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작 중학 비문학 영어 독해 실력 - UNIT 7 - Reading 1-4
52 카드 | dongapub
세트공유
Have you heard of active houses and passive houses?
여러분은 액티브 하우스와 패시브 하우스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가?
Although they may sound very different, they are actually quite similar.
그것들은 매우 다르게 들릴지도 모르지만, 사실 꽤 비슷하다.
Both types of houses aim to be energy-efficient, reduce their environmental impact, and provide comfortable indoor conditions.
두 종류의 집 모두 에너지 효율이 좋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안락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However, they take different approaches to achieve these goals.
하지만, 그 집들은 이러한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접근법을 취한다.
Active houses are designed to produce the energy that they use.
액티브 하우스는 집이 사용하는 에너지를 생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To do this, they use renewable energy systems such as solar panels or wind turbines.
이것을 하기 위해, 액티브 하우스는 태양 전지판이나 풍력 발전용 터빈 같은 재생 가능 에너지 시스템을 이용한다.
Active house designs also allow more daylight and fresh air to enter.
액티브 하우스의 설계는 또한 더 많은 햇빛과 신선한 공기가 들어올 수 있게 한다.
So they create healthier and more pleasant indoor conditions.
따라서 액티브 하우스는 더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든다.
Passive houses, on the other hand, focus on reducing energy use.
반면에 패시브 하우스는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They have highly insulated walls and roofs, along with airtight designs.
패시브 하우스는 밀폐된 설계와 더불어 단열 처리가 매우 잘된 벽과 지붕을 가지고 있다.
These features enable them to keep their temperature consistent.
이런 특징들은 그 집들이 온도를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uring the summer, these houses effectively block the heat from outside, so they stay cool inside.
여름 동안, 이 집들은 외부로부터의 열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내부를 시원하게 유지한다.
In winter, they can minimize heat loss by trapping the heat indoors.
겨울에는 열기를 실내에 가둠으로써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Because of this, they don't need much heating.
이 때문에 패시브 하우스는 많은 난방이 필요하지 않다.
Recently, changing weather has become one of the most urgent global issues.
최근에, 변화하는 날씨는 가장 시급한 전 세계적 문제들 중 하나가 되고 있다.
Regions that used to have milder winters are now experiencing severe cold and heavy snow.
더 온화한 겨울을 지냈던 지역들이 이제 혹독한 추위와 폭설을 경험하고 있다.
This extreme weather threatens people's lives.
이런 극단적인 날씨는 사람들의 생명을 위협한다.
The cause is an unstable polar vortex.
그 원인은 불안정한 극 소용돌이이다.
The polar vortex is a powerful band of winds that forms near the North and South Poles.
극 소용돌이는 북극과 남극 근처에서 형성되는 강력한 바람의 띠이다.
It has some of the coldest air on Earth.
극 소용돌이는 지구상에서 가장 차가운 공기 중 일부를 가지고 있다.
When the polar vortex is stable, strong moving winds known as the jet stream tightly lock in the cold air.
극 소용돌이가 안정적일 때는 제트 기류로 알려진 강력한 움직이는 바람들이 그 차가운 공기를 단단히 가둔다.
However, as global temperatures have risen, the vortex near the North Pole has become unstable and weak.
하지만,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면서, 북극 근처의 소용돌이가 불안정하고 약해졌다.
When this happens, it can cause the jet stream to have a wavier shape.
이러한 일이 일어나면, 그것은 제트 기류가 더 구불구불한 모양이 되도록 만들 수 있다.
Then warm air moves to the north, while cold Arctic air spreads to the south.
그러면 따뜻한 공기는 북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반면에 차가운 북극 공기는 남쪽으로 퍼진다.
As a result, temperatures dropped below -50℃ in some parts of the United States in 2022.
그 결과, 2022년에 미국 일부 지역들에서 기온이 섭씨 영하 50도 이하로 떨어졌다.
These cold temperatures even affected southern areas including Florida.
이런 추운 기온은 심지어 플로리다를 포함한 남부 지역들에도 영향을 미쳤다.
Since the early 1980s, Black Friday has been a kind of unofficial U.S. holiday.
1980년대 초반부터, 블랙 프라이데이는 일종의 비공식적인 미국의 휴일이었다.
It signals the start of the Christmas shopping season.
그것은 크리스마스 쇼핑 시즌의 시작을 알린다.
Many stores offer discounted prices, and streets are crowded with people and cars.
많은 상점들이 할인된 가격을 제공하고, 거리는 사람들과 자동차들로 붐빈다.
But in recent years, many have criticized Black Friday, saying it encourages overconsumption.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사람들은 블랙 프라이데이가 과소비를 부추긴다고 말하며 블랙 프라이데이를 비난해 왔다.
As a result, a movement called Green Friday has begun.
그 결과, 그린 프라이데이라고 불리는 운동이 시작되었다.
This movement aims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impact of people's shopping habits during the holiday season.
이 운동은 휴가 시즌 동안 사람들의 쇼핑 습관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식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ink of the carbon emissions produced by driving to the mall and shipping millions of items.
쇼핑몰까지 운전하는 것과 수백만 개의 물품들을 배송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생각해 보라.
Also consider the plastic waste produced by overpackaging.
또한 과잉 포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고려해 보라.
Green Friday is about changing our mindset from buying as much as possible to finding other ways to give gifts.
그린 프라이데이는 우리의 사고방식을, 가능한 한 많이 구매하는 것에서 선물을 주는 다른 방법들을 찾는 것으로 바꾸는 것에 관한 것이다.
For example, we can give homemade gifts.
예를 들어, 우리는 집에서 만든 선물을 줄 수 있다.
This will help prevent further damage to the Earth.
이는 지구에 더 이상의 손상을 (입히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Even if only a few people participate in Green Friday, it can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tecting the environment.
비록 몇 안 되는 사람들만이 그린 프라이데이에 참여한다 하더라도, 그것은 환경을 보호하는 데 있어 중요한 차이를 만들 수 있다.
When buying fruit or vegetables, many people think freshness is important.
과일이나 채소를 구입할 때, 많은 사람들은 신선함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term freshness is often used in food marketing because it sounds close to nature.
신선함이라는 용어는 자연에 가깝게 들리기 때문에 식품 마케팅에서 자주 사용된다.
However, the demand for freshness can have environmental costs.
하지만, 신선함에 대한 요구는 환경적인 대가를 지니고 있을 수 있다.
Firstly, the demand for fresh produce all year round can increase energy consumption.
우선, 일년 내내 신선한 농산물을 요구하는 것은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many greenhouses are used in cold areas to grow fresh fruit and vegetables.
예를 들어,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재배하기 위해 추운 지역에서는 많은 온실들이 사용된다.
Keeping temperatures warm in these greenhouses consumes a huge amount of energy.
이러한 온실들에서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은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A lot of energy is also used to store produce.
농산물을 저장하기 위해서도 많은 에너지가 사용된다.
It needs to be kept fresh until it reaches supermarkets.
농산물은 슈퍼마켓에 도착할 때까지 신선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Furthermore, the demand for freshness has led to worries about food waste.
뿐만 아니라, 신선함에 대한 요구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우려로 이어져 왔다.
Using "best before" or "sell by" labels gives food providers or supermarkets permission to waste food.
‘유통 기한’ 또는 ‘판매 시한’ 라벨들을 사용하는 것은 식품 제공업체나 슈퍼마켓들에게 식품을 낭비할 수 있는 권한을 주게 된다.
Making too much food is also a serious problem.
너무 많은 음식을 만드는 것도 심각한 문제이다.
Environmental activists argue that stores order more fresh sandwiches than they can sell.
환경 운동가들은 가게들이 판매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신선한 샌드위치를 주문한다고 주장한다.
They do this simply because they don't want any empty space on their shelves.
그들은 단지 매장의 선반에 빈 공간이 있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한다.
Unfortunately, it leads to a large amount of waste.
불행히도, 그것은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로 이어진다.
클래스카드의 다양한 학습을 바로 체험해 보세요!
고객센터
궁금한 것, 안되는 것
말씀만 하세요:)
답변이 도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