of the Panopticon to symbolize modern society’s attempts to preserve order and discipline through more sophisticated control of individuals.
프랑스의 철학자 Michel Foucault는 자신의 저서 <감시와 처벌>에서Bentham의 팬옵티콘이라는 개념을 개인에 대한 좀 더 정교한 통제를 통해 질서와 규율을 유지하려는 현대사회의 시도들을 상징화하는 데 사용했다.
He points out that the panoptic model can be found in the designs of not just modern prisons, but also schools, hospitals, and factories; and it effectively penetrates an entire society with disciplinary functions.
그는 팬옵티콘의 모델은 현대의 교도소뿐만 아니라 학교, 병원, 공장의 디자인에서도 발견될 수 있으며, 규율적인 기능을 지닌 채 전 사회를 효과적으로 관통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Through these panoptic institutions, any abnormal behavior that could be detrimental to society is easily spotted, which encourages individuals to conform to the accepted norms.
이런 팬옵티콘 같은 시설들을 통해, 사회에 해가 될 수 있는 어떤 비정상적인 행동도 쉽게 발견되며, 이는 개인이 용인된 규범을 따르도록 유도한다.
Foucault calls this disciplinary mechanism of modern society “Panopticism” and argues that it enables the few in power to control individuals efficiently through constant observation and examination.
Foucault는 현대 사회의 이러한 규율의 기제를 ‘팬옵티시즘’이라 불렀으며, 지속적인 감시와 조사를 통해 권력을 가진 적은 수의 사람들이 개인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 준다고 주장한다.
Modern citizens not only spend much of their time in panoptic institutions but also live with the possibility of constant surveillance in their daily routines.
현대 시민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팬옵티콘 같은 시설들에서 보낼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지속적인 감시의 가능성과 함께 살아간다.
Perhaps, even at this moment, your life is being captured and stored by CCTV cameras.
아마, 지금 이 순간에도 당신의 삶이 CCTV 카메라에 포착되어 저장되고 있을 것이다.
But the use of monitoring tools to maintain law and order remains a controversial practice.
하지만 법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감시 수단을 사용하는 것은 여전히 논란의 소지가 있는 관행으로 남아 있다.
Although it may increase our safety and security, some people feel it does so at the expense of our privacy.
비록 그것이 우리의 안전과 보안을 증대시킬 수 있을지는 몰라도, 어떤 사람들은 그것이 우리의 사생활을 희생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라고 느낀다.
Logic is the means through which humans use reason to systematically solve problems and understand truths.
논리란 인간이 체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진리를 이해하기 위해 이성을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수단이다.
Sometimes, however, we encounter situations, either real or imagined, in which logic ceases to function as we believe it should and no firm conclusion can be reached.
그러나 때때로 우리는 실제든 상상이든, 우리는 그래야 한다고 믿지만 논리가 작동하기를 멈추고, 확고한 결론에도 도달하지 못하는 상황과 마주치기도 한다.
We call this type of situation a paradox, and one of the simplest, yet most baffling examples is known as the Liar Paradox.
우리는 이런 유형의 상황을 역설이라고 부르며, 이 중 가장 단순하면서도 가장 이해할 수 없다고 알려진 예의 하나가 거짓말쟁이의 역설이다.
The Liar Paradox can be most easily summarized by the following sentence: This statement is false.
거짓말쟁이의 역설은 다음 문장에 의해 가장 쉽게 요약될 수 있다. ‘이 진술은 거짓이다.’
When attempts are made to understand this sentence through logic, they invariably fail to arrive at a single truth.
논리를 통해 이 문장을 이해하기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질 때, 그 시도들은 한 가지 진리에 이르는 것에 항상 실패하게 되어있다.
The problem stems from the fact that we must decide if this statement is true or false.
그 문제는 우리가 이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결정해야만 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If this statement is false, then the opposite of what it asserts must be true, but if the statement is true, then we must accept that it is false.
만약 이 진술이 거짓이라면 그것이 가정하는 바의 반대가 참이어야만 하지만, 그 진술이 참이라면 우리는 그것이 거짓이라는 점을 인정해야만 한다.
The Liar Paradox, in effect, causes logic to run in circles.
사실상 거짓말쟁이의 역설은 논리를 순환하게끔 만든다.
The roots of the Liar Paradox can be traced back to a Cretan philosopher named Epimenides, who stated in the 6th century B.C. that “All Cretans are liars.”
거짓말쟁이의 역설의 유래는 기원전 6세기에 “모든 크레타인들은 거짓말쟁이이다.”라고 말했던 Epimenides라는 이름의 크레타의 철학자로 거슬러 올라간다.
It has been proven, however, that this is not a true paradox, because a logical conclusion can be reached if we accept the fact that this statement is neither an absolute truth nor an absolute falsity.
그러나 만일 우리가 이 진술은 절대적인 참도 아니고 절대적인 거짓도 아니라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논리적인 결론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진정한 역설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다.
If the statement that all Cretans are liars is false, tha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no Cretans are liars.
만일 모든 크레타인들이 거짓말쟁이라는 진술이 거짓이라면, 그것은 크레타인들은 누구도 거짓말쟁이가 아니라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It is possible that some Cretans, apparently including Epimenides, are liars and others are not.
분명히 Epimenides를 포함해서, 일부 크레타인들은 거짓말쟁이이며 다른 사람들은 거짓말쟁이가 아니라고 하는 것이 가능하다.
However, in the 4th century B.C., a Greek philosopher named Eubulides of Miletus refined the idea of the Liar Paradox into the form we know today by presenting the statement “A man says that he is lying. Is what he says true or false?”
그러나 기원전 4세기에 Miletus의 Eubulides라는 이름의 그리스 철학자는 “한 남자가 자신이 거짓말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가 말하는 것은 참인가 거짓인가?”라는 진술을 제시함으로써, 거짓말쟁이의 역설의 개념을 우리가 오늘날 알고 있는 형태로 세련되게 만들었다.
Philosophers and logicians have been debating a solution to this problem ever since, without clear resolution.
그 이후로 철학자들과 논리학자들은 이 문제의 해결책을 논해왔으나, 뚜렷한 해답은 없었다.
Other more complicated versions have been formulated over the years, but they all boil down to the same logical contradiction.
세월이 흐르면서 또 다른 좀 더 복잡한 형태들이 만들어져 왔으나, 그것들 모두 같은 논리적인 모순으로 요약된다.
It is possible that a clear solution will never be reached, but in the meantime the Liar Paradox continues to present an interesting starting point for philosophers and other serious thinkers who seek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ruth and its relation to logic.
이에 대한 명확한 해결책이 절대 얻어지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한편으로 거짓말쟁이의 역설은 진실의 본질과 함께 진실과 논리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추구하는 철학자들과 다른 진지한 사색가들에게 흥미로운 시작점을 계속해서 제공하고 있다.
The famous American architect Frank Lloyd Wright is best known for his “organic” philosophy of design.
유명한 미국인 건축가 Frank Lloyd Wright는 그의 ‘유기적’ 디자인 철학으로 잘 알려져 있다.
He extended the slogan of his mentor Louis Sullivan, “form follows function,” into the idea that “form and function are one,” and he saw nature as the greatest example of this.
그의 스승인 Louis Sullivan의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라는 슬로건을 ‘형태와 기능은 하나이다’라는 개념으로 확장시켰고, 자연을 이것의 가장 훌륭한 본보기로 생각했다.
But rather than trying to imitate or represent nature, Wright wanted to reinterpret nature’s principles in a way that would allow for the creation of structures more natural than nature itself.
하지만 Wright는 자연을 모방하고 나타내려고 하기보다는 자연 그 자체보다 더 자연스러운 구조를 창조해내는 방식으로 자연의 원리를 재해석하려고 했다.
Organic architecture relies on respect for the properties of building materials as well as for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 building’s form and its function.
유기적 건축은 건물의 형태와 기능 사이의 긴밀한 관계뿐만 아니라 건물 자재의 특징을 존중하는 것에 의존한다.
It is also important to integrate the structure and its surroundings into a harmonious whole.
또한 구조물과 그 주변의 것들을 조화로운 완전체로 통합하는 것도 중요하다.
One of the best examples of this is Fallingwater, a home in rural Pennsylvania designed by Wright in 1935.
가장 좋은 예 중 하나는 1935년에 Wright가 디자인한 펜실베니아 외곽에 있는 집인 Fallingwater이다.
It was built over a small waterfall, and it sits perfectly within the landscape that surrounds it.
이 건물은 작은 폭포 위로 지어졌고, 이를 둘러싸고 있는 풍경 속에 완벽하게 자리 잡고 있다.
A large rock even penetrates the home’s floor to form the living room fireplace, merging the natural rock foundation with the house’s interior.
심지어 큰 바위는 집의 마루를 관통하는데, 천연 바위의 토대가 집 내부와 합쳐지면서 거실에 벽난로를 만들었다.
Another great example of organic architecture is 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in New York City.
유기적 건축의 또 다른 좋은 예는 뉴욕시에 있는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이다.
In traditional museum designs, visitors pass through a series of interconnected rooms and retrace their steps when exiting.
전통적인 박물관 디자인에서는 방문객들이 안에서 연결된 방들을 지나다니고 나갈 때에는 그들이 온 길을 되돌아간다.
But Wright designed something completely different — a spiral-shaped building resembling a shell with an open interior.
하지만 Wright는 완전히 다르게 내부가 보이는 조개껍데기와 유사한 나선형의 건물로 디자인했다.
After riding an elevator to the top, visitors can walk leisurely downward along a gently sloping incline.
맨 위층까지 엘리베이터를 탄 후 방문객들은 여유롭게 완만한 경사를 따라 걸어 내려가면 된다.
They are also able to see several different levels of the museum at the same time.
그들은 동시에 박물관의 여러 다른 층을 볼 수도 있다.
In other words, the design itself facilitates the experience of viewing artwork, exemplifying the idea that “form and function are one.”
즉, 그 디자인 자체가 ‘형태와 기능은 하나다’라는 개념의 본보기가 되면서 예술작품을 보는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Wright’s use of organic concepts in these buildings led to designs that were unlike anything that people had ever seen before.
Wright가 이 건물들에 유기적 개념을 사용한 것은 사람들이 이전에 보았던 어떤 것과도 다른 디자인을 만들어냈다.
He even once claimed that, when it came to organic architecture, bad design was impossible.
그는 한번은 유기적 건축이라면 나쁜 디자인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That’s because rather than resulting from an imposed style, his buildings were simply products of their place and time.
주입된 스타일의 결과라기보다 그의 건물들은 그저 그것의 공간과 시간에서 온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Although the word “organic” is used in many different contexts today, it was much less common in Frank Lloyd Wright’s time.
오늘날에는 여러 다른 맥락에서 ‘유기적’이라는 단어가 쓰이고 있지만, Frank Lloyd Wright의 시대에서는 그리 흔하지 않은 것이었다.
His use of the concept in the world of architecture was revolutionary, though, and it has since influenced architects all over the world.
하지만 그가 건축 분야에서 그 개념을 사용한 것은 혁신적이었고, 이후 전 세계에 걸쳐 건축가들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a new architectural style called Art Nouveau was sweeping through Europe.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아르누보라 불리는 새로운 건축양식이 유럽을 휩쓸고 있었다.
It was a reaction to the harshness of the Industrial Age, and it influenced many artistic disciplines.
이것은 산업화 시대의 가혹함에 대한 반작용으로, 많은 예술 분야에 영향을 끼쳤다.
Rigid lines were replaced with flowing curves and explosive forms that simulated organic growth.
딱딱한 선들은 생물의 성장을 본뜬 흐르는 듯한 곡선과 변화가 심한 모양들로 대체되었다.
Among the artists whose works embodied Art Nouveau philosophy, there was one who used its principles to create a style all his own.
그들의 작품에서 아르누보 철학을 구현했던 예술가들 가운데 자신만의 스타일을 창조해내기 위해 그 원리들을 이용한 한 예술가가 있었다.
The Spanish architect Antoni Gaudi’s structures were so innovative and daring that he earned the reputation of being either a genius or a madman.
스페인의 건축가였던 Antoni Gaudi의 건축물들은 매우 혁신적이고 과감해서 그는 천재 또는 미치광이라는 평판을 얻었다.
Numerous influences shaped Gaudi’s unique vision.
Gaudi의 독특한 시각은 여러 가지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He found inspiration in texts on medieval architecture, as well as in contemporary theoretical writings.
그는 당시의 이론적인 저작물들로부터 뿐 아니라 중세 건축물에 관한 자료들로부터도 영감을 발견했다.
Gothic-style art, popular during his youth, also contributed to his artistic formation.
그가 젊었을 당시 유행했던 고딕 양식 예술 또한 그의 예술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Some of Gaudi’s early works mirrored gothic architecture, Art Nouveau, and traditional Spanish designs.
Gaudi의 일부 초기작품들에는 고딕 건축, 아르누보, 그리고 전통적인 스페인 디자인이 반영되었다.
It did not take long, though, for his structures to exhibit a truly original style.
하지만 오래지 않아 그의 건축물들은 진정으로 독창적인 스타일을 드러냈다.
In addition to traditional elements, he was also greatly influenced by shapes he observed in nature.
그는 전통적인 요소들 외에도 그가 자연에서 관찰한 모양들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
His imitation of flowing water and other natural concepts, his incorporation of fantastic arches, and the decorative placement of broken tiles on his buildings’ surfaces became distinctive elements of Gaudi’s architecture.
흐르는 물과 다른 자연의 개념에 대한 모방, 환상적인 아치들의 융합, 그리고 깨진 타일들을 건물의 표면에 장식적으로 배치하는 것은 Gaudi의 건축의 특징적인 요소들이 되었다.
And works which were done in his later years show themes central to Catholicism as well.
그리고 그의 말년 작품들은 가톨릭의 핵심 주제들 또한 보여준다.
Of his many renowned works, the Casa Batllo is one of the most expressive.
그의 많은 유명 작품들 가운데 Casa Batllo는 가장 표현력이 풍부한 작품 중 하나이다.
Originally a grand 19th century house in a fashionable Barcelona neighborhood, it was completely remodeled by Gaudi between 1904 and 1906.
원래는 상류 인사가 사는 바르셀로나 인근 지역에 있는 19세기 대저택이었던 그것은 1904년과 1906년 사이 Gaudi에 의해 완전히 리모델링되었다.
Both inside and out, straight lines were avoided whenever possible.
될 수 있는 한 안과 밖 모두에 직선이 배제되었다.
From the bone-like pillars on the balconies to the irregular arches dominating the interior, the Casa Batllo is truly a unique creation.
뼈처럼 보이는 발코니 기둥에서부터 내부의 주조를 이루고 있는 불규칙한 아치에 이르기까지, Casa Batllo는 정말로 독특한 창작물이다.
However, the work most often associated with Gaudi is the magnificent but still unfinished Barcelona church, the Sagrada Familia.
그러나 가장 흔히 Gaudi와 관련지어지는 작품은 웅장하지만 아직 미완성인 바르셀로나에 있는 교회 Sagrada Familia이다.
Gaudi took over the project in 1883, and he continued working on it until his death in 1926.
Gaudi가 1883년에 작업을 이어 받아, 1926년 사망할 때까지 그 작업을 계속했다.
The basis of the church’s design is gothic in style, but Gaudi added countless touches to transform the structure into an unforgettable religious monument.
그 교회 디자인의 기본은 고딕 양식이지만, Gaudi는 그 건축물을 잊을 수 없는 종교 기념물로 변모시키기 위해 셀 수 없이 많은 손질을 가했다.
When completed, the Sagrada Familia will feature 18 highly ornamental towers, numerous leaning columns, and fluctuating outlines that make the entire church appear to be melting.
완성되었을 때, Sagrada Familia는 18개의 장식탑, 수많은 기울어진 기둥들, 그리고 교회 전체가 녹아내리는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변화무쌍한 윤곽을 특징으로 하게 될 것이다.
It is already Barcelona’s most famous tourist attraction and a striking artistic achievement.
그것은 이미 바르셀로나에서 가장 유명한 관광명소이며 두드러진 예술적 업적이다.
Due to the originality and audacity of his technical solutions and his use of creative ornamentation, Gaudi is the most prestigious figure in the history of Spanish architecture.
기술적인 해법들과 창조적인 장식의 사용에 있어서의 독창성과 과감함 때문에 Gaudi는 스페인 건축계의 역사에서 가장 저명한 인물이다.
Today, his fame worldwide is an unquestioned fact both in the architectural field and among the general public.
오늘날 전세계적인 그의 명성은 건축계와 일반 대중들 사이에서 모두 의심할 여지없는 사실이다.
What is approximately 14,000,000,000 years old and was once smaller than a grape?
약 140억 년이나 되었으면서 한때는 포도알갱이보다도 더 작았던 것은 무엇일까?
The answer is, surprisingly, the universe at the time of creation.
그 답은 놀랍게도 생성 당시의 우주이다.
This idea is at the very heart of a scientific theory called the Big Bang, which postulates that the universe emerged suddenly out of a tremendously hot, volatile, and dense state roughly 13.7 billion years ago.
이 생각은 바로 빅뱅이라고 불리는 과학적 이론의 핵심적인 부분인데, 그 이론은 우주가 약137억 년 전에 엄청나게 뜨거운 휘발성의 높은 밀도 상태에서 갑자기 나타났다고 간주한다.
The Big Bang is based upon the theories and observations of many 20th century scientists.
빅뱅은 많은 20세기 과학자들의 이론과 관찰에 근거를 두고 있다.
Edwin Hubble constructed the foundation of the Big Bang theory with the discovery that the universe is continually expanding outwards and that a galaxy’s velocity is proportional to its distance from Earth.
Edwin Hubble은 우주가 계속해서 외부로 팽창하고 있으며 은하의 속도는 지구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한다는 발견을 가지고 빅뱅 이론의 기초를 구성했다.
What this means is that galaxies twice as far from Earth are moving twice as fast as those at half the distance.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지구로부터 2배 멀리 떨어져 있는 은하는 그 반만큼의 거리에 있는 은하보다 2배로 빨리 움직이고 있다는 것이다.
It has taken every galaxy the same amount of time to move from a common starting point in the universe, and that point would be where the Big Bang occurred.
모든 은하가 우주 안의 공통된 시작점으로부터 이동하는 데에는 똑같은 시간이 걸렸으므로, 그 시작점이 바로 빅뱅이 발생한 곳이 될 수 있다.
This fact remains the cornerstone of the Big Bang theory, which was sarcastically termed by one of Hubble’s detractors, Fred Hoyle.
이 사실은 빅뱅 이론의 토대가 되었는데, 이러한 명칭은 Hubble을 비방했던 사람 중 한 명인 Fred Hoyle에 의해 비꼬는 투로 붙여진 것이었다.
Four decades after Hubble’s observations and analysis, two astronomers, Arno Penzias and Robert Wilson first detected the sound of cosmic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 which is the form that had been expected as a result of a Big Bang creation of the universe.
Hubble의 관찰과 분석이 있은 지 40년 후에, 두 명의 천문학자 Arno Penzias와 Robert Wilson이 최초로 우주 초단파 배경 방사선의 음파를 감지했는데, 그것은 빅뱅에 의해 창조된 우주의 결과물일 것이라고 기대되어왔던 형태였다.
They had built sophisticated antennae to listen for sounds in space and picked up a noise that seemed to be arriving from all directions simultaneously.
그들은 우주에서의 소리를 듣기 위해 정교한 안테나를 설치했으며 모든 방향으로부터 동시에 도착하는 것처럼 보이는 잡음을 감지해냈다.
The sound was radiation from the outer regions of the universe left over from the Big Bang.
그 음파는 빅뱅으로부터 남겨진 우주의 바깥쪽 지역에서 방사되는 것이었다.
This discovery helped subsequent astronomers to find more evidence in support of the Big Bang theory.
이 발견은 이후의 천문학자들이 빅뱅 이론을 뒷받침할 수 있게 하는 더 많은 증거를 찾는 것을 도왔다.
The next major piece of evidence emerged from data gathered from NASA’s COBE satellite in the 1990s.
그 다음의 주된 증거는 1990년대에 NASA의 COBE 위성에 의해 수집된 자료로부터 드러났다.
Scientists composed a series of maps after investigating hundreds of millions of precision measurements in the data they had collected.
과학자들은 그들이 수집한 자료 속에서 수억개의 정밀 측정을 조사한 후에 일련의 지도를 구성해냈다.
These maps demonstrated temperature fluctuations across the universe.
이들 지도는 우주 전역에 걸친 기온의 변동을 보여주었다.
The temperature variation was consistent with Big Bang predictions, so these maps became crucial evidence in support of the Big Bang theory.
그 기온 변화는 빅뱅 이론의 예측과 일치했으며, 따라서 이 지도들은 빅뱅 이론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증거가 되었다.
The studies and efforts of many scientists have altered our perspective of the universe.
많은 과학자들의 연구와 노력은 우주에 대한 우리의 관점을 바꾸어 놓았다.
While it was once thought to be a constant space, it is now seen as a changing space.
한때는 이것이 불변하는 공간이라고 생각되었지만, 지금은 변화하는 공간이라고 보여진다.
Thanks to the Big Bang theory, we have been able to somewhat answer the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origins of the universe.
빅뱅 이론 덕분에 우리는 우주의 기원이라는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 어느 정도 대답할 수 있었다.
But we will need continuous questioning and reevalu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universe more clearly.
하지만 우리는 우주를 좀 더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의문과 재평가를 필요로 할 것이다.
Science fiction films and novels have long focused on the search for intelligent life elsewhere in the universe.
공상 과학 영화나 소설에서는 우주 어딘가에 있을 지능이 있는 생명체를 찾는 것에 오랫동안 초점을 맞춰 왔다.
That search has moved beyond science fiction, as real-life scientists strive to make this dream a reality through a series of projects dubbed SETI.
실제 과학자들이 SETI라고 불리는 일련의 프로젝트를 통해 이 꿈을 실현하려 노력함에 따라, 그러한 탐색은 공상과학의 차원을 넘어서 왔다.
SETI is an acronym for 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SETI는 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의 두문자어이다.
It began in 1959, when Giuseppe Cocconi and Phillip Morrison published a paper exploring methods of detecting alien messages from outer space.
그것은 Giuseppe Cocconi와 Phillip Morrison이 우주 공간에서 외계인의 메시지를 탐지하는 방법을 연구한 논문을 발표했던 1959년에 시작되었다.
They concluded that the best method was radio waves.
그들은 가장 좋은 방법이 전자파라고 결론지었다.
Radio waves have the capability to travel across space and can be generated with a moderate amount of energy.
전자파는 우주를 횡단할 수 있고 적당한 양의 에너지로 생성될 수 있다.
Human civilization has been beaming radio waves into space for many years, so it seemed logical that an alien civilization would do likewise.
인류 문명이 오랜 시간 동안 전자파를 우주로 발산해 왔기 때문에, 외계 문명도 똑같이 그래왔을 것임은 당연한 듯 보여졌다.
Around the same time that Cocconi and Morrison were publishing their paper, an astronomer named Frank Drake was launching an actual search.
Cocconi와 Morrison이 그들의 논문을 발표한 것과 비슷한 시기에 Frank Drake라는 천문학자는 실제 탐색에 착수하고 있었다.
Project Ozma, the first modern SETI experiment, used radio telescopes to scan a few distant stars for radio signals.
최초의 현대 SETI 실험인 Ozma 프로젝트는 전파 신호를 찾기 위해 몇몇의 멀리 있는 별들을 전파망원경을 사용해서 조사했다.
The stars were chosen because of their similarity to our sun, in the hope that they might be orbited by a planet capable of supporting life.
그 별들은 우리의 태양과 유사해서 선택되었는데,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이 그것들의 주위를 돌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에서였다.
Drake was later appointed president of the SETI Institute, where he coordinated Project Phoenix.
Drake는 나중에 SETI 연구소의 소장으로 임명되었고, 거기에서 Phoenix 프로젝트를 조직했다.
Project Phoenix scanned the skies from 1995 until 2004 using an assortment of radio telescopes located around the world.
Phoenix 프로젝트에서는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전 세계의 다양한 전파 망원경들을 사용하여 하늘을 조사했다.
It scrutinized 800 stars across a range of radio frequencies, employing technology with detection capabilities far more sensitive than Project Ozma, but like all the preceding searches, it failed to produce any tangible results.
그것은 다양한 무선 주파수의 800개의 별을 세밀히 조사했는데, Ozma 프로젝트보다 훨씬 더 민감한 감지 능력이 있는 기술을 이용했지만, 모든 다른 앞선 탐색이 그랬듯이 어떤 확실한 결과를 내지는 못했다.
Despite these setbacks, the quest continues with SETI@home, an ongoing project established in 1999 that allows anyone to participate in the search from their own home.
이런 좌절에도 불구하고 SETI@home 프로젝트와 함께 탐색은 계속 되었는데, 이것은 누구든 자신의 집에서 탐색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1999년에 설립되어 현재까지 진행중이다.
Individuals can download software from the SETI@home website, enabling their personal computers to become components of an assembled supercomputer.
개개인은 SETI@home 웹 사이트에서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아서 자신의 개인 컴퓨터를 집합체인 슈퍼컴퓨터의 구성요소가 되게 할 수 있다.
Data is transmitted to each computer in the system, where it is processed and returned.
정보는 그 시스템에 있는 각 컴퓨터에 전송되고, 거기에서 처리되어 다시 보내진다.
All of this computing power is applied to analyzing the vast amount of data gathered by SETI telescopes.
이 모든 연산력은 SETI 망원경으로 모은 방대한 양의 정보를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Currently, more than 5 million people are volunteering their home computers to SETI@home.
현재 500만이 넘는 사람들이 자신의 가정용 컴퓨터를 자발적으로 SETI@home에 제공하고 있다.
The scientific legitimacy of the SETI projects has been questioned by some who point to a lack of results as proof that the search is a fruitless waste of money.
결실이 부족한 것은 곧 그 탐색이 헛된 돈 낭비라는 증거라고 지적하는 일부 사람들에 의해 SETI 프로젝트의 과학적 타당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But SETI participants still hold out hope for the detection of an advanced extraterrestrial civilization that can transform our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 and help us resolve some of the crises faced by our planet.
그러나 SETI 참가자들은 여전히 우주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바꿔줄 수 있고 우리 행성이 직면한 위기를 해결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는 고도화된 외계 문명의 발견을 기대하고 있다.
The term “lobbying” originated in the United States almost two centuries ago, when representatives of interest groups would gather in the lobbies of state legislatures and the Congress to persuade politicians to support their causes.
‘로비’라는 용어는 거의 두 세기 전 미국에서 이익집단의 대표들이 자신들의 목표를 정치인이 지지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주의회와 연방의회의 로비에 모이곤 했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Today, the term is used more widely to include any effort that individuals or groups make in an attempt to influence government policy.
오늘날 이 용어는 좀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개인이나 그룹이 정부정책에 영항을 끼치려고 시도하는 모든 노력을 포함한다.
Lobbying has become an important feature of the democratic process, as it provides citizens with the opportunity to have an impact on public policy.
로비는 국민들에게 공공정책에 영향을 끼칠 기회를 제공해 준다는 점 때문에 민주주의 과정에서 중요한 한 특징이 되었다.
Through exerting pressure on politicians who are constantly involved in decision-making processes, citizens can intervene in those processes to have their demands satisfied.
의사결정 과정에 지속적으로 관여하는 정치인들에게 압력을 가함으로써 국민들은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그 과정들에 개입할 수 있다.
Their efforts often lead to improvements for the social good, like the positive changes Mothers Against Drunk Driving have been able to help implement in the U.S. to combat drunk driving.
그들의 노력은 Mothers Against Drunk Driving이란 단체가 음주운전을 없애기 위해 미국 내에서 실시하도록 한 긍정적인 변화와 같은 사회적인 이익의 증대로 종종 이어지기도 한다.
A lot of changes — such as child labor laws and public school improvement — have been achieved through the active involvement of people who felt something needed to change.
아동 노동법과 공립학교 개선과 같은 많은 변화들은 뭔가 변화가 필요하다고 느낀 사람들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이루어졌다.
We are more likely, however, to hear reports in the media about the negative effects of lobbying.
하지만 우리는 로비의 부정적인 결과들에 대한 언론 보도를 듣게 되는 경우가 더 많다.
We have all heard or read reports of the cozy relationships some lobbyists have with elected officials.
우리 모두는 일부 로비스트들이 선출직 정부 관리들과 맺고 있는 유착 관계에 대한 보도를 듣거나 읽어본 적이 있다.
The most obvious example is politicians who sell their support on an issue for cash, and it usually happens in the form of trading votes for campaign funds from lobbyists.
가장 분명한 예는 어떤 사안에 대한 본인의 지지를 돈을 받고 파는 정치인들이며, 이는 보통 표를 로비스트로부터의 선거운동자금과 맞바꾸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These clear cases of bribery and corruption aside, people tend to think that some of the major interest groups may have an unfair advantage in gaining access to elected officials precisely because of their size and power.
이러한 뇌물수수나 부패와 같은 명백한 사례들을 제쳐둔다 하더라도, 사람들은 일부 주요 이해집단이 정확히 말하면 그들의 규모와 힘 때문에, 선출직 정부관리들에게 접근하는 데 있어 불공정한 이점을 가질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Besides, sometimes the views of powerful lobbying groups, which represent a particular side of an issue, may not serve the common good.
게다가 어떤 사안에 대해 특정한 입장만을 대변하는 강력한 로비집단의 견해는 공공선에 부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Despite these problems, there is no denying that lobbyists already perform a crucial role in the democratic system.
이런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로비스트들이 민주적인 제도에서 이미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Therefore, the argument that it would be better to reform their practices than to outlaw them completely has been raised.
따라서 그들을 법적으로 금지하는 것보다는 그들의 관행을 개혁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왔다.
This can be brought about by making the entire process of lobbying more transparent and open to public scrutiny.
이는 로비의 전 과정을 보다 투명하고 대중들이 상세히 볼 수 있도록 공개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U.S., lobbyists are required to register and file reports following meetings with lawmakers.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로비스트들이 입법자들과 만남을 가진 후 보고서를 작성,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And politicians, for their part, could be forced to provide public access to their appointment books so that their meetings and agendas would become part of the public record.
그리고 정치인들에 대해서는, 그들의 모임과 일정이 공적인 기록의 일부가 되도록 그들의 일정표를 일반 대중에게 공개하는 것을 의무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With these complementary measures, lobbying could be expected to operate as an effective tool in the process of democracy.
이러한 보완책들이 마련된다면, 로비는 민주주의 과정에 있어 효과적인 도구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될 수 있다.
In modern politics, the manifesto has often been employed by political parties to outline their policy plans to the public.
현대 정치에서 매니페스토는 정당들이 자신들의 정책 계획을 대중에게 개괄적으로 설명할 목적으로 종종 사용되곤 했다.
The typical manifesto includes the intended results of the proposed policies, the method by which they will be carried out, and a timetable for doing so.
전형적인 매니페스토는 제안된 정책들이 의도했던 결과, 그 정책들이 수행되어질 방법, 그리고 그렇게 실행할 계획표를 포함한다.
Theoretically, a party’s manifesto acts as a contract between it and its constituents.
이론적으로는 한 정당의 매니페스토는 그 정당과 선거인들 간의 계약으로 작용한다.
The first political manifesto was delivered in England in 1834.
최초의 정치적인 매니페스토는 1834년 영국에서 선포되었다.
It was actually a transcription of a speech given by Sir Robert Peel in the town of Tamworth; it was then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그것은 실제로는 Robert Peel경이 Tamworth의 시내에서 했던 연설의 필사본이었고, 그 후에 전국으로 배포되었다.
It summarized the principles of the Conservatives and became known as the Tamworth Manifesto.
그것은 보수당원들의 원칙을 요약한 것으로, Tamworth 매니페스토라고 알려지게 되었다.
British politics still relies heavily on manifestos released by the country’s various parties, and sometimes they are so pivotal that they can be the decisive factor in a party’s failure or success in an election.
영국의 정치는 여전히 그 나라의 다양한 정당들에 의해 발표되는 매니페스토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때로는 그것이 너무나도 중추적인 역할을 해서 선거에서 한 정당의 실패나 성공에 있어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1983, the ruling Conservative Party was faced with the disappointment of voters and an almost sure defeat at the hands of the Labour Party, yet the radical and unpopular policies put forward in Labour’s manifesto of that year caused voters to reelect the Conservatives.
예를 들어 1983년 집권 보수당은 유권자들의 실망에 직면하여 노동당에게 패배할 것이 거의 확실시되었지만, 그해 노동당의 매니페스토에 제안되었던 급진적이고 평판이 좋지 못한 정책들이 유권자들로 하여금 다시 보수당을 뽑도록 만들었다.
Then, fourteen years later, the Labour Party reversed its fortunes with its manifesto of 1997, which described the ideals of a “New Labour” and laid out ten policy pledges that led the Party to victory.
그리고 14년 후, 노동당은 1997년의 매니페스토로 그 운명을 뒤바꾸었는데, 그것은 ‘새로운 노동당’의 이상을 묘사하고, 당을 승리로 이끌어 준 10가지의 정책 공약을 제시했다.
Use of the manifesto is not limited to England, however, and it has been introduced to Japan and Korea.
하지만 매니페스토의 사용은 영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그것은 일본과 한국에도 도입되었다.
The year 2003 saw numerous Japanes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lobby for the introduction of manifestos to the country’s political system, and Japanese politicians have responded eagerly to this movement.
2003년에 많은 일본의 비정부 조직들이 국가의 정치 시스템에 매니페스토를 도입하기 위해 로비했으며, 일본 정치가들도 이 운동에 대해 열렬한 반응을 보였다.
Korea witnessed a similar push for political manifestos in 2006, and candidates in local elections fully embraced them.
한국에서는 2006년에 정치적인 매니페스토에 대한 유사한 추진 노력이 있었고 그것은 지방 선거의 후보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졌다.
Proponents of manifestos in these two countries hope the changes will focus elections more closely on concrete policies rather than on issues such as personal relationships and vague party ideology.
이들 두 국가에서 매니페스토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그 변화를 통해 선거가 개인적인 관계나 모호한 당의 이데올로기와 같은 사안들보다는 구체적인 정책에 좀 더 집중되기를 희망한다.
They also believe manifestos can eliminate some of the ambiguity over policies both within individual parties and among the different parties involved in forming a government.
또한 그들은 매니페스토가 개별 정당과 정부 구성에 관여된 각기 다른 정당 모두에게 있는 정책에 대한 모호함을 없앨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Many other countries in addition to Japan and Korea are expected to benefit from such political modifications.
일본과 한국 외에도 다른 많은 국가들이 이러한 정치적인 변화로 인해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However, for manifestos to truly be capable of bringing positive change, political parties must follow through with the plans they advance.
그러나 매니페스토가 진정한 의미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 위해서는 정당들이 그들이 제출한 계획들을 충실히 수행해야만 한다.
Not only must they enact their promised policies, but they must also effectively evaluate the success of those policies.
그들은 공약한 정책을 법률로 제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정책들의 성공 여부를 효과적으로 평가해야만 한다.
Nor should it be forgotten that the public has an essential role in monitoring the elected party to ensure it upholds the principles of its manifesto.
선출된 정당이 그들의 매니페스토 원칙을 확실히 유지하고 있는지를 감시하는 데에 있어 대중들이 필수불가결한 역할을 맡고 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Perhaps you’ve seen it on a television program or in a movie: the doctor stands before a patient and magically guides him or her into a hypnotic state.
아마도 당신은 TV 프로그램이나 영화 속에서 의사가 환자 앞에 서서 마술처럼 그 환자를 최면 상태로 인도하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In reality, hypnosis is a technique by which one can cause another to enter a state in which he or she is highly susceptible to suggestion.
실제로 최면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어떤 제안을 매우 쉽게 받아들이는 상태로 들어가도록 유도할 수 있는 기법이다.
Although its roots date back to ancient Greece, hypnosis remains somewhat of a mystery even today.
최면의 기원이 고대 그리스까지 거슬러 올라감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오늘날까지도 신비스러운 것으로 남아있다.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inducing hypnosis, but generally the hypnotist leads the subject into a progressively deeper state of relaxation.
최면을 유도하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최면술사는 최면의 대상자가 점차 더 깊은 긴장 완화 상태가 되도록 이끈다.
The subject may appear to be asleep but is, in actuality, so acutely focused on the hypnotist that he or she will likely follow the hypnotist’s suggestions without a second thought.
대상자는 잠든 것처럼 보일지도 모르지만, 실제로는 최면술사에게 예민하게 집중되어 있어서 망설임 없이 최면술사의 제안에 따르게 되기 쉽다.
It has been proven, however, that the subjects cannot be coerced into committing acts while hypnotized that they would strongly object to under normal conditions, such as harming themselves or others.
그러나 어떤 사람이 최면에 빠진 동안에 자신이나 남을 해치는 것과 같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라면 완강히 거부할 만한 행동들을 하도록 강요당할 수는 없다는 사실이 입증된 바 있다.
In order to understand a hypnotic stat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brain activity under hypnosis closely resembles the patterns of someone who is asleep.
최면의 상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최면 상태에서의 두뇌 활동이 잠들어 있는 사람의 두뇌 활동 패턴과 거의 유사하다는 사실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Our brains are divided into two primary sections: the right hemisphere controls imaginative actions, while the left hemisphere is in charge of logic.
우리의 두뇌는 두 개의 주된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우뇌는 창의적인 행동을 관장하는 한편, 좌뇌는 논리를 담당하고 있다.
In both a state of hypnosis and sleep, activity in the right hemisphere has been shown to increase, while activity in the left decreases.
최면과 수면 상태 양쪽 모두에서 우뇌의 활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에, 좌뇌의 활동은 감소한다.
Some scientists have speculated that this is because hypnosis causes the subconscious mind, which handles background tasks that require no thought, to step to the forefront, allowing the subjects to follow suggestions without filtering them through the formalities of logic.
일부 과학자들은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최면이 사고를 요하지 않는 배경적 정보 처리 업무를 담당하는 잠재의식의 정신을 전면에 나서게 하고, 대상자로 하여금 논리적 절차를 통해 제안들을 선별하지 않고 그것들을 따르게끔 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해 왔다.
Hypnosis has been used as a psychological treatment in a variety of ways.
최면은 다양한 방법으로 심리학적인 치료 수단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It can be particularly effective in helping people deal with breaking bad habits, such as smoking or overeating, by reforming behavioral patterns in the subconscious mind.
그것은 잠재의식의 사고 속에서 행동 유형을 교정함으로써, 사람들이 흡연이나 과식과 같은 나쁜 습관을 고치는 것을 돕는 데에 특히 효과적일 수 있다.
Some also look at hypnosis as a means of overcoming phobias; hypnosis can clarify difficult issues and bring resolution to persistent problems by accessing fears, memories, and repressed emotions related to a specific object or situation.
어떤 사람들은 최면을 공포증을 극복하는 수단으로 보기도 하는데, 이 경우 최면은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과 관련된 공포와 기억, 억압된 감정에 접근함으로써 어려운 쟁점들을 명확하게 해주고 지속적인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가져다준다.
It has even been suggested that hypnosis may assist patients with asthma by helping them relax and control their breathing.
최면이 천식 환자들의 긴장 완화와 호흡 조절을 도움으로써 그들을 도울 수 있다는 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But, while the use of hypnosis may be associated with positive therapeutic results, there is as yet no definitive clinical proof to support the effects observed.
그렇지만 최면의 사용이 긍정적인 치료 결과와 관련지어질 수도 있는 반면, 관찰된 효과들을 뒷받침해주는 명확한 의학적 근거는 아직 없다.
Modern science has uncovered many facts about the inner workings of hypnosis, but much remains unknown.
현대 과학은 최면의 내부 작용에 대해 많은 사실들을 발견해왔지만, 여전히 많은 부분이 알려지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Further in-depth studies of hypnosis may help us understand the secrets of the unconscious mind and develop truly beneficial therapeutic applications.
최면에 대한 더 면밀한 연구는 우리가 무의식적인 사고의 비밀을 이해하고, 정말로 유익한 치료 적용법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지도 모른다.
A critically ill patient lies on a hospital bed, his condition taking a turn for the worse.
중태인 한 환자가 병원 침대에 누워있는데, 그의 상태는 더 악화되고 있다.
Suddenly, he feels himself rising up out of his body and floating toward a bright light.
갑자기 그는 자신이 자기의 육신으로부터 일어나서는 밝은 빛을 향해 떠올라가는 것을 느낀다.
But he panics and returns to his body.
하지만 그는 공포에 질려, 자기 육신으로 돌아온다.
Later, his doctors inform him he was clinically dead for two minutes.
후에, 의사들이 그가 2분간 의학적으로 죽은 상태였다고 그에게 알려준다.
What happened to this man?
이 남자에게는 무슨 일이 일어났던 걸까?
Like millions of other people, he has undergone a near-death experience.
다른 수백만 명의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임사 체험을 한 것이다.
Accounts of this type of incident date back thousands of years, and they all have common traits to link them together.
이런 유형의 사건에 대한 설명들은 수천 년을 거슬러 올라가고 그것들 모두는 서로 연결되는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The experience begins with some sort of injury or illness bringing them to the brink of death, followed by a feeling of great peace and the sensation of rising out of their bodies.
그 체험은 그들을 죽음의 문턱으로 데려가는 일종의 부상이나 질병으로 시작되며, 아주 평화로운 느낌과 자신의 육신을 벗어나 떠오르는 느낌이 이어진다.
They proceed to move through a tunnel toward a bright light until they enter into another realm where they encounter intelligent beings that communicate with them.
그들은 그들과 의사소통할 지적인 존재들과 우연히 만나는 또 다른 영역으로 들어갈 때 까지밝은 빛을 향해 터널 속을 통과한다.
At this point, they are either commanded to return to their bodies, or they choose to move away from the light, and the experience ends.
이 시점에서 그들은 자신의 육신으로 되돌아갈 것을 명령 받거나, 혹은 자신이 그 빛으로부터 멀리 떠날 것을 선택하게 되고, 그 체험은 끝이 난다.
Supernatural interpretations of these experiences differ based on prevailing cultural beliefs of life after death.
이러한 체험에 관한 초자연적인 해석들은 사후의 삶에 대한 지배적인 문화적 신념에 기반하여 차이가 있다.
A basic view on the experience might regard the voices in the light as departed loved ones or creatures from another dimension trying to communicate with us.
그 체험에 대한 기본적인 견해는 빛 속의 목소리를 이미 세상을 떠난 사랑하는 사람들 또는 다른 차원에서 온 생명체가 우리와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것이라고 간주하기도 한다.
But from a religious point of view, it might appear that the person’s soul briefly departs their body to journey through the border between the known world and the afterlife, encountering God, angels or some other form of deity, before returning.
그러나 종교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그러한 경험은 한 사람의 영혼이 알려져 있는 세계와 사후세계 사이의 경계를 거쳐 여행을 하기 위해 잠시 자신의 육체를 떠났다가, 돌아오기 전에 신, 천사들 혹은 다른 형태의 신적 존재를 만나는 것이라고 여겨진다.
A more scientific explanation centers on the way our brain deals with the information it receives from our senses.
좀 더 과학적인 설명은 우리의 두뇌가 감각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When a person is near death, the brain can malfunction and misread the data it receives.
어떤 사람이 죽음에 임박해 있을 때, 두뇌는 오작동하거나, 전달받은 정보를 잘못 해독할 수 있다.
A lack of oxygen can be misinterpreted as a floating sensation, while an overload of visual information is seen as a bright, white light.
산소의 부족은 떠오르는 듯한 느낌으로 잘못 해석될 수 있는 한편, 시각적 정보의 과부하는 밝고 흰 빛으로 보일 수도 있다.
The feeling of calmness has been attributed to an increase in endorphin levels triggered by the brain during traumatic events.
고요한 느낌은 정신적인 쇼크 동안 두뇌에 의해 유발되는 엔도르핀 수치의 상승 탓으로 여겨진다.
Later, as patients try to understand what has happened, they filter the experience through their belief systems and come up with startlingly similar tales.
그 후에 환자들이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이해하려고 애쓸 때, 그들은 자신의 신념 체계를 통해 그 경험을 여과해 내어 놀랍도록 비슷한 이야기들을 내놓는다.
There is no way to know for certain whether a near-death experience is really a glimpse into the afterlife or just a trauma-induced hallucination.
임사 체험이 정말로 사후세계에 대한 짧은 목격인지 아니면 그저 정신적 쇼크에 의해 유발되는 환상인지는 확실하게 알 방법이 없다.
But it is possible that this curious phenomenon can be helpful for human beings to understand more about the mysteries of death.
하지만 이 기이한 현상이 인간으로 하여금 죽음의 신비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이해하도록 도울 수는 있을 것이다.
One man’s meat is another man’s poison:
한 사람의 고기가 다른 사람에게는 독이 될 수도 있다.
What one group of people views as a delicious meal might inspire shudders of repulsion in another.
한 무리의 사람들이 맛있는 식사로 간주하는 것이 다른 사람들에게는 혐오감으로 몸서리쳐지는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Few Westerners would consider dining on insects, yet in many places they’re considered to be a perfectly acceptable source of food.
서양인들은 곤충을 먹는 것을 고려해보는 일이 거의 없지만, 많은 지역에서 곤충은 완벽하게 용인되어지는 음식재료로 여겨진다.
Two well-known examples of a food being considered unacceptable are the Hindu prohibition against eating cow flesh and the Muslim custom of avoiding swine, and there are scores of lesser-known examples around the world.
받아들여질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는 음식의 잘 알려진 두 가지 예는 힌두교도들이 소고기를 먹는 것을 금지하는 것과 돼지고기를 피하는 이슬람교의 관습이며, 전 세계에 걸쳐 그보다 덜 알려진 사례들이 많이 있다.
So why are certain foods banned or considered unacceptable in some cultures?
그러면 왜 특정한 음식이 어떤 문화권에서 금지되거나 받아들여질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일까?
Are there any special meanings or ideas in these taboos?
이러한 금기에는 특별한 의미나 사상이 있는 것일까?
Sometimes, food taboos fulfill a symbolic role.
때때로 음식의 금기는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For example, the Hebrew Bible prohibits the consumption of certain animals, such as pigs and shellfish.
예를 들어, 히브리 성서에는 그들이 돼지나 조개와 같은 특정한 동물의 섭취를 금하고 있다.
It’s not clear what led to these taboos, but it is obvious that they serve to define the line between “us” and “them.”
무엇이 이러한 금기를 낳았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그것이 ‘우리’와 ‘그들’ 간의 경계를 명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This type of taboo can create vital cohesion within a culture that exists side by side with rival cultures.
이러한 유형의 금기는 경쟁 관계인 문화들과 나란히 존재하는 문화 내에서 필수 불가결한 응집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In the past, the Catholic Church banned the eating of meat on Fridays, even though it was acceptable the rest of the week.
과거 카톨릭 교회는 고기 먹는 것을 일주일 중 나머지 기간에는 허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금요일에는 금했다.
The ritual of eating fish one day a week allowed Catholics to differentiate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Protestant neighbors, and subsequently drew them closer together.
일주일에 한 번씩 생선을 먹는 의식은 카톨릭 교도들로 하여금 그들 자신을 신교도 이웃들과 구별되도록 해주었으며, 결과적으로 그들은 더 친밀감을 느끼게 되었다.
There can also be some very practical reasons for prohibiting a particular type of food.
특정한 유형의 음식을 금지하는 데에는 매우 실용적인 이유가 있을 수도 있다.
Some scholars believe that the ban on eating cows in India has its roots in economic pragmatism.
일부 학자들은 인도에서 소고기를 먹는 것을 금지하는 것은 경제적인 실용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믿는다.
A cow offered more value to a village alive than it could as someone’s meal.
소는 그것이 누군가의 식사거리로 사용되는 것보다 살아있는 것이 한 마을에 더 많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Because its dung was used as fuel for fires, its milk provided children with nutrition, and its strength made it a tireless laborer in the fields, the taboo was in place to prevent the whims of one hungry person from damaging the whole community.
소의 배설물은 불을 위한 연료로 사용되었고 소의 젖은 아이들에게 영양을 제공했으며, 소의 힘은 들판에서 지치지 않는 노동력을 제공했기 때문에, 그 금기는 한 배고픈 사람의 일시적인 기분으로 인해 전체 공동체가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에 적절한 것이었다.
There have also been cases that seem to stem from environmental concerns, such as the taboo the Achuara tribe of the Amazon rainforest has against eating tapirs, possibly to protect the animals from extinction.
또한 아마존 열대우림의 Achuara족이 아마도 맥이 멸종되는 것을 막기 위해 그것을 먹지 않는 금기와 같이 환경적인 우려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지는 사례들도 있다.
When seeking to understand a foreign culture, although we tend to focus on rituals and practices, there is also much to be learned from observing what people don’t do.
외국의 문화를 이해하고자 노력할 때 우리는 의식이나 풍습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기는 하지만, 사람들이 하지 않는 것을 관찰하는 것에서도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In this sense, knowing what people don’t eat can be an integral part of a balanced comprehension of their society.
이런 의미에서 사람들이 무엇을 먹지 않는지를 아는 것은 그들 사회를 균형있게 이해하는 데 있어 없어서는 안 될 부분이 될 수 있다.
Examining the motivations behind food taboos can provide us with an illuminating perspective on the feelings and beliefs of people we may otherwise find strange.
음식 금기의 이면에 있는 동기들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은 우리가 이상하다고 생각할지도 모르는 다른 사람들의 감정이나 신념에 대해 해명하는 관점을 제공해준다.
Who we are is reflected in what we won’t eat, as well as in what we will.
우리가 어떤 사람들인지는 우리가 먹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가 먹지 않는 것에도 반영되어 있다.
High in the Andes Mountains of Peru is the city of Machu Picchu, the most significant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site in South America.
페루의 안데스 산맥의 높은 곳에는 남미에서 역사적, 고고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장소인 마추픽추라는 도시가 있다.
It is the largest remaining vestige of a civilization that stretched from Ecuador to Chile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but was wiped out after the Spanish conquered the continent in 1532.
그것은 15세기와 16세기에는 에콰도르로부터 칠레까지 뻗어나갔지만 1532년에 스페인 사람들이 그 대륙을 점령한 이후에 소멸된, 문명의 가장 크게 남아있는 자취이다.
Also called the “Lost City of the Incas,” Machu Picchu remained unnoticed by outsiders because of its position on a 2,400-meter-high ridge that is surrounded by mountains and steep cliffs.
‘잉카의 잃어버린 도시’라고 불리기도 하는 마추픽추는 산맥과 가파른 낭떠러지에 둘러싸인 2,400미터나 되는 산등성이에 위치한 덕분에 외부인들의 눈에 띄지 않고 남아있었다.
Guided by a local resident, an American archaeologist came upon it in 1911 and reintroduced it to the world.
원주민에게 안내를 받아서, 한 미국인 고고학자가 1911년 그곳에 다다랐으며 그곳을 세계에 다시 소개했다.
Machu Picchu’s 140 stone buildings are well preserved, which gives scientists the opportunity to study in detail the architecture and culture of the Inca.
마추픽추의 140개 석조 건물들은 잘 보존되어 있어서, 과학자들에게 잉카의 건축과 문화를 상세히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What archaeologists and visitors find most impressive is the technique the Inca employed to construct the city.
고고학자들이나 관광객들이 가장 인상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그 도시를 건축하기 위해 잉
카인들이 사용했던 기술이다.
It is just amazing how they cut huge stones into even pieces to build walls and houses on steep inclines.
그들이 가파른 경사면 위에 벽이나 집을 짓기 위해 거대한 석재를 동일한 조각으로 잘라낸 방법은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Using a method called “drystone” or “ashlar,” huge stones were cut so precisely that they fit together and stay in place without the use of mortar or any other binding material.
‘drystone’ 또는 ‘ashlar’라고 불리는 방법을 통해 거대한 석재가 너무도 정밀하게 잘려져서 회반죽이나 다른 어떤 결합제의 사용 없이도 한데 맞추어져 그 자리에 유지될 수 있었다.
Scientists consider such precision highly sophisticated for a 15th century society.
과학자들은 이러한 정밀성은 15세기의 사회에서는 매우 정교한 기술이라고 기술이라고 여긴다.
Another notable aspect of Machu Picchu is its irrigation system, which allows water to circulate throughout the city.
마추픽추에서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점은 관개수로 시스템으로, 그것은 물이 시내 전체를 순환하게 한다.
Water was redirected from a nearby river so that it flowed along a path carved into the rock to fill fountains, ponds, and agricultural terraces.
근처의 강에서 흘러나온 물은 방향을 틀어 돌에 새겨진 길을 따라 흘러 분수, 연못, 계단식 경작지를 가득 채웠다.
These multi-tiered terraces were established on the sides of the mountains because there was no flat land for traditional fields.
이러한 다층 구조의 계단식 경작지는 산기슭에 만들어졌는데, 왜냐하면 전통적인 밭에 적합한 평지가 없었기 때문이다.
What is ingenious about this method is that the inhabitants did not have to worry about the amount of rainfall needed to keep their crops growing, as the aqueduct system drew on water from the rivers.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기발했던 것은 수로 시스템이 강으로부터 물을 끌어오기 때문에 주민들이 농작물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강수량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었다는 것이다.
The system was constructed so well that certain parts of it are reported to be still working today.
이 시스템은 너무 잘 지어져서 그중의 일부는 지금도 여전히 작동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Machu Picchu is a valuable symbol of Inca culture and is recognized by UNESCO as a World Heritage Site.
마추픽추는 잉카 문화의 소중한 상징이며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문화유산으로 인정받는다.
Its remarkable architecture and irrigation system give us a glimpse into a unique civilization and draw hundreds of thousands of tourists each year.
그곳의 훌륭한 건축과 관개수로 시스템은 우리로 하여금 독특한 문명을 잠시나마 엿볼 수 있게 하며, 해마다 수십만 명의 관광객들을 유치하고 있다.
Visiting Machu Picchu can be a fascinating trip back into the past that infuses one with the mystery and beauty of this ancient Incan city.
마추픽추를 방문하는 것은 우리에게 이 고대 잉카 도시의 신비와 아름다움을 불어넣어 주는, 과거로의 매혹적인 여행이 될 것이다.
Tourism, one of the world’s fastest growing industries, can often appear to be a winning business opportunity for all involved.
세계에서 가장 빨리 성장하는 산업 중 하나인 관광 산업은 종종 관여된 모든 사람들에게 이익이 되는 사업 기회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Tourists are rewarded with the experience of new cultures and the natural beauty of exotic places.
관광객들은 새로운 문화 경험과 이국적 장소의 자연미라는 혜택을 누린다.
And developing nations benefit from tourism because of the infusion of money into their economies.
그리고 개발 도상국들은 관광 산업을 통해 그들의 경제에 자금이 유입되기 때문에 혜택을
입는다.
But there is a serious downside that is often overlooked: the impact of tourism on the environment.
그러나 심각한 부정적 측면이 종종 간과되는데, 바로 관광 산업이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이다.
In Asia, for example, tourists flock to Nepal for an opportunity to trek through clean and unspoiled mountainsides, but they have left the region trampled, damaged, and strewn with litter in their wake.
아시아의 예를 들면, 관광객들은 깨끗하고 훼손되지 않은 산허리를 도보로 여행할 기회를 찾아 네팔로 모여들지만, 그들이 지나가면서 그곳은 짓밟히고, 손상되고, 쓰레기로 뒤덮이게 되었다.
In the Mexican resort city of Cancun, the natural beauty of the coastal region has been drawing sun-loving tourists for decades, which in turn has led to a damaging spree of uncontrolled development.
멕시코의 휴양 도시 Cancun에서는 해안 지역의 자연미가 태양을 사랑하는 관광객들을 수십 년째 끌어오고 있지만 그것이 이제는 무절제한 개발로 인한 과도한 손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In these cases and many others, governments eager for tourist dollars have put the desires of visitors before the needs of the environment.
이런 경우들과 다른 많은 경우에 있어서, 관광객들의 돈을 간절히 원하는 정부들은 환경의 필요성보다는 관광객들의 욕구를 우선에 둔다.
Hotels, restaurants, and other tourist facilities are hastily built to meet growing demand, often without regard for the damage they might cause.
호텔, 음식점, 그리고 다른 관광객 편의 시설들은 종종 그것들이 야기할 수 있는 피해에 대한 고려 없이 증가하는 수요에 맞추고자 서둘러 지어지고 있다.
Furthermore, the temporary surge in population caused by tourism often strains the local infrastructure beyond capacity, increasing sewage and litter to unmanageable levels.
게다가 관광 산업으로 인한 일시적인 인구 증가는 지역의 기반 시설을 종종 수용력 이상으로 무리하게 사용하게 해서 하수 오물과 쓰레기를 관리할 수 없는 정도까지 증가하게 한다.
As attention to this issue has increased, tourists and elements of the tourism industry have begun to embrace the concept of ecotourism.
이런 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관광객들과 관광 산업의 구성원들은 친환경 관광의 개념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Ecotourism is a form of tourism that provides visitors with access to natural attractions in a manner that is respectful of the indigenous culture, beneficial to the local economy, and minimal in its environmental impact.
친환경 관광은 지역 고유 문화를 존중하고, 지역 경제에 이익이 되며, 그 자연 환경에는 최소한의 영향만 미치는 방식으로 관광객들에게 자연 그대로의 명소를 제공하는 형태의 관광 산업이다.
In Costa Rica, for example, an aerial tram has been built to allow tourists to experience the rainforest without actually walking through it.
예를 들어, Costa Rica에서는 공중 케이블카를 만들어서 관광객들이 실제로 걷지 않고 열대 우림을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Optimally, ecotourism educates visitors on environmental issues while encouraging the local government to fund conservation efforts to preserve their valuable natural resources.
가장 좋은 점은, 친환경 관광이 관광객들에게는 환경 문제에 대해 교육을 시키는 한편, 지역 정부로 하여금 그들의 귀중한 천연 자원을 보존하기 위한 보호 활동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도록 장려한다는 점이다.
This type of “green-thinking” has made some inroads toward curbing the destructive course of unchecked tourism, but it is too early to tell if ecotourism is the solution to the problem.
이런 유형의 ‘생태계를 중시하는 사고’가 무절제한 관광 산업의 파괴적인 진행을 억제하는 데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기는 했지만, 친환경 관광이 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라고 말하기에는 너무 이르다.
Many tourist sites with ecotourism are relatively new and the long-term impacts have yet to be measured, so there are questions as to whether these efforts actually represent sustainable development.
친환경 관광을 채택한 많은 관광 명소들은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것이며 장기간의 영향은 아직 측정되지 않았으므로, 이 노력들이 실제로 환경 파괴 없이 지속 가능한 개발을 의미하는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의문이 있다.
If the global community is truly committed to saving some of the world’s most beautiful places, there must be a serious, coordinated effort between conservationists, developers, governments, and the tourism industry.
만약 국제사회가 정말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소들을 보존하고자 한다면, 보호주의자들, 개발자들, 정부들 그리고 관광 산업 간의 진지하고 조화된 노력이 있어야만 한다.
Over 80% of the energy used worldwide comes from burning fossil fuels, like coal, oil, and natural gas.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의 80% 이상이 석탄, 석유,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서 얻어진다.
This emits carbon dioxide, a greenhouse gas that causes pollution and contributes to global warming.
이것은 오염을 일으키고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 즉 온실 가스를 방출한다.
Fossil fuels are also unsustainable — the supply of oil is estimated to last only a few more decades.
화석 연료는 또한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고 석유 공급은 앞으로 몇십 년 밖에 지속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Therefore, it is crucial to develop alternatives.
그러므로 대체 에너지를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Wind, solar power, and hydroelectricity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renewable, but there may be another reliable source of energy: biomass.
풍력, 태양력, 수력은 환경 친화적이며 재생 가능하지만 또 다른 안정적인 에너지원이 있을지도 모르는데, 그것은 바로 바이오매스이다.
Biomass is abundantly available on Earth in the form of agricultural residue, like straw and plant husks.
바이오매스는 짚이나 식물 껍질 같은 농작물의 잔류물 형태로 지구상에서 풍부하게 이용할 수 있다.
Food sources, including soybeans, corn, sugar cane, and palm oil, and other organic wastes like cattle dung, are all examples of biomass.
콩, 옥수수, 사탕수수, 야자수 기름을 포함한 식량원과 소똥과 같은 다른 유기물 쓰레기는 모두 바이오매스의 예가 될 수 있다.
The traditional uses of biomass have been greatly improved upon, and in their modern application, they can be used conveniently and in diverse ways.
바이오매스의 전통적인 이용법은 크게 발전되어 왔으며 현대적 응용을 통해 편리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rough a bio-refinery, biomass is converted into gaseous or liquid fuels that can be efficiently burnt in order to generate electricity.
생물학적 정제소를 거쳐, 바이오매스는 전기를 생산하는 데 효과적으로 연소될 수 있는 기체 혹은 액체 형태의 연료로 전환된다.
For example, cattle dung can produce a gas that serves as fuel for cooking or heating, and corn can be converted into a liquid transportation fuel, such as biodiesel or ethanol.
예를 들어 소똥은 요리나 난방용 연료로 쓰이는 가스를 생산해 낼 수 있으며, 옥수수는 바이오디젤이나 에탄올과 같은 액화 수송 연료로 전환될 수 있다.
Biomass is popular not only because it supports agricultural industries, but also because it can be easily stored and used when needed.
바이오매스는 농업을 지원해 줄 뿐만 아니라 저장하기가 편하고 필요할 때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인기가 있다.
Furthermore, it has several advantages over fossil fuel energy sources.
더구나 그것은 화석 연료 에너지원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Biomass is more eco-friendly, as it produces less carbon dioxide.
바이오매스는 더 적은 이산화탄소를 생산하기 때문에 더 환경 친화적이다.
Also, it is capable of being broken down by living organisms like bacteria.
또한 박테리아와 같은 살아있는 유기체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Therefore, it will not damage the environment.
따라서 그것은 환경에 해를 입히지 않는다.
Despite the advantages, some scientists point out the negative effects of biomass production.
이런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일부 과학자들은 바이오매스 생산의 부정적인 결과들을 지적한다.
On the island of Borneo in Indonesia, for example, the increase in palm tree plantations is having an adverse effect on land.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섬에서는 야자수 재배지의 증가가 토양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The island is suffering from massive deforestation, as more and more land is being cleared for planting palm trees.
야자수를 심기 위해 점점 더 많은 토지가 개간됨에 따라 섬은 대규모의 삼림파괴로 고통을 받고 있다.
It has also led to water shortages because more cropland requires more water.
더 많은 농지는 더 많은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는 물 부족 또한 야기시키고 있다.
Clearly, the balance between renewable energy source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ion is a delicate one.
분명히, 재생가능한 에너지원과 친환경적인 생산 사이의 균형은 미묘한 문제이다.
Alternative fuel sources like biomass are cleaner to burn than fossil fuels, and using them may help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바이오매스와 같은 대체 연료원은 화석 연료를 연소시키는 것보다 더 깨끗하고 그것들을 사용하는 것은 온실 가스 방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But because of the other environmental consequences, biomass is not yet the perfect solution to the world’s energy problems.
하지만 다른 환경적인 결과들 때문에 바이오매스는 아직 세계 에너지 문제의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다.
It’s crucial that scientists continue to research more techniques for the effective use of biomass.
과학자들이 바이오매스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더 많은 기술들을 계속 연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Hopefully, continuing the search for eco-friendly energy will allow us to salvage our environment.
바라건대,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는 것이 우리가 환경을 구하도록 할 것이다.
Whether you realize it or not, robots have become part of our lives.
당신이 그 사실을 인식하고 있건 아니건 간에, 로봇은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They work in automobile manufacturing plants and other factories that make use of automated assembly lines.
로봇은 자동차 제조 공장과 자동화된 조립 라인을 이용하는 다른 공장들에서 일한다.
They have been launched into space, sent to explore distant planets beyond the reach of humans.
로봇은 우주로 발사되어 인간이 닿을 수 있는 곳 너머에 있는 행성들을 탐사하도록 보내지기도 한다.
And as the science of robotics grows more advanced, the technology is being applied to the medical field in the form of robotic surgical systems.
그리고 로봇공학의 과학이 점점 더 발전함에 따라 그 기술은 로봇 수술 시스템의 형태로 의학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다.
The robotics industry has developed several systems for the operating room.
로봇 산업은 수술실에 필요한 여러 가지 시스템을 발전시켰다.
The Da Vinci surgical system was the first to be approved for use in the United States, featuring robotic arms with flexible wrists that are controlled by a surgeon using foot pedals and hand motions.
Da Vinci 수술 시스템은 미국에서 최초로 사용이 허가된 것으로, 외과 의사가 페달과 손의 움직임을 이용해서 조종하는 유연한 손목을 가진 로봇 팔이 특징이다.
It is also equipped with a three-dimensional lens system that can magnify surgical sight up to 15 times.
그것은 또 수술 부위를 15배까지 확대할 수 있는 3차원 렌즈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The ZEUS system has a similar setup to that of the Da Vinci, but it has a computer workstation and a video display.
ZEUS 시스템은 Da Vinci와 유사한 설비를 갖추고 있지만, 컴퓨터 워크스테이션과 비디오 표시 장치를 갖췄다.
ZEUS uses another robotic system named AESOP for assistance in holding and positioning a tiny camera — known as an endoscope — that films the surgery in progress from inside the patient’s body and responds to voice commands.
ZEUS는 환자의 신체 내에서 진행 중인 수술과정을 촬영하고 음성 명령에 반응할 수 있는, 내시경이라고 알려진 아주 작은 카메라를 붙잡고 위치를 잡는 데 AESOP이라고 불리는 또 다른 로봇 시스템을 보조로 이용한다.
Robotic surgery boasts some advantages over conventional surgical methods.
로봇 수술은 전통적인 수술 방법에 비해 몇 가지 이점을 자랑한다.
It improves precision and accuracy by decreasing surgeon fatigue and eliminates the danger of shaky hands.
외과의사의 피로를 감소시키고 손떨림의 위험을 제거함으로써 정밀도와 정확도를 높인다.
It also offers improved depth perception by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surgery.
또한 수술에 대한 3차원적 시야를 갖춤으로써 향상된 거리 감각을 제공하기도 한다.
There are hopes that in the future it will allow skilled surgeons to perform remote operations on patients hundreds of miles away, eliminating the need to transport patients to doctors.
미래에는 환자들이 의사에게 이송될 필요 없이 로봇수술을 통해 숙련된 외과의사가 수백 마일 떨어져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원격 수술을 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It also has the potential to drastically cut down on the number of people required to perform an operation, which would be a step toward lowering the cost of health care.
로봇 수술은 또한 수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인원수를 과감히 감축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의료비를 낮추는 한 걸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Robotic systems are greatly beneficial to doctors, but they are not without their drawbacks.
로봇 시스템은 의사들에게 매우 이롭긴 하지만, 결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They are expensive and, as with all machines, there is always the possibility of technical failure, which could be extremely dangerous if it were to occur in the middle of an operation.
로봇 시스템은 비싸며, 다른 모든 기계와 마찬가지로 기술적인 결함의 가능성이 항상 있는데, 이것이 만약 수술 도중에 일어나기라도 한다면 매우 위험할 수 있다.
Furthermore, surgeons need to go through intensive training before they can use these systems on patients.
게다가 외과의사들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되기까지 집중적인 훈련을 거쳐야 할 필요가 있다.
Although robotic systems have become essential tools at many hospitals, it will be some time before we can seriously talk about a fully robotic operating room.
로봇 시스템이 많은 병원에서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전적으로 로봇만을 이용하는 수술실에 대해 진지하게 얘기하기까지 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이다.
However, efforts to utilize these robots as useful additions will continue to improve medical care.
하지만 이들 로봇을 유용한 추가 수단으로 사용하려는 노력은 계속해서 의료 관리를 개선해 나갈 것이다.
Our sense of hearing is limited —
우리의 청각에는 한계가 있다.
the average human can only detect sounds with a frequency between about 20 and 20,000 hertz.
평범한 인간이라면 20에서 2만 헤르츠 사이의 주파수를 가진 소리만 인지할 수 있다.
Sounds with lower frequencies, beyond the detection capacity of the human ear, are called infrasound.
인간 귀의 감지능력을 벗어난 더 낮은 주파수를 가진 소리를 초저주파라고 한다.
The scientific study of infrasound is relatively new, but among the interesting discoveries about it is the fact that low-frequency sounds can travel longer distances without dissipating than sounds with higher frequencies.
초저주파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최근의 것인데, 그것에 관한 흥미로운 발견 중에는, 주파수가 낮은 소리들은 더 높은 주파수를 가진 소리들보다 흩어져 없어지는 일 없이 더 먼 곳까지 전달될 수 있다는 사실이 있다.
Researchers continue to be surprised by the number of natural sources of infrasound.
과학자들은 초저주파의 자연적인 원천의 수에 계속해서 놀라고 있다.
Animals such as whales, alligators, giraffes, and elephants have been found to use infrasoun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ver substantial distances.
고래, 악어, 기린, 그리고 코끼리와 같은 동물이 상당히 먼 거리에 떨어져서 서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초저주파를 이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Natural occurrences can also produce powerful low-frequency sounds.
자연 현상들 또한 강력한 저주파수 소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
Ocean waves, earthquakes, tornados, and even the northern lights have all been identified as sources of infrasound.
바다의 파도, 지진, 토네이도 심지어는 북극광까지도 초저주파의 출처임이 밝혀졌다.
However, nature is not alone in creating this phenomenon, as human-caused chemical and nuclear explosions can also produce infrasound.
그러나 자연만이 이런 현상을 일으키는 것은 아닌데, 왜냐하면 인간에 의한 화학적인 폭발과 핵폭발 또한 초저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Even though infrasound cannot be consciously heard by humans, it does provoke discernible reactions, such as inexplicable feelings of uneasiness, awe, or fear.
사람들이 의식적으로 초저주파를 들을 수는 없지만, 그것은 불안함, 두려움, 또는 공포처럼 설명하기 힘든 감정과 같은 인식 가능한 반응들을 불러일으킨다.
In fact, it has been suggested that infrasound is one of the causes of ghost sightings and other supernatural events.
실제로 초저주파가 유령을 목격하는 것과 다른 초자연적인 현상들의 원인이라고 제시된 바도 있다.
Beyond psychological effects, infrasound also has the ability to physically impact humans.
초저주파는 심리적인 효과를 넘어서서 물리적으로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능력도 가지고 있다.
It can disrupt the function of the inner ear, leading to disorientation and nausea.
그것은 내이의 기능을 혼란시켜서 방향감각 상실과 멀미를 유발한다.
In fact, if exposure to infrasound is extreme enough, it can be fatal.
실제로 만약 초저주파에 심하게 노출된다면 그것은 치명적일 수도 있다.
This discovery of the power of infrasound has caught the attention of weapons designers.
초저주파의 이러한 힘에 대한 발견은 무기 설계자들의 주의를 끌었다.
The concept of using sound as a weapon is certainly not a human innovation;
소리를 무기로 사용한다는 개념은 분명 인간이 처음 만들어 낸 것은 아니다.
it can be observed in tigers and sperm whales, both of which emit pulses of infrasound before they attack in order to stun their prey.
그것은 호랑이와 향유고래에게서 목격되는데, 이 둘 모두 그들의 먹이를 기절시키기 위해 공격하기 전에 초저주파를 방출한다.
Suggested human applications of such technologies range from crowd control to military operations, as varying frequencies can produce effects from simple incapacitation to organ failure and death.
이러한 기술을 인간이 응용하는 것에 대해 제안된 바로는 군중 통제부터 군사 작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데, 다양한 주파수가 사람을 단순히 무능력하게 만드는 것에서부터 장기 기능 감퇴나 사망에까지 이르는 효과들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More beneficial uses of infrasound are also under study.
초저주파의 좀 더 유익한 사용법 또한 연구 중에 있다.
Because many destructive natural disasters produce intense low-frequency sounds, being able to detect these emanations as quickly as possible will help create early warning systems.
많은 파괴적인 자연 재해가 강렬한 저주파음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이런 발산을 가능한 한 빨리 감지하는 것은 조기 경보 시스템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Faster detection of infrasound caused by avalanches and earthquakes, for example, could save lives.
예를 들어 눈사태나 지진에 의해 발생된 초저주파의 보다 빠른 감지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다.
In addition, similar technology is being used to enforce the Comprehensive Nuclear Test Ban Treaty by monitoring worldwide low-frequency sounds for any unauthorized nuclear explosions.
이외에도, 승인받지 않은 핵폭발을 찾기 위해 전 세계에 걸친 저주파음을 감시함으로써 포괄적 핵실험 금지조약을 강화하는 데에도 유사한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Just like many other modern discoveries, infrasound is a double-edged sword; it can be used to harm as well as to help people.
다른 많은 현대적인 발견들과 마찬가지로, 초저주파는 인간을 돕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인간에게 해를 미치는데도 사용될 수 있는 양날의 칼이다.
However, it seems certain that infrasound will continue to be an important area of scientific study.
그러나 초저주파가 과학 연구 분야의 중요한 영역으로 계속 남아 있게 될 것이라는 사실은 분명해 보인다.
클래스카드의 다양한 학습을 바로 체험해 보세요!
고객센터
궁금한 것, 안되는 것
말씀만 하세요:)
답변이 도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