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grow into a better version of ourselves, we should not stay as we are.” That was the first thing our teacher said to us on the first day of school.
“우리 자신의 더 나은 모습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우리는 지금 모습 그대로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됩니다.” 그것은 학교 첫날 우리 선생님이 우리에게 하신 첫 번째 말씀이었다.
She wanted us to start the semester by pushing ourselves out of our comfort zones and learning more about ourselves.
그녀는 우리가 우리 자신을 우리의 안전지대 밖으로 밀어내고 우리 자신에 관해 더 많이 배움으로써 학기를 시작하기를 바라셨다.
To help us do so, she gave us an assignment to challenge ourselves in three different ways.
우리가 그렇게 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서, 그녀는 우리에게 세 가지 다른 방식으로 우리 자신에게 도전할 과제를 주셨다.
The three challenges could involve hobbies, exercise, our studies, or even our relationships.
그 세 가지 도전들은 취미, 운동, 우리의 학업, 혹은 심지어 우리의 관계까지도 수반할 수 있었다.
The important part was trying something new for each one.
중요한 부분은 각각의 도전에 있어 새로운 무언가를 시도해 보는 것이었다.
She told us that we should share our experiences with our classmates when we finished the challenges.
그녀는 우리에게 우리가 도전들을 마치면 반 친구들에게 우리의 경험을 공유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Challenge 1: Ticket for One
도전 1: 한 사람을 위한 티켓
These days, I tend to watch movies on streaming services.
요즘, 나는 스트리밍 서비스로 영화를 보는 경향이 있다.
However, if I go to the theater, I usually watch an action or science fiction movie with my friends or family.
그런데, 만약 내가 영화관에 가면, 나는 보통 친구들이나 가족과 함께 액션이나 공상과학 영화를 본다.
Those are the kinds of movies they enjoy.
그것들은 그들이 즐기는 종류의 영화들이다.
Going to the theater alone was something I had never done before.
혼자 영화관에 가는 것은 내가 이전에 한 번도 해보지 않은 것이었다.
So, for the first challenge, I decided to give it a try.
그래서, 첫 번째 도전으로, 나는 그것을 시도해 보기로 결심했다.
It was nice to choose the movie and the seat on my own.
스스로 영화와 좌석을 선택하는 것이 좋았다.
I didn’t have to worry about anyone else’s preferences.
나는 다른 누군가의 선호에 관해 걱정하지 않아도 되었다.
I saw the experience as a good opportunity to watch something different, so I chose a historical drama that I had been curious about.
나는 그 경험을 다른 무언가를 관람할 좋은 기회라고 보았으므로, 나는 내가 궁금해해왔던 사극을 골랐다.
At first, it felt a bit awkward and lonely to sit in the theater by myself.
처음에는, 혼자 극장 안에 앉아 있는 것이 다소 어색하고 외롭게 느껴졌다.
But once the movie started, I became completely absorbed in the story.
하지만 영화가 시작하자마자, 나는 이야기에 완전히 몰두하게 되었다.
It was so satisfying just to focus on the movie itself.
그저 영화 자체에 집중하는 것이 매우 만족스러웠다.
There was nothing to distract me!
나를 산만하게 할 게 아무것도 없었다!
This experience made me realize that I sometimes enjoy doing things alone.
이 경험은 내가 가끔 일을 혼자 하는 것을 즐긴다는 것을 깨닫게 했다.
After the movie, I promised myself that I would try to make my own choices more often and enjoy more activities by myself in the future.
영화 후에, 나는 앞으로 더 자주 나만의 선택을 하도록 노력하고 혼자서 더 많은 활동들을 즐기겠다고 스스로 약속했다.
Challenge 2: Riding the Waves
도전 2: 파도타기
Ever since I was a child, I’ve always been afraid of water.
어릴 때부터, 나는 항상 물을 두려워해 왔다.
So I have never enjoyed water activities or felt comfortable while doing them.
그래서 나는 물놀이를 즐기거나 그것을 하는 동안 편하게 느낀 적이 한 번도 없었다.
For the second challenge, I decided to try to overcome this discomfort.
두 번째 도전으로, 나는 이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결심했다.
However, I wasn’t sure what to do at first.
하지만 나는 처음에 무엇을 해야 할지 잘 몰랐다.
One day, I came across a video clip of my cousin surfing at an indoor pool on social media.
어느 날, 나는 소셜 미디어로 실내 수영장에서 서핑하는 사촌의 영상을 우연히 보았다.
It looked fun, and I liked the fact that it took place in a shallow pool, not in the ocean.
그것은 재미있어 보였고, 나는 그것이 바다가 아닌 얕은 수영장에서 행해졌다는 사실이 마음에 들었다.
I messaged my cousin about it.
나는 내 사촌에게 그것에 관해 메시지를 보냈다.
She assured me that it wasn’t too hard, so I signed up for a beginner course.
그녀가 내게 그것이 아주 어렵지는 않았다고 장담해서, 나는 초보자 과정에 등록했다.
At the beginning of the lesson, it was hard just to stand up on the board.
강습 초반에는 그저 보드 위에서 일어나는 것이 어려웠다.
After some help from the instructor, however, I learned how to balance properly and even managed to surf a few waves!
그러나 강사로부터의 약간의 도움 후, 나는 제대로 균형을 잡는 법을 배웠고 심지어는 용케 약간의 파도를 탔다!
It gave me such a rush of excitement.
그것은 내게 솟아나는 흥분감을 주었다.
Being in the water wasn’t as bad as I had thought.
물속에 있는 것은 내가 생각했었던 것만큼 나쁘지 않았다.
While the experience didn’t completely change my mind about water sports, it did help me discover my sense of adventure.
그 경험이 수상 스포츠에 대한 내 생각을 완전히 변화시킨 것은 아니었지만, 그것은 내가 나의 모험심을 발견하는 데 정말로 도움이 되었다.
Challenge 3: A New Look
도전 3: 새로운 모습
Of all the challenges I chose for myself, the third one made me the most nervous: changing my hairstyle.
나 자신을 위해 선택한 모든 도전 중에서, 세 번째 것이 나를 가장 초조하게 했다. 내 머리 모양을 바꾸는 것이었다.
For many years, I had kept the same hairstyle because I had been worried about my forehead.
수년간, 나는 내 이마가 걱정되었기 때문에 같은 머리 모양을 유지해 왔었다.
I had always thought it was large, and I didn’t want to draw attention to it.
나는 그것이 넓다고 항상 생각해 왔고, 그것에 주의를 끌고 싶지 않았다.
Since I was feeling confident after the first two challenges, I went to a hair salon and talked to the stylist.
첫 두 가지 도전 후에 자신감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에, 나는 미용실에 가서 미용사에게 말을 건넸다.
He listened to my concerns and helped me find a shorter hairstyle that suited me.
그는 나의 우려를 듣고 내가 내게 어울리는 더 짧은 머리 모양을 찾도록 도와주었다.
The next day at school, my classmates were a bit surprised.
다음 날 학교에서 나의 반 친구들은 약간 놀랐다.
But overall, the reactions were positive.
그러나 전반적으로는, 반응이 긍정적이었다.
I realized that trying a different look wasn’t as difficult as I thought it would be.
나는 다른 모습을 시도하는 것이 내가 그럴 거라고 생각했던 만큼 어렵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In fact, it made me feel more confident about myself.
사실, 그것은 내가 나 자신에 대해 더 자신감을 느끼게 했다.
I didn’t expect that stepping out of my comfort zone would have such a positive effect on how I felt about myself.
나는 나의 안전지대에서 나오는 것이 내가 나 자신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에 이렇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거라고 예상하지 못했다.
I learned a lot about myself through this assignment, and I found out that my classmates did, too.
나는 이번 과제를 통해 나 자신에 관해 많이 배웠고, 나의 반 친구들도 그러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One of them tried new foods from different countries, while another joined a creative writing club.
그들 중 한 명은 여러 나라의 새로운 음식들을 먹어 본 반면, 다른 친구는 문예 창작 동아리에 가입했다.
Through these experiences, we all realized how important it is to push ourselves to try new things.
이 경험들을 통해, 우리 모두는 새로운 것들을 시도하기 위해 우리 자신을 밀어붙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았다.
We gained different perspectives on life and had a lot of fun, too!
우리는 삶에 대한 여러 시각을 얻었고 매우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
My classmates and I even talked about setting more challenges for ourselves.
나의 반 친구들과 나는 심지어 우리 자신을 위해 더 많은 도전들을 정하는 것에 관해 이야기하기도 했다.
There are always more things that we can discover about ourselves, and it’s exciting to keep learning and growing.
우리 자신에 관해 발견할 수 있는 더 많은 것들이 항상 있고, 계속해서 배우고 성장하는 것은 신이 나는 일이다.
We never know what we’re capable of until we try!
우리가 시도할 때까지 우리는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전혀 모른다!
On today’s show, we are going to learn about special park benches in Zimbabwe called Friendship Benches.
오늘 방송에서는 우정 벤치라고 불리는 짐바브웨의 특별한 공원 벤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e have two special guests.
두 분의 특별한 손님들이 있습니다.
First, please welcome the founder of the Friendship Bench program, Dr. Dixon Chibanda.
먼저 우정 벤치 프로그램의 창시자인 Dixon Chibanda 박사님을 환영해 주세요.
Can you tell us what inspired you to come up with the program?
무엇이 박사님으로 하여금 그 프로그램을 떠올리도록 영감을 주었는지 저희에게 말씀해 주시겠어요?
Sure.
네.
The idea came from an experience I had as a psychiatrist.
그 아이디어는 제가 정신과 의사로서 겪었던 경험에서 나왔습니다.
One of my patients had become severely depressed.
제 환자 중 한 명이 심하게 우울증을 앓게 되었습니다.
However, she couldn’t get help because she was unable to afford the bus ride to the hospital.
하지만 그녀는 병원까지 가는 버스비를 감당할 여유가 없어 도움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This shocked me, as I had never considered such a problem before.
이것은 저에게 충격을 주었는데, 제가 전에는 한 번도 그런 문제를 생각해 본 적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In fact, it is difficult for many people in Zimbabwe to pay for transportation and receive medical treatment.
실제로, 짐바브웨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교통비를 내고 의학적 치료를 받는 것이 어렵습니다.
Furthermore, there has been a lack of psychiatrists in the country for many years.
게다가 그 나라에서는 수년 동안 정신과 의사가 부족했습니다.
When the Friendship Bench program started in 2006, there were only eleven psychiatrists serving Zimbabwe’s population of over twelve million people.
2006년에 우정 벤치 프로그램이 시작되었을 때, 1,200만 명이 넘는 짐바브웨의 인구를 위해 일하는 정신과 의사는 11명뿐이었습니다.
I needed to find a way to bring psychiatry into the community.
저는 정신의학을 지역 사회에 도입할 방법을 찾아야 했습니다.
Oh, so that was the beginning of it.
아, 그러니까 그게 그것의 시작이었군요.
Could you explain to us how the Friendship Bench program works?
우정 벤치 프로그램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저희에게 설명해 주시겠어요?
Certainly. The program was created as a way to provide accessible mental health services.
물론이죠. 그 프로그램은 접근하기 쉬운 정신 건강 서비스를 제공할 하나의 방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It offers talk therapy sessions to people dealing with issues such as depression or anxiety.
그것은 우울증이나 불안과 같은 문제를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대화 치료 세션을 제공합니다.
The sessions are free and are provided by respected elderly women from the community.
그 세션은 무료이며 지역 사회의 존경받는 노인 여성들에 의해 제공됩니다.
These women, called “grandmothers,” volunteer to sit with patients at the benches, listen to their stories, and provide them with emotional support.
‘할머니들’이라고 불리는 이 여성들은 환자들과 함께 벤치에 앉는 것을 자원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그들에게 정서적 지원을 제공합니다.
What a wonderful idea!
정말 멋진 아이디어군요!
How did these amazing grandmothers become a part of your program?
이 놀라운 할머니들이 어떻게 당신의 프로그램의 일부가 되었나요?
Grandmothers were chosen for our program because they are deeply connected to the community.
할머니들은 지역 사회와 깊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저희 프로그램에 선정되었습니다.
Moreover, they have all the qualities of a counselor, such as excellent listening skills, empathy, and the ability to engage in meaningful discussions.
또한 그들은 뛰어난 경청 기술, 공감, 그리고 의미 있는 토론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과 같은, 상담가로서의 모든 자질을 갖추고 있습니다.
They are also very reliable, which is important for our efforts to support mental health.
그들은 또한 매우 믿음직한데, 이는 정신 건강을 지원하려는 우리의 노력에 중요합니다.
At the beginning, we started with only fourteen volunteer grandmothers.
처음에, 저희는 겨우 14명의 자원봉사자 할머니들과 함께 시작했습니다.
But today, there are thousands of grandmothers who have been trained to provide Friendship Bench therapy in Zimbabwe.
하지만 오늘날 짐바브웨에는 우정 벤치 치료를 제공하도록 교육받은 수천 명의 할머니가 있습니다.
That’s interesting!
흥미롭네요!
What happens after patients complete their sessions with the grandmothers?
환자들이 할머니들과의 세션을 마친 후에는 무슨 일이 일어나나요?
When the sessions with the grandmothers are over, patients are encouraged to join a community support group made up of former patients of the program.
할머니들과의 세션이 끝나면, 환자들은 프로그램의 이전 환자들로 구성된 커뮤니티 지원 그룹에 참여하도록 권장됩니다.
The members of these groups can easily relate to and support one another.
이 그룹의 구성원들은 서로 쉽게 공감하고 지지할 수 있습니다.
This is because most of them come from the same community and have experienced similar struggles.
이것은 그들 대부분이 같은 지역 사회 출신이고 비슷한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That sounds like a great way to continue the support and build a sense of community.
지원을 지속하고 공동체 의식을 키울 수 있는 좋은 방법인 것 같네요.
And the program has been incredibly successful, right?
그리고 그 프로그램은 매우 성공적이었습니다, 그렇죠?
That’s correct.
맞습니다.
In 2022, we provided face-to-face counseling to about 90,000 patients in Zimbabwe.
2022년에, 저희는 짐바브웨에서 약 9만 명의 환자들에게 대면 상담을 제공했습니다.
Now, Friendship Benches are available in more than twenty different regions around the country.
현재, 우정 벤치는 전국의 20곳이 넘는 지역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Our vision is for everyone to have a Friendship Bench within walking distance, and we are working hard to make it happen.
저희의 비전은 모두가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에 우정 벤치를 갖는 것이고, 저희는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있습니다.
We’ve also started expanding the program, and we now offer online counseling through an app.
저희는 또한 그 프로그램을 확장하기 시작했고, 이제는 앱을 통해 온라인 상담을 제공합니다.
This has helped us reach even more people.
이것은 저희가 훨씬 더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게 도와주었죠.
That’s really amazing!
놀랍군요!
Thank you for your time, Dr.Chibanda.
시간 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Chibanda 박사님.
Now let’s hear from one of the grandmothers who volunteers for the program.
이제 그 프로그램에서 자원봉사를 하시는 할머니들 중 한 분의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
Can you introduce yourself and tell us how you got involved with the Friendship Bench program?
자기소개를 해 주시고 저희에게 어떻게 우정 벤치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셨는지 말씀해 주시겠어요?
Hello, my name is Judith Moyo, but people call me Grandma Moyo.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Judith Moyo이지만, 사람들은 저를 Moyo 할머니라고 부릅니다.
I’m 76 years old, and I have been volunteering for the Friendship Bench program for about eight years.
저는 76세이고, 우정 벤치 프로그램에서 약 8년 동안 자원봉사를 해왔습니다.
I joined the program because many people in my community struggle with mental health problems, and I wanted to do something about it.
저는 지역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정신 건강 문제로 고심하고 있고, 제가 그것에 대해 무언가를 하고 싶었기 때문에 그 프로그램에 합류했습니다.
I knew that I could help heal their wounded hearts by supporting them.
저는 그들을 지원함으로써 그들의 상처받은 마음을 치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았죠.
That’s very kind of you.
정말 다정하시네요.
Can you tell us about your experience as a grandmother for the Friendship Bench program?
우정 벤치 프로그램을 위한 할머니로서 당신의 경험에 관해 저희에게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It’s been wonderful.
정말 좋았습니다.
Seeking help for mental health problems is nothing to be ashamed of.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도움을 구하는 것은 부끄러워할 일이 아닙니다.
I’ve seen how it can make a difference in people’s lives.
저는 그것이 사람들의 삶에 어떻게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 보았습니다.
One patient of mine, a nineteen-year-old girl, was going through a difficult time after her mom passed away.
제 환자 중 한 명인 열아홉 살의 소녀는 그녀의 엄마가 돌아가신 후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었습니다.
I counseled her and helped her begin her recovery journey.
저는 그녀를 상담했고 그녀가 회복의 여정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Now her life is back on track, and she has even started her own business!
이제 그녀의 삶은 다시 정상 궤도에 올랐고, 그녀는 심지어 자신의 사업도 시작했습니다!
Cases like this make me so proud to be part of the program.
이와 같은 사례들은 제가 그 프로그램의 일부가 된 것을 매우 자랑스러워하게 합니다.
It is such a rewarding experience to help people make positive changes in their lives.
사람들이 그들의 삶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도록 돕는 것은 정말 보람된 경험입니다.
Thanks for sharing your experiences with us today, Grandma Moyo.
오늘 저희에게 당신의 경험을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Moyo 할머니.
It’s truly inspiring to see the influence that the Friendship Bench program has had.
우정 벤치 프로그램이 미친 영향력을 보는 것은 정말 고무적입니다.
And it’s all thanks to the hard work of people like you and Dr.Chiban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