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n he was only 17, Steve Jobs dropped out of college.
겨우 17세 때 스티브 잡스는 대학을 중퇴했습니다.
His parents could not afford the tuition, and he wasn’t sure that college could help him figure out what to do with his life.
그의 부모는 학비를 댈 형편이 못되었고, 잡스 자신도 대학을 나온다고 해서 인생에서 뭘 해야 할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었죠.
It was very difficult for him at first.
처음에는 굉장히 힘들었습니다.
However, by following his curiosity and intuition, he eventually became one of the most successful people in the world.
하지만 자신의 호기심과 직관을 따른 끝에 드디어 그는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사람들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In the mid-1970s, Jobs started building computers in his parents’ garage with a friend.
1970년대 중반 잡스는 친구 하나와 부모님의 차고에서 컴퓨터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To sell their machines, they started a company named Apple Computer Inc. in 1977.
컴퓨터 기기를 판매하기 위해 1977년도에 애플 컴퓨터라는 이름의 회사를 시작했습니다.
They worked hard and made a personal computer called the Apple II.
그들은 열심히 일했고 애플 투(Apple II)라는 이름의 개인용 컴퓨터를 만들어냈습니다.
With its great success, they became millionaires in just a few years.
이 제품이 큰 성공을 거두면서 그들은 단지 몇 년 후에 백만장자가 되었습니다.
As Apple grew, Jobs hired the president of PepsiCo, John Sculley, to help run the company.
애플이 성장하면서 잡스는 펩시코(PepsiCo)의 회장인 존 스컬리를 고용하여 회사 운영을 돕도록 했습니다.
However, Jobs and Sculley disagreed a lot with each other.
하지만 잡스와 스컬리는 서로 의견이 맞지 않는 일이 많았죠.
After many fights, Jobs was removed from his main role at Apple, causing him to resign later in 1985.
많은 다툼 끝에 잡스는 애플의 주요 역할을 빼앗겼고, 1985년 후반에 회사를 떠나게 됩니다.
Within a year of leaving Apple, Jobs started two other computer companies.
애플을 떠난 후 일년도 지나지 않아 잡스는 컴퓨터 회사 둘을 시작합니다.
The first one, called NeXT, mostly built innovative computers for university science labs.
첫 번째 회사는 넥스트(NeXT)라는 이름을 갖고 있었는데 대학의 과학 실험실에 혁신적인 컴퓨터를 만들어 주는 일을 주로 했습니다.
The other one, Pixar, made high-end graphics computers at first.
다른 회사는 픽사(Pixar)였는데 처음에는 주로 고사양 그래픽을 지원하는 컴퓨터를 만들었습니다.
Later, it used computer animation to make lots of famous movies, like Toy Story.
이후에는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이용하여 토이 스토리(Toy Story)와 같은 다수의 유명 애니메이션을 만들었습니다.
NeXT had some failures, but it did well enough that Apple decided to buy it for $429 million in 1996.
몇 번의 실패를 겪기도 했으나 넥스트는 충분히 성공했고, 애플은 1996년 4억 2천 9백만 달러에 넥스트를 인수하기로 결정합니다.
At the same time, they rehired Jobs as a consultant, and in 2000, he became the CEO of Apple.
이때 애플에 컨설턴트로 다시 고용된 잡스는 2000년도에 애플의 최고경영자(CEO) 자리에 오릅니다.
Once Jobs was back at Apple, he brought new ideas and designs for the company’s products.
잡스가 애플에 다시 돌아오면서 애플의 제품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가져왔습니다.
Over the next decade, Apple made the iPod, iPhone, iPad, and more, all of which were extremely successful.
이후 10년 간 애플은 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 등의 제품을 내놓았고, 이 모두가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This was largely due to Jobs’s brilliant vision and charismatic leadership.
이 성공은 대부분 잡스의 뛰어난 비전과 카리스마적인 리더십 덕분이었습니다.
Thanks to him, Apple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anies in the world.
잡스 덕분에 애플이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회사들 중 하나가 된 것이다.
Throughout his life, Steve Jobs turned difficulties into opportunities.
스티브 잡스는 평생 동안 곤경을 기회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Although he passed away in 2011, his story still inspires people to follow their passions and never give up.
그는 2011년에 사망했지만 그의 이야기는 여전히 사람들에게 자신의 열정을 따르며 결코 포기하지 말라는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A Pioneer of the Air
창공의 개척자
Born in 1897, Amelia Earhart was a very special girl.
1897년도에 태어난 아멜리아 이어하트는 아주 특별한 소녀였습니다.
She enjoyed climbing trees and hunting, and she was deeply interested in women who succeeded in fields traditionally controlled by men.
그녀는 나무 오르기와 사냥을 즐겼으며 전통적으로 남성이 지배한 영역에서 성공한 여성들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있었습니다.
In 1920, she took her first plane ride at an air show.
그녀는 1920년 에어쇼에서 처음으로 비행기에 탑승했습니다.
After that, she knew exactly what she wanted to do with her life.
이후 그녀는 삶에서 무엇을 해야 할 지 정확히 알게 되었습니다.
She started taking flying lessons and saved up money to buy her own airplane.
비행기 조종 수업을 받기 시작했고 자신의 비행기를 사기 위해 저축을 해나갔습니다.
In 1922, she flew higher than any woman had before.
1922년에는 이전의 어떤 여성들보다 더 높은 고도에서 비행을 하였습니다.
In 1927, Charles Lindbergh became famous as the first man to fly across the Atlantic Ocean.
1927년, 찰스 린드버그는 최초로 대서양을 횡단하여 비행한 사람으로 유명해집니다.
The next year, Earhart was invited to join a team of three people in a flight across the Atlantic.
다음 해 이어하트는 대서양 횡단 비행의 3인조 팀에 합류해 달라는 요청을 받게 됩니다.
Although she described herself as a mere passenger, she became famous as the first woman to make a flight across the Atlantic and even wrote a book about her experience.
자신을 단지 승객이라고 묘사했지만, 그녀는 대서양 횡단 비행에 성공한 최초의 여성으로 유명해지게 되었고, 자신의 경험에 대한 책까지 쓰게 됩니다.
But she wasn’t satisfied.
하지만 그녀는 만족하지 않았습니다.
Five years after Lindbergh’s feat, Earhart became the first woman and the second person to fly solo across the Atlantic.
린드버그의 위업 후 5년이 지나 이어하트는 단독으로 대서양 횡단 비행에 성공한 최초의 여성이자 통산 두 번째 사람이 됩니다.
This brought her even greater fame.
이것은 그녀에게 더 큰 명예를 안겨 주었습니다.
She received a medal from the president, wrote another book, and became a role model for women everywhere.
그녀는 대통령으로부터 메달을 받았고, 또 다른 책을 집필하였으며, 어디에서나 여성의 본보기가 되었습니다.
In 1937 just before her 40th birthday, Earhart decided to take on a final challenge - she would become the first woman to fly around the entire world.
1937년 그녀의 40세 생일 직전에 이어하트는 마지막 도전에 나서기로 결심합니다 - 비행기로 세계일주를 하는 최초의 여성이 되려 한 것입니다.
After her first attempt at the 29,000-mile journey failed, she tried again.
첫 시도에서 2만 9천 9백 마일의 여정에 실패하자 그녀는 다시 시도합니다.
Tragically, with just 7,000 miles left to go over the Pacific Ocean, her plane disappeared in bad weather.
비극적이게도 태평양 횡단을 단지 7천 마일 앞두고 악천후 속에 그녀의 비행기가 실종됩니다.
Despite an extensive search, she was never found.
광범위한 수색에도 불구하고 그녀를 찾지는 못했습니다.
Today, Earhart is remembered as a pioneer of both flight and equal opportunities for women.
오늘날 이어하트는 비행과 여성을 위한 기회균등 영역 모두에서 개척자로 기억됩니다.
In a final letter to her husband, she wrote, “Women must try to do things as men have tried.
그녀의 남편에게 보낸 마지막 편지에 그녀는 썼습니다, “여성은 남성이 해온 것들을 이루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When they fail, their failure must be but a challenge to others.”
만약 실패한다면 그 실패는 다른 이들에게 도전의 대상이 되어야 합니다.”
Two Wonders of Nature
자연의 두 신비
Waterfalls are among nature’s most spectacular wonders.
폭포는 자연의 가장 장엄한 신비 중 하나입니다.
This is certainly true of Victoria Falls and Niagara Falls, two of the largest waterfalls in the world.
세계 최대의 폭포인 빅토리아 폭포와 나이아가라 폭포의 경우엔 분명히 그렇습니다.
Both are located on the border between two countries, Victoria Falls between Zambia and Zimbabwe in Southwest Africa and Niagara Falls between Canada and the USA.
두 폭포 모두 두 나라 사이의 국경에 위치하는데, 빅토리아 폭포는 서남아프리카의 잠비아와 짐바브웨간 국경에 있고, 나이애가라 폭포는 캐나다와 미국간 국경에 위치합니다.
Every day, people gather at both falls to watch tons of water rushing noisily over the edge.
매일 사람들은 두 폭포에 모여 엄청난 양의 물이 절벽 끝에서 요란하게 쏟아져 내리는 모습을 구경합니다.
Victoria Falls is the larger of the two.
두 폭포 중 빅토리아 폭포가 더 큽니다.
It is 1.7 kilometers wide and 108 meters tall.
폭이 1.7km, 높이는 108m입니다.
The largest section of Niagara Falls is only 1.2 kilometers wide and 51 meters tall.
나이아가라 폭포는 가장 큰 부분도 폭이 792m, 높이가 53m밖에 되지 않습니다.
However, more than twice the amount of water flows over Niagara Falls.
하지만 나이아가라 폭포엔 두 배 이상의 물이 흐릅니다.
There, 2,407 cubic meters of water flow over the edge each second.
매초 2407 입방미터의 물이 절벽 끝을 흘러내립니다.
At Victoria Falls, meanwhile, only 1,088 cubic meters flow per second.
이에 비해 빅토리아 폭포엔 매초 1088 톤만이 흐릅니다.
Although Victoria Falls and Niagara Falls are both huge waterfalls, they were formed in very different ways.
빅토리아 폭포와 나이아가라 폭포는 둘다 엄청난 규모이지만 서로 다른 방식으로 형성되었습니다.
Niagara Falls was made when the Ice Age ended thousands of years ago and all the ice melted.
나이아가라 폭포는 수천 년 전에 빙하기가 끝나고 모든 얼음이 녹았을 때 만들어졌습니다.
It made huge lakes and the Niagara River, which wore down the land and eventually made Niagara Falls.
이 때문에 커다란 호수와 나이아가라 강을 만들어졌는데, 이들은 땅을 깎아내렸고 마침내 나이아가라 폭포를 만들게 됩니다.
In contrast, Victoria Falls was created after lava from volcanic eruptions cooled into many layers and developed cracks.
이와는 대조적으로 빅토리아 호수는 화산 분출 때 나온 용암이 굳어져 다층구조를 형성하고 지층에 여러 틈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Water began to flow through these cracks, forming the Zambezi River and later on Victoria Falls.
이 틈들 사이로 물이 흐르기 시작하면서 잠베지 강을 형성하였고, 이후에는 빅토리아 폭포를 만들게 됩니다.
Both Victoria Falls and Niagara Falls are popular tourist attractions and parks.
빅토리아 폭포와 나이아가라 폭포 모두 인기있는 관광지이자 공원입니다.
Each year, hundreds of thousands of tourists visit Victoria Falls, while millions visit Niagara Falls.
매년 수십만 명의 관광객이 빅토리아 폭포를 찾고 나이아가라 폭포에는 수백만이 모여듭니다.
The parks around the falls limit land development, preserving their natural beauty and rare animals.
폭포 주변의 공원들에 대한 토지 개발이 제한으로 아름다운 자연과 희귀 동물을 보호합니다.
Thanks to such conservation efforts, future generations will also be able to experience the falls.
이러한 환경 보존 노력에 힘입어 미래 세대들도 이들 폭포를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Niagara Falls and Victoria Falls truly are mighty wonders of nature.
나이아가라 폭포와 빅토리아 폭포는 자연의 진정 놀라운 장관입니다.
Other waterfalls are pretty to look at, but most of them simply cannot compare in terms of size.
다른 폭포들도 예쁘지만 대부분 규모에 있어서 이들과 전혀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That is why people will always be impressed with Niagara Falls and Victoria Falls.
이 같은 이유로 사람들은 늘 나이아가라 폭포와 빅토리아 폭포에 큰 인상을 받습니다.
A Day of Wonder in Cappadocia
카파도키아에서 보낸 놀라운 하루
It was early morning, and the sun was not even up yet.
태양이 아직 뜨지도 않은 이른 아침이었습니다.
My friends and I, tired but excited, boarded a colorful hot air balloon.
피곤했지만 흥분해 있던 친구와 나는 알록달록한 열기구에 올랐습니다.
As the sun rose over the horizon, we were floating above Cappadocia, Turkey.
해가 수평선 위로 떠올랐을 때 우리는 터키의 카파도키아 위를 날고 있었습니다.
The ground below us must have been the strangest place on earth.
우리 밑의 땅은 지구상에서 가장 이상한 곳 같았습니다.
Cappadocia’s moon-like landscape was absolutely fascinating!
달모양을 한 카파도키아의 경관은 그야말로 환상적이었습니다.
It was formed by volcanic eruptions thousands of years ago.
그것은 수천 년 전 화산 분출로 형성되었습니다.
After that, wind and water erosion shaped it into valleys and cones of rock called “fairy chimneys.”
이후 바람과 물에 의한 침식으로 계곡과 “요정의 굴뚝”이라고 불리는 원통모양의 바위가 형성되었죠.
In addition, people carved caves into these rock formations, which also contribute to the region’s bizarre but fantastic scenery.
이에 더해 사람들은 이렇게 형성된 바위를 깎아내어 동굴을 만들었는데, 이것은 괴상하지만 환상적인 지역 경관을 만드는 데 한몫을 하였습니다.
After the hot air balloon ride, we took a sightseeing tour.
열기구를 타고 난 뒤 우리는 관광에 나섰습니다.
We started in the Pasabag Valley, where you can find Cappadocia’s most impressive collection of fairy chimneys.
여정은 먼저 카파도키아에서 가장 인상적인 요정의 굴뚝이 모여있는 것을 볼 수 있는 파사백 계곡에서 시작되었습니다.
There were different types of fairy chimneys that looked like mushrooms or asparagus.
버섯이나 아스파라거스와 비슷하게 생긴 다양한 유형의 요정의 굴뚝이 있었습니다.
After that, we visited Uchisar Castle, the highest point in Cappadocia.
그리고 나서 우리는 카파도키아에서 가장 높은 곳인 우치사르 성을 방문했습니다.
The castle’s exterior was unattractive since it looked like a mass of rocks rather than a man-made castle.
사람이 만든 성이라기 보다는 그냥 바위들이 뭉쳐있는 것처럼 보이는 외곽은 매력적이지 못했습니다.
However, the view from it was incredible.
하지만 그곳에서 바라본 경관은 믿을 수 없을 정도였습니다.
Climbing the staircases to reach the top wasn’t easy, but it was definitely worth doing.
계단을 통해 꼭대기까지 오르는 것은 쉽지 않았지만 정말 해볼만한 가치가 있는 일이었습니다.
After a lunch break, we visited Derinkuyu.
점심식사 후 우리는 데린쿠유를 방문했습니다.
It has the deepest underground city in Turkey.
데린쿠유는 터키에서 가장 깊은 지하도시였습니다.
This city reaches about 85 meters deep and could hold up to 20,000 people in its multiple levels long ago.
이 도시는 깊이가 지하 85미터에 이르고 다층구조로 되어 있어 과거에는 최대 2만 명까지 수용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We had fun exploring the rooms, which were used as schools, churches, and even stables.
학교와 교회, 심지어는 축사로 사용되던 여러 방을 탐험하며 재미있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There were also tunnels to let in air and huge, rounded stones that acted as doors.
공기를 유입하는 터널, 문의 역할을 했던 거대한 원형 돌 또한 볼 수 있었습니다.
Sightseeing is an exhausting experience!
관광은 기운을 빠지게 하는 경험이죠!
We were happy to head back to our hotel, which was another amazing sight itself.
우리는 호텔로 돌아오게 되어 기뻤는데, 그것은 그 자체로 또 하나의 놀라운 경관이었습니다.
It was built in a cave that had rooms carved right out of the stone.
호텔은 동굴 안에 지어졌는데, 동굴의 바위를 깎아 만든 호텔방들이 있었습니다.
In the hotel, any guest would feel like a cave dweller thousands of years ago.
그 호텔의 투숙객들은 수천 년 전의 동굴 거주자와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I fell asleep thinking of my day full of wonder, excitement, and memorable experiences!
저는 놀라움과 흥분, 기억할만한 경험으로 가득한 하루를 생각하며 잠에 들었습니다.
The Naadam Festival
나담 축제
Held annually from July 11 to July 13 in Ulaanbaatar, the Naadam Festival is the biggest event in Mongolia.
매년 7월 11일에서 13일까지 울란바타르에서 열리는 나담 축제는 몽골에서 가장 큰 행사입니다.
About 100,000 people gather in the capital city’s largest stadium to watch events that have changed little since the 12th century.
약 10만 명의 사람들이 이 나라 수도의 가장 큰 경기장에 모여 12세기 이래 거의 변하지 않고 내려오는 행사들을 관람합니다.
The festival features wrestling, horse racing, and archery, all of which are skills that helped Genghis Khan and his army create one of the world’s greatest empires.
축제의 주요 내용은 씨름, 경마, 활쏘기로, 이 모두는 징기스칸과 그의 군대가 세계 최대의 제국 중 하나를 건설하는데 기여한 기술입니다.
During the first two days of the national holiday, there are several horse races of varying length.
국경일로 지정된 축제 기간 중 처음 이틀 동안, 다양한 거리별로 말타기 경주가 열립니다.
The length of the race depends on the horses’ age.
경주의 거리는 말의 나이에 따라 다릅니다.
For example, two-year-old horses run 16 kilometers, and seven-year-old horses run 30 kilometers.
예를 들어, 두 살짜리 말은 16km, 일곱 살짜리 말은 30km를 달립니다.
Children between 5 and 13 years old are chosen to be jockeys because of their small size.
5살에서 13살까지의 아이들이 기수로 선발되는데, 이것은 그들의 몸이 작기 때문입니다.
Both men and women can compete in the archery competition.
활쏘기 대회에는 남녀 모두 출전할 수 있습니다.
The men shoot from 75 meters and the women from 60 meters.
남자는 75m 거리, 여자는 60m 거리에서 쏩니다.
In teams of 10, competitors aim at small leather targets that are stacked up together.
10명 단위로 팀을 이룬 출전자들은 겹쳐서 붙여 놓은 작은 가죽 과녁을 겨냥해 활을 쏩니다.
The winning team is the one with the most combined number of hits, and each person on it earns the title of “national marksman” or “national markswoman.”
명중한 회수를 모두 더해 가장 많은 팀이 승리하며, 승리한 팀의 선수 각각에게는 "국민 남사수" 혹은 “국민여사수”라는 칭호가 주어집니다.
The highlight of the Naadam Festival is the wrestling competition.
나담 축제의 하이라이트는 씨름 대회입니다.
Only men are allowed to compete.
남자들만 출전이 허용됩니다.
At the start of the competition, the field is full of 512 men.
대회가 시작될 때는 운동장이 512명의 선수로 가득 차 있습니다.
There are no weight classes as in other forms of wrestling, so smaller wrestlers must sometimes compete against men who are much larger.
다른 종류의 씨름과는 달리 체급 구분이 없어서, 작은 선수가 훨씬 큰 선수와 겨뤄야 할 수도 있습니다.
The objective is to push one’s opponent off balance.
경기의 목표는 상대 선수를 밀어 균형을 무너뜨리는 것입니다.
Whenever any part of a fighter’s body touches the ground, the match ends and the winner goes on to the next round.
선수의 몸 어느 부분이라도 땅에 닿으면 경기가 끝나고 승자는 다음 라운드에 진출합니다.
Wrestlers with five wins are called “falcons,” and after seven wins they are known as “elephants.”
5승을 기록한 선수는 "매"라고 부르고 7승을 하면 "코끼리"라고 합니다.
The matches continue until there are only two men left.
경기는 두 명만 남을 때까지 계속됩니다.
The winner of the entire tournament is declared a “lion.”
전체 토너먼트 우승자는 "사자"로 선포됩니다.
As Mongolia becomes more modern, people are forgetting about their traditions.
몽골이 점차 현대화되어 감에 따라, 사람들은 전통을 잊어 가고 있습니다.
However, Naadam remains important to all Mongolians because it reminds them of the skills of the great warriors of the past.
하지만 나담 축제는 여전히 몽고인들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가 있는데 과거의 위대한 전사들의 기술을 상기시켜 주기 때문입니다.
The Power of the Four-Leaf Clover?
네잎 클로버의 힘?
A broken mirror will bring you seven years of bad luck, but a four-leaf clover will bring you good luck.
거울이 깨지면 칠 년간 운이 나쁘지만, 네 잎 클로버는 행운을 가져다 준다.
Do you believe these to be true?
이런 것이 사실이라고 믿으시나요?
Such unusual beliefs about luck are called superstitions.
운에 관한 이런 특이한 믿음들을 미신이라고 합니다.
Although superstitions may seem silly, some continue to influence our behavior.
미신은 어이없어 보이기도 하지만 어떤 것들은 계속해서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줍니다.
Many superstitions about bad luck exist.
불운에 관한 많은 미신들이 존재합니다.
Some people believe that a black cat brings bad luck.
어떤 사람들은 검은 고양이가 불운을 가져온다고 믿습니다.
This superstition started in Europe during the Middle Ages.
이 미신은 중세 유럽에서 시작되었습니다.
In those days, people thought witches could turn themselves into black cats and wander around causing trouble at night.
그 당시에 사람들은 마녀가 검은 고양이로 둔갑하여 말썽을 일으키며 돌아다닐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People were very scared of witches, so they always tried to avoid black cats.
사람들은 마녀를 매우 무서워해서, 언제나 검은 고양이를 피하려고 했습니다.
Broken mirrors are also considered to be unlucky.
깨진 거울 역시 불길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In the old days, people thought that the image in a mirror was their soul.
옛날 사람들은 거울에 비친 모습이 자신의 영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Therefore, breaking a mirror was harmful to the soul and brought seven years of bad luck.
따라서 거울을 깨는 건 영혼에 해를 끼치는 일이자, 칠년간 불운을 가져오는 것이었습니다.
Fortunately, however, there are also many superstitions about good luck.
하지만 다행히도, 행운에 관한 미신도 많이 있습니다.
One of these is the practice of crossing your fingers.
그 중 하나는 손가락을 십자 모양으로 꼬는 것입니다.
A long time ago, people thought that good spirits lived at the point where two lines crossed.
오랜 옛날, 사람들은 선한 영이 두 개의 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산다고 생각했습니다.
Therefore, it was believed that making a cross with your fingers would help make a wish come true.
여기에서 손가락으로 십자가 모양을 만들면 꿈이 이루어지는 데 도움이 된다는 믿음이 나왔죠.
A four-leaf clover is also a famous symbol of good luck.
네 잎 클로버를 또한 행운의 상징으로 유명합니다.
Long ago, people believed that this kind of clover could protect humans from evil spells.
옛날에 사람들은 그런 클로버는 인간을 악한 마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According to one story, Napoleon Bonaparte once found a four-leaf clover and bent down to pick it.
한 이야기에 따르면, 한번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네 잎 클로버를 발견하고 따려고 허리를 숙였다고 합니다.
At that exact moment, a bullet just missed his head.
정확히 그 순간, 총알 하나가 그의 머리를 가까스로 피해 갔습니다.
After that, finding a four-leaf clover was considered to bring good luck.
그 일이 있은 후, 네 잎 클로버는 행운을 가져다 준다고 생각됩니다.
Even in our modern scientific age, many people still believe in superstitions.
과학이 발달한 현대에도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미신을 믿습니다.
Most of us still fear breaking a mirror or cross our fingers to bring good luck.
우리들 대부분은 아직도 거울을 깨는 것을 두려워하고, 행운을 빌기 위해 손가락을 꼽니다.
Such superstitions are part of our culture and are interesting reminders of our history.
그런 미신들은 우리 문화의 한 부분이고, 역사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흥미로운 현상입니다.
The Rubik’s Cube
루빅 큐브
The Rubik’s Cube is well known for its difficulty, and trying to solve it can be both enjoyable and frustrating.
루빅 큐브는 맞추기 어려운 것으로 유명해서, 그것을 풀고자 노력하는 것은 즐거울 수도 있고 좌절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This famous toy has a puzzling history, partly because it wasn’t made to be a toy at first.
이 유명한 장난감은 흥미로운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부분적으로 그것이 처음에는 장난감용으로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The following events helped it become the popular toy that it is today.
루빅 큐브가 오늘날처럼 유명한 장난감이 되는 데에는 다음 사건들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It started in 1974, when Hungarian architect Erno Rubik wanted to show how blocks could move in the form of a cube.
루빅 큐브는 1974년 헝가리의 건축가 에르노 루빅이 블록이 어떻게 큐브의 형태로 이동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길 원해서 만들었습니다.
He marked each side with different colors and moved the blocks around.
그는 각각의 면을 다른 색깔로 칠한 후 블록들을 이리 저리로 움직였습니다.
Surprisingly, he couldn’t get the colors back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gain.
놀랍게도 그는 각각의 색깔들을 원위치로 되돌려 놓을 수가 없었습니다.
After trying for about a month, he finally found a solution and realized the cube’s potential as a toy puzzle.
약 한 달을 노력한 끝에 드디어 해법을 찾은 그는 큐브가 장난감 퍼즐로서의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By 1977, it was being sold in toy stores across Budapest under the name “Magic Cube.”
1977년이 되자 루빅 큐브는 부다페스트 전역의 장난감 가게에서 “매직 큐브”라는 이름으로 팔리고 있었습니다.
The toy had many stops on its way to becoming a worldwide hit.
이 장난감이 세계적 히트상품이 되기까지 많은 단계를 거쳤습니다.
First, businessman Tibor Laczi was fascinated by the sight of the cube and asked Rubik for permission to sell it overseas.
먼저 큐브의 모습에 매혹된 티보르 라치라는 사업가가 루빅에게 해외 판매를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Then in 1979, Laczi took it to a toy fair in Germany.
그후 1979년에 라치는 큐브를 독일의 장난감 박람회에 선보였습니다.
There he met toy specialist Tom Kremer, who was equally amazed by the toy puzzle.
그는 거기에서 장난감 전문가인 톰 크레머를 만났는데, 그 또한 라치처럼 이 장난감 퍼즐에 놀라워 했습니다.
Later, Kremer set up a deal for a toy company to sell it internationally.
이후에 크레머가 한 장난감 회사와 국제 판매를 위한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With its global debut in 1980, the toy was newly renamed “the Rubik’s Cube.”
1980년에 전세계에 첫선을 보이면서 장난감은 “루빅 큐브”라는 새로운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The Rubik’s Cube was a great hit during the 1980s.
루빅 큐브는 1980년대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What’s more, the first ever “speed cubing” event was held in 1982.
여기에 1982년에는 최초의 “큐브 빨리 맞추기 대회”가 열렸습니다.
It was a competition in which participants tried to solve the cube in the shortest time.
대회에서 참가자들은 최단시간에 큐브를 맞추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These competitions attracted lots of fans and helped maintain the toy’s popularity.
경기는 많은 팬들을 끌어들였고 장난감의 인기를 유지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Over 350 million Rubik’s Cubes have been sold to date, making it the best-selling toy in history.
루빅큐브는 현재까지 3억 5천만개가 넘게 판매되었고,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장난감이 되었습니다.
Amazingly, about one in seven people have played with a Rubik’s Cube.
놀라운 것은 전세계 사람들 7명 중 한 명은 루빅 큐브를 가지고 놀아본 적이 있다는 사실입니다.
With its challenge and enjoyment, this toy will surely continue to attract generations to come.
도전감과 즐거움을 주는 루빅큐브는 분명 앞으로의 세대들에게도 인기를 끌 것입니다.
The Goblin’s Millstone
고블린의 맷돌
There once lived two brothers, one very rich and the other so poor he could not feed his family.
옛날 옛적 두 형제가 살았는데, 한 사람은 아주 부자였고 또 한 사람은 너무 가난해 가족을 먹여 살리지도 못했습니다.
One day, the poor man went to ask his brother for some food.
어느 날, 가난한 동생은 형에게 음식을 좀 얻으러 갔습니다.
But his greedy, rich brother only gave him a cow’s hoof.
하지만 그의 탐욕스러운 부자 형은 겨우 암소의 발굽 하나만을 내주었습니다.
On his way home, the poor brother met a goblin.
집에 돌아오는 길에, 가난한 동생은 고블린을 만났습니다.
The goblin had not eaten meat in 30 years and offered the poor man his most valuable possession for the hoof.
고블린은 30년 동안 고기를 먹지 못했기에, 가난한 동생에게 암소의 발굽을 주면 자기가 갖고 있는 가장 귀중한 물건을 주겠다는 제안을 하였습니다.
The man had heard that goblins have lots of treasure, so he agreed.
동생은 고블린들에겐 많은 보물이 있다고 들은 적이 있었기에, 그러겠다고 했습니다.
Expecting gold or jewels, he was surprised when the goblin took out an old millstone.
황금이나 보석을 예상했던 동생은 고블린이 낡은 맷돌을 꺼내자 놀랐습니다.
But the goblin told him that it was a magic millstone that could make whatever he desired.
그러나 고블린은 그것이 마법의 맷돌로서 무엇을 원하든 만들어낼 수 있는 물건이라고 말해 주었습니다.
He only had to touch it and say “Grind, my millstone.”
맷돌에 손을 대고 “맷돌아, 갈아주렴”하고 말하기만 하면 되었습니다.
To make it stop, he just had to say, “Enough, my millstone!”
맷돌을 멈추게 하려면 "이제 됐다, 맷돌아!"하고 말하기만 하면 되었습니다.
When the poor man got back home, he took the millstone and said, “Grind, my millstone. Make us some food!”
가난한 동생은 집에 돌아와 맷돌을 꺼내 “갈아라, 맷돌아. 우리에게 음식을 만들어 주렴”이라고 말했습니다.
The millstone started grinding all sorts of wonderful food.
맷돌이 돌기 시작하더니 온갖 종류의 훌륭한 음식을 만들어 냈습니다.
It wasn’t long before the rich brother heard that his poor brother had gotten rich.
부자 형이 가난한 동생이 부유해졌다는 소식을 듣게 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After he saw the millstone making whatever they wanted, he begged his brother to sell it to him.
맷돌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만들어 내는 것을 본 후, 형은 동생에게 맷돌을 팔라고 사정했습니다.
Eventually, the poor man agreed to lend it to him for a day.
결국 가난한 동생은 마침내 맷돌을 형에게 하루 동안만 빌려 주기로 했습니다.
He told his brother how to start the millstone, but before he could explain how to stop it, the rich man hurried away.
동생은 형에게 맷돌의 작동을 시작하는 법을 알려 주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 멈추는지 설명을 하기도 전에, 부자 형은 급히 떠났습니다.
The next morning, the rich brother took the millstone out in a boat.
다음날 아침, 부자 형은 맷돌을 가지고 나가 배에 탔습니다.
On the ocean, he saw fishermen salting their fish.
바다에서 어부들 몇 명이 생선을 소금에 저리고 있는 광경이 보였습니다.
He realized he could grind salt and sell it to them.
부자 형은 맷돌로 소금을 갈아 어부들에게 팔 수 있겠다는 생각했습니다.
He touched the millstone and said, “Grind, my millstone. Give me some salt!”
그는 맷돌에 손을 얹고 “갈아라, 맷돌아. 나에게 소금을 주렴.”이라고 말했습니다.
Salt began pouring from it.
맷돌에서 소금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Very soon, the boat started filling up.
금방 배가 차오르기 시작했습니다.
The greedy man yelled, “Stop!” but he didn’t know the exact words to stop the millstone.
탐욕스런 형은 “그만해!”라고 외쳤지만 맷돌을 멈추는 정확한 주문을 몰랐습니다.
Not long after, the boat sank to the bottom of the sea.
얼마 지나지 않아 배는 바다 바닥으로 가라앉았습니다.
They say the stone is still turning, and that is why seawater is salty!
그 맷돌은 아직도 돌고 있고, 바닷물이 짠 것은 그 때문이라고 합니다!
It’s Not Just Play!
그냥 노는 게 아니라구요!
Anyone who has watched puppies and kittens knows how they love to play.
강아지나 새끼 고양이를 구경해 본 사람은 녀석들이 얼마나 노는 걸 좋아하는지 압니다.
In fact, playful behavior appears among the young of many wild animals.
사실 장난스러운 행동은 많은 야생 동물의 새끼에서 나타납니다.
While it might look like it is simply for fun, playing is actually a matter of life and death.
단순히 재미를 위한 것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놀이는 사실 생사와 관련된 중요한 일입니다.
It gives young animals the chance to practice skills that they need to survive.
놀이는 어린 동물에게 생존에 필요한 기술을 연습할 기회를 줍니다.
Since they all need different survival skills, they play in different ways.
각각의 동물이 다른 생존의 기술을 필요로 하기에 노는 방식도 서로 다릅니다.
To begin with, there are noticeable differences between the play behavior of predators and prey.
우선, 포식자와 피식자의 놀이 행태에는 현저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For instance, the play of young predators like lion cubs looks like fighting since it includes attacking the tails of adult lions.
예를 들어, 사자 새끼들 같이 어린 포식자들의 놀이는 싸우는 것처럼 보이는데 그것에 어른 사자의 꼬리를 공격하는 행동이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The cubs bite the tails and shake their heads violently back and forth.
새끼는 꼬리를 물고 머리를 사납게 앞뒤로 흔듭니다.
In contrast, young deer run about wildly, jumping and twisting in the air.
이와는 대조적으로 어린 사슴은 공중에서 점프하고 회전하면서 거칠게 뛰어다닙니다.
Both types of young animals are practicing essential survival skills.
두 종류의 어린 동물 모두가 생존에 필수적인 기술을 연마하고 있는 것입니다.
When young predators play in this way, they are practicing skills like biting and chasing that they will one day need to hunt and kill prey.
어린 포식자가 이같이 놀 때는 언젠가 먹이를 사냥해서 죽일 때 필요한 물기와 추적하기 기술을 연마하는 것입니다.
However, by learning to run and make sudden leaps, young prey animals are improving their ability to run away.
하지만 어린 피식자들은 달리기와 순간적으로 도약하는 법을 배움으로써 달아나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죠.
Making such movements will later help them to escape from predators and reach safety.
그와 같은 동작들은 언젠가 포식 동물로부터 도망쳐 안전한 장소에 이르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In addition, there are strong differences between the play behavior of young males and young females in many species.
이에 더하여, 많은 종에서 어린 수컷과 어린 암컷의 놀이 행위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Males often play more aggressively.
수컷이 종종 더 과격하게 노는 것이죠.
Japanese macaque monkeys display this difference.
일본원숭이들이 이런 차이를 보여 줍니다.
While the young females play gently and clean each other, the young males mostly wrestle, jump from tree to tree, and chase each other.
어린 암컷들은 얌전하게 놀며 서로를 깨끗이 씻어 주는 반면, 어린 수컷들은 대개 씨름을 하고, 이 나무에서 저 나무로 뛰어다니는가 하면, 서로를 쫓아다니기도 합니다.
That is because as adults they will need to defend their areas and compete with each other for mates.
이것은 훗날 수컷들이 자기 영역을 방어하고 짝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In this way, playing can help both male and female young animals adapt to their social roles and survive as adults.
이런 식으로 놀이는 어린 수컷과 암컷 모두가 자신의 사회적 역할에 적응하고 성인으로 생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Considering that every animal in an area is competing against every other animal, surviving can be difficult.
한 지역의 모든 동물이 다른 동물과 경쟁하고 있음을 생각하면 생존은 쉽지 않습니다.
That is why playing to learn survival skills is so important.
이것이 놀이를 통한 생존 기술의 학습이 매우 중요한 이유입니다.
By playing, young animals learn how to react in different situations and, ultimately, stay alive.
놀이를 통해 어린 동물들은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는 법을, 궁극적으로는 살아남는 법을 배우게 되는 것입니다.
Otters and Beavers
수달과 비버
Have you ever seen an otter or a beaver?
수달이나 비버를 본 적이 있나요?
If you have, they may have seemed quite similar at first glance.
본 적이 있다면 첫눈에는 꽤나 비슷하게 보였을 겁니다.
But if you take a closer look, you can see the many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unique animals.
하지만 좀더 자세히 살피면 이 두 특별한 동물들 사이에 많은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Otters and beavers both have thick, waterproof fur and webbed feet, but there are also some physical differences between them.
수달과 비버 모두 두껍고 방수가 되는 피부와 물갈퀴 달린 발을 갖고 있지만 둘 사이에는 신체적인 차이가 또한 있습니다.
Otters have sharp teeth for biting and holding onto prey.
수달은 먹이를 물고 놔주지 않는 데 필요한 날카로운 이를 갖고 있습니다.
Beavers, on the other hand, have large front teeth that are used to cut down trees.
이에 반해 비버는 나무를 잘라 쓰러뜨리는 데 사용되는 커다란 앞니를 갖고 있죠.
Also, otters have long, thin tails like cats, whereas beavers have wide, flat tails shaped like paddles.
또한 수달은 고양이처럼 길고 얇은 꼬리를 가지고 있는데 반해 비버에게는 노처럼 생긴 넓고 납작한 꼬리가 있습니다.
Furthermore, otters have slim bodies, while beavers have bodies that are round and heavy.
그 외에도 수달은 몸통이 얇은데 비해 비버는 둥글고 무거운 몸통을 갖고 있습니다.
Both otters and beavers are mammals that live in and around water, but they have different diets and live in different types of homes.
수달과 비버 모두 물 속과 물가에서 사는 포유동물이지만 다른 것을 먹고 사는 집의 종류도 다릅니다.
Otters catch fish and crabs for food, while beavers get their food mostly by gathering roots, leaves, and bark.
수달은 음식으로 물고기와 게를 잡는 반면 비버는 대개 뿌리와 나뭇잎, 나무 껍질에서 먹이를 조달합니다.
Otters usually live in burrows that they dig near streams.
수달은 주로 물가 주변에 굴을 파고 삽니다.
In contrast, beavers build dams to create small ponds.
이와는 다르게 비버는 댐을 만들어 작은 웅덩이를 만듭니다.
Then they construct their homes out of branches and mud in the middle of these ponds.
그 다음에 그것들은 이러한 웅덩이 가운데에 나뭇가지들과 진흙으로 자신들의 집을 짓습니다.
Otters and beavers are excellent swimmers capable of staying underwater for several minutes at a time.
수달과 비버는 한 번 잠수해서 몇 분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수영을 아주 잘합니다.
Both swim with their ears and noses closed and use clear eyelids that they can see through.
둘 다 귀와 코를 막은 채 수영을 하고 투명한 눈꺼풀을 사용합니다.
They also share the tendency to sleep during the day and move around at night, and both animals communicate by barking, hissing, and growling.
또한 낮에 자고 밤에 돌아다니는 성향을 공유하고 있고, 짓거나 쉬 소리를 내거나 그르렁거리면서 소통합니다.
Otters use these sounds to warn others of danger, but beavers send warnings by slapping their tails on the water.
수달은 이런 소리로 다른 수달에게 위험에 대해 경고하는데 반해, 비버는 자신의 꼬리를 물에 쳐서 경고를 보냅니다.
Despite their similarities, otters and beavers are not related to each other.
수달과 비버는 유사한 점에도 불구하고 서로 연관이 없습니다.
They are simply two different animals that have adapted to their environments in similar ways.
그들은 환경에 비슷한 방식으로 적응한 서로 다른 두 동물일 뿐입니다.
Famous Pyramids
유명한 피라미드
Pyramids are some of the most interesting and mysterious structures that ancient cultures left us.
피라미드는 고대 문명이 남긴 가장 흥미롭고 신비한 구조물 중 하나입니다.
A few of the largest can be found in Egypt and Mexico.
그 중 가장 큰 피라미드들은 멕시코와 이집트에서 발견됩니다.
The ancient Aztec and Egyptian cultures in these places put a lot of effort into building pyramids, but they did it for very different purposes.
이 지역들에 있었던 고대 아즈텍과 이집트 문화 모두 피라미드를 짓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서로 매우 다른 목적으로 만들었습니다.
Both the Aztec and Egyptian pyramids are considered marvels of human construction because they were very difficult to build.
아즈텍과 이집트의 피라미드 모두 건설하기 매우 힘들었기에 인간이 만든 건축의 경이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They were made of huge, heavy, limestone blocks that had to be lifted and carried without modern technology.
그들은 현대 기술의 도움 없이 들어 옮겨져야만 했던 거대하고 육중한 석회석 덩이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All of this took years of careful planning and the work of thousands of laborers, engineers, and artisans of both cultures.
이 모든 것은 두 문화 모두에서 수년 간의 치밀한 계획과 수천 명의 인부들, 공학자들, 그리고 장인들을 필요로 했습니다.
The Egyptians built four-sided pyramids with pointed tops to help the spirits of their god-kings, the pharaohs, live in peace forever.
이집트인들은 자신들이 섬겼던 신격화된 왕 파라오의 영혼이 평화롭게 영원히 살 수 있도록 꼭대기는 뾰족하고 네 변으로 이루어진 피라미드들을 만들었습니다.
To make this happen, they preserved the pharaoh as a mummy and put him in a small room.
이를 위해 그들은 파라오를 미이라로 보존하여 작은 방에 넣었습니다.
It was filled with things the pharaoh needed in the afterlife, like clothing, furniture, gold, and jewelry.
방은 파라오가 사후에 필요로 할 물건들 예를 들어 옷, 가구, 금, 보석 등으로 가득 채워졌습니다.
The pyramid also contained narrow passages leading to dead ends and empty rooms.
피라미드는 또한 막다른 길과 빈 방들로 연결되는 좁은 통로들 또한 갖고 있었습니다.
The most likely explanation for these is that the builders wanted to confuse thieves that broke into the pyramid.
이런 구조에 대한 가장 그럴듯한 설명은 피라미드의 건축자들이 피라미드에 침입한 도둑들을 헷갈리게 만들려 했다는 것입니다.
Unlike the Egyptian pyramids, the Aztec pyramids in Mexico were built with stairs leading up to flat tops.
이집트의 피라미드와는 다르게 멕시코 아즈텍의 피라미드는 계단을 따라 평평한 꼭대기에 오를 수 있도록 지어졌습니다.
Aztec priests performed special religious ceremonies on them in front of large crowds.
아즈텍의 성직자들은 피라미드 꼭대기에서 많은 군중들을 앞에 놓고 특별한 종교 의식을 행했습니다.
They would offer animal and human sacrifices to the gods because the Aztecs believed that their gods needed blood to survive and maintain the world.
그들은 신들이 피가 있어야만 살아 남아 세계를 유지시킬 수 있다고 믿었기에 동물과 사람의 피를 바치곤 했습니다.
If these rituals were not performed, the balance of the world would be upset, causing the Aztecs’ crops to die and the world to end.
이러한 의식이 거행되지 않는다면 세계의 균형이 깨지고 이에 따라 아즈텍의 곡물이 죽어버려 세상이 종말을 맞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Although the ancient Egyptian and Aztec pyramids had very different purposes, they are both incredible structures.
비록 고대 이집트와 아즈텍의 피라미드가 아주 다른 목적을 지니고 있었지만 둘 다 믿을 수 없을 만큼 대단한 구조물들입니다.
It’s no wonder that they are still some of the greatest monuments in Egypt and Mexico.
그들이 여전히 이집트와 멕시코의 가장 위대한 유적들 중 하나라는 점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Buried in Time
시간 속에 묻히다
Dear Martha,
친애하는 마서에게
We docked in Naples last Wednesday.
우린 지난 수요일 나폴리 항구에 도착했어.
I wish you could be here with me.
네가 같이 있었으면 참 좋을 텐데.
You would absolutely love Italy.
이탈리아를 정말로 맘에 들어 했을 거야.
Randolph and I have already started our work in Pompeii with Prof. Valeria.
랜돌프와 나는 벌써 발레리아 교수님과 폼페이에서 작업을 시작했어.
It’s such an honor to be learning from such a brilliant archaeologist.
그런 훌륭한 고고학자 밑에서 배울 수 있다는 건 참 영광이지.
Yesterday, we began excavating a large room near the center of the dig site.
어제 우리는 발굴 현장의 중앙 부근에 있는 큰 방의 발굴을 시작했어.
The whole area was filled with thick, hardened gray ash and lava.
장소 전체가 두꺼운 회색의 재와 용암으로 덮여 있었어.
When Mt. Vesuvius erupted in 79 A.D., this ash came out of it and swept over the whole city, completely covering it.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했을 때 산에서 나온 이 재가 도시 전체를 휩쓸었고, 도시 전체를 덮어버리고 말았지.
It’s a lot of work to dig through it all.
그 모든 층을 파고 들어 가는 건 상당히 큰 일이야.
As we got near the floor, we noticed some strange holes in the ground.
바닥 근처에 이르자 땅에 이상한 구멍이 몇 개 있는 게 보였어.
Sometimes, air gets trapped and forms holes in the ash and lava rocks.
가끔 공기가 갇혀서 재와 용암이 굳어서 만들어진 바위 속에 공기 구멍을 만드는 경우가 있지.
However, these holes were much larger than any other holes we’d seen before, so we called the professor over to have a look.
하지만 이 구멍들은 우리가 지금까지 보았던 어떤 것보다도 컸어. 그래서 교수님을 와서 보시라고 불렀지.
She started talking very quickly in Italian to one of her assistants.
교수님은 이탈리아어로 조교 한 명에게 아주 빠르게 말씀하셨어.
After a while, they brought over some big buckets of white plaster, which they poured into the holes until they were completely full.
잠시 후 조교들은 큰 양동이 몇 통에 흰 석고를 담아 와서는 구멍들에 부어 넣었어. 공기 구멍은 석고로 완전히 채워졌지.
We were told to wait a day for them to harden.
딱딱하게 굳도록 하루 기다리라는 말씀이셨어.
Today, Prof. Valeria told us to clear the ash away from the hardened plaster.
오늘 발레리아 교수님은 딱딱히 굳은 석고에서 재를 떼어내라고 하셨어.
Soon, we realized that the holes had not just been air holes.
곧 우리는 그 구멍들이 공기 구멍이 전혀 아니었다는 걸 알게 됐어.
The plaster had formed the shapes of a man and a child sleeping next to the wall.
석고는 벽에 붙어 자고 있는 남자와 아이의 모양으로 굳어 있었어.
Prof. Valeria explained to us that the lava and ash had completely covered many people in Pompeii before hardening.
발레리아 교수님이 설명하신 바로는 용암과 재가 굳기 전 폼페이의 많은 사람들을 완전히 뒤덮었다고 해.
Their bodies then either burned away in the severe heat or rotted away over a long period of time, leaving only their shapes behind.
이들의 시신은 극심한 열에 의해 타서 없어져 버리거나 오랜 시간에 걸쳐 부패되어 사라져서 그 형체만 남게 된 거야.
As you know, I’ve spent many years studying archaeology.
알고 있듯이, 난 여러 해 동안 고고학 공부를 해 왔어.
I’ve dug up bones and tools, and I’ve discovered pottery and weapons.
유골과 연장을 파냈고 도자기와 무기를 찾아냈어.
But I’ve never been able to see the shapes of ancient people preserved this well.
하지만 난 고대인들의 모습이 이렇게 잘 보존된 건 본 적이 없어.
It’s an amazing experience.
놀라운 경험이야.
I wish you could come and see it for yourself.
너도 와서 직접 봤으면 좋았을 텐데.
Best regards,
잘 지내길 빌며,
Jeremy
제러미가.
The Angelus
만종
The French artist Jean-François Millet is well known for portraying peasants and scenes from rural life.
화가 장 프랑수아 밀레는 농부들과 전원 생활의 광경을 그린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He once wrote of his work, “As I have never seen anything but fields since I was born, I try to say as best I can what I saw and felt when I was at work.”
그는 한때 자신의 작품에 대해 적었습니다, "나는 태어나서 오로지 들판만을 보아왔기에, 내가 일할 때 내가 보고 느꼈던 것을 최대한 잘 말하려 노력한다."
This can clearly be seen in The Angelus, a painting he completed in 1859.
이는 그가 1859년 완성한 그림, '만종'에서 분명히 드러납니다.
You may not recognize its title, but you have probably seen a picture of The Angelus.
제목은 알아보지 못할 수도 있지만, '만종' 그림은 아마도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The word “Angelus” actually refers to a Catholic prayer.
"안젤루스(삼종 기도)"란 말은 사실 가톨릭의 기도를 가리킵니다.
Traditionally, church bells would ring three times a day, encouraging people to stop their work and say a prayer.
전통적으로 하루에 세 번 교회 종이 울리고, 사람들에게 하던 일을 멈추고 기도를 올리도록 하는 것입니다.
Millet said that when he worked in the fields with his family as a child, his grandmother always made everyone stop and say the Angelus prayer at the sound of the bells.
밀레는 그가 아이였을 때 들판에서 가족들과 함께 일할 때면 그의 할머니가 교회의 종소리가 들려올 때마다 늘 모든 가족들이 일을 멈추고 삼종기도를 드리게 했다고 말했습니다.
It was this memory that inspired his painting.
그의 그림에 영감을 준 것은 바로 이 추억이었습니다.
In The Angelus, a peasant couple is seen praying in a field at sunset.
'만종'에는 한 농사꾼 부부가 밭에서 기도하고 있는 것이 보입니다.
Their heads are bowed, and the man holds his cap in his hands while the woman’s hands are clasped together.
그들은 머리를 숙이고 있고, 남자는 모자를 양손에 들고 있으며 여자는 양손을 깍지 낀 상태입니다.
There is a basket of potatoes at the woman’s feet, a handcart behind her, and a pitchfork stuck into the earth beside the man.
여자의 발치에는 감자 바구니 하나가, 뒤로는 수레가 있고, 있고 남자의 옆에는 쇠스랑이 땅에 꽂혀 있습니다.
In the distance, you can see a flock of birds and the steeple of a church.
멀리에는 한 무리의 새와 교회의 첨탑이 보입니다.
Overall, the image expresses a feeling of peace.
전체적으로 그림은 평화로운 느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Unfortunately for Millet, The Angelus didn’t attract very much attention when he completed it.
밀레에게는 안타까운 일이지만, '만종'을 완성했을 때 그리 많은 주목을 끌지는 못하였습니다.
He ended up selling it for a small amount of money before his death.
결국 죽기 전에 얼마 되지 않는 돈을 받고 팔아버리고 말았습니다.
A decade later, though, the price of the painting started to increase considerably.
하지만 10년 후, 그림의 가격은 껑충 뛰기 시작했습니다.
After passing through the hands of several different owners, it was eventually owned by the state of France.
여러 소유주를 거친 그림은 결국 프랑스의 국가 소유가 되었습니다.
Today, it hangs in the Musée d’Orsay in Paris.
오늘날은 파리의 오르세 미술관에 걸려 있죠.
It remains one of the most famous 19th century French paintings, and it is admired by visitors from all over the world.
'만종'은 19세기 프랑스 회화 중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로 남아, 전세계에서 온 방문객의 경탄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The Waltz and the Tango
왈츠와 탱고
There are many dance styl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re often subtle, making them easily confused with one another.
여러 스타일의 춤이 있습니다만, 종종 그들 사이의 차이는 미묘해서 서로 쉽게 혼동되기도 합니다.
For instance, the waltz and the tango are popular dances that are similar, but they also have distinct features that make them unique.
예를 들어 왈츠와 탱고 모두 인기 있는 비슷한 춤이지만, 각각을 특별하게 만들어 주는 독특한 특징 또한 갖고 있습니다.
By comparing these dances, you can get a clear picture of which one is best for you.
이 두 춤을 비교해 봄으로써 어떤 춤이 여러분에게 가장 맞을지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입니다.
The waltz involves two dancers who usually stay in a closed position.
왈츠를 추는 두 사람은 보통 가까운 자세를 유지합니다.
This romantic dance is known for its smooth, graceful style.
이 로맨틱한 춤은 부드럽고 우아한 스타일로 잘 알려져 있죠.
It follows music with a steady, slow-paced rhythm.
춤은 꾸준히 유지되는 느린 박자의 음악을 따릅니다.
In counts of three, the dancers repeat the rising and falling movement of stepping, sliding, and stepping again.
댄서들은 셋을 셀 때마다 몸을 올렸다 낮추면서 발을 딛고 미끄러지고 다시 발을 딛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Like the waltz, the tango is also a two-person dance mainly done in a closed position.
왈츠와 마찬가지로 탱고 또한 두 명이 주로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며 추는 춤입니다.
However, this dance style is distinguished by its intense and dramatic manner.
하지만 강렬하고 극적인 방식은 이 춤의 스타일을 다른 춤들과 구별되게 합니다.
The dancers make quick head and foot movement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music.
댄서들은 음악의 변화에 따라 빠르게 머리와 발을 움직입니다.
Tango music can become slower in places but is generally fast paced.
종종 느려지기도 하지만 대개 빠른 속도로 진행됩니다.
When comparing the waltz and the tango to find which one suits you better, their speed is an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왈츠와 탱고 중 어떤 춤이 여러분에게 더 맞을지 비교할 때 속도는 중요한 고려 요인입니다.
If you like a slow, relaxing dance, the waltz might be the right fit.
느리고 여유있는 춤을 좋아한다면 왈츠가 잘 맞을 것입니다.
On the other hand, if energetic music is what you love, the tango might be a better option.
반면에 힘찬 음악을 좋아하신다면 탱고가 더 나은 선택이 되겠죠.
You should als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difficulty of learning each dance since the waltz is easier for beginners, while the tango can be more challenging.
각 춤이 얼마나 배우기 어려운지도 고려해야 하는데, 왈츠는 초보자에게 더 쉬운 반면 탱고는 좀더 어렵기 때문입니다.
Whichever dance you choose, you will have great social opportunities since both the waltz and the tango are designed to be done with a partner.
왈츠와 탱고 모두 파트너와 함께 추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춤을 선택하든지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갖게 될 것입니다.
You can go dancing and enjoy the music while showing off your best moves.
춤을 추러 가셔서 여러분이 할 수 있는 최고의 동작을 뽐내면서 음악을 즐길 수 있습니다.
I hope this information will help you choose a dance that fits your personality and style.
이 정보가 여러분의 성격과 스타일에 맞는 춤을 고르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Now there’s just one question to answer: may I have this dance?
이제 한 가지 질문에만 대답하시면 됩니다. “저와 춤추시겠어요?”
A Beloved Storyteller
사랑받는 이야기작가
You may have heard the story of Peter Rabbit, the playful rabbit who dared to go into Mr. McGregor’s garden.
감히 맥그레거 씨의 정원으로 뛰어든 장난기 많은 토끼 피터 래빗의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Managing to escape from Mr. McGregor safely, Peter Rabbit was certainly very eager to do what he wanted to do.
맥그레거씨로부터 안전하게 도망쳐 나온 피터 래빗은 확실히 자신이 원했던 일을 꼭 하고 싶었습니다.
So was Beatrix Potter, who wrote The Tale of Peter Rabbit and many other stories.
<피터 래빗 이야기> 외 많은 이야기를 쓴 베아트릭스 포터도 그랬습니다.
Throughout her childhood, Potter was a passionate reader who loved nature, animals, and art.
아동기를 거치는 내내 포터는 자연과 동물, 그리고 예술을 사랑하는 열정적인 독서가였습니다.
She and her brother, Bertram, raised a collection of animals including frogs, mice, and rabbits.
그녀와 남동생 버트램은 개구리와 쥐, 토끼 등의 동물들을 모아 키웠습니다.
Potter spent hours observing and sketching them.
포터는 그 동물들을 관찰하고 스케치하며 몇 시간이고 보냈습니다.
These animals also played central roles in the fantasy world she created.
또한 이들 동물은 그녀가 창조한 판타지 세계에서 중심 역할을 맡았습니다.
As an adult, Potter continued her storytelling.
포터는 성인이 되어서도 스토리텔링을 계속했습니다.
She entertained her friends and family with drawings and stories she sent by mail.
그녀는 그림과 이야기들을 우편으로 보내어 친구들과 가족을 즐겁게 해주었습니다.
In fact, this is how Peter Rabbit was born.
사실 피터 래빗도 이렇게 태어났습니다.
Potter first told the tale of the naughty rabbit in a letter to her former nanny, Annie Moore.
포터는 그녀의 예전 유모인 애니 무어에게 편지로 장난스런 토끼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She thought Moore’s son would enjoy it.
그녀는 무어의 아들이 피터 래빗 이야기를 좋아할 거라고 생각했죠.
Moore later encouraged Potter to develop the story into a book.
무어는 나중에 그 이야기를 책으로 발전시켜 보라는 권유를 합니다.
Potter worked hard to turn her hobbies of drawing and writing into a career.
포터는 취미로 하던 그리기와 쓰기를 직업으로 삼기 위해서 열심히 노력했습니다.
After many failed attempts, she finally found a publisher for The Tale of Peter Rabbit.
많은 시도가 실패로 돌아간 후, 그녀는 드디어 <피터 래빗 이야기>의 출판사를 찾았습니다.
The book was an instant hit, and the publishing house was eager to print more of Potter’s work.
책은 나오자 마자 히트했고 출판사는 기꺼이 포터의 작품을 더 출판했습니다.
She went on to publish 23 books, all of which featured animal characters and countryside settings.
그녀는 계속해서 23권의 책을 출판했는데, 이 모두가 동물 캐릭터와 전원을 배경으로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otter’s books are still as popular today as they were back then.
포터의 책들은 당시 만큼이나 오늘날에도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Each new generation discovers the charm and wonder of her beautifully drawn characters and creative stories.
각각의 세대는 아름답게 그려진 캐릭터들과 창의적인 이야기에서 매력과 놀라움을 발견해 냅니다.
This is all thanks to the passion she had for her work, which shines through in everything she wrote.
이것은 모두 그녀가 자신의 작품에 쏟아 부은 열정 덕분인데, 그것은 그녀가 쓴 모든 작품에서 뿜어져 나옵니다.
Can you imagine how surprised she would be to see how much people love her work today?
오늘날 자신의 작품이 얼마나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는지 포터가 직접 본다면 얼마나 놀라워할지 상상하실 수 있으시겠어요?
The Tree Planter
나무를 심은 사람
It is rare to meet truly special people.
진실로 특별한 사람들을 만나는 건 흔치 않은 일입니다.
There are few who are generous, humble, and make a true difference in the world.
아낌없이 베풀고 겸손하며, 세계를 진정으로 변화시키는 사람들은 거의 없습니다.
I once had the good fortune to meet such a person.
저는 한때 그런 사람을 만나는 행운을 누렸습니다.
About forty years ago, I was hiking in a part of the Alps not visited by many tourists.
약 40년 전, 저는 관광객들이 잘 찾지 않는 알프스의 한 지역을 걷고 있었습니다.
There was a very hot, dry wind blowing.
아주 뜨겁고 건조한 바람이 불어오고 있었지요.
I was getting thirsty and had run out of water.
목이 말라왔지만 물은 다 떨어진 상태였습니다.
In the distance, I saw a tiny village and thought I could refill my water bottle there.
저 멀리 작은 마을이 보였고 거기 가면 물병을 다시 채울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But when I got closer, I found that the place was abandoned.
하지만 마을에 가까이 가자 버려진 곳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The well was dry, as was the nearby stream.
근처 냇가처럼 우물도 말라버렸습니다.
All of the houses and the small church were falling apart.
모든 집들과 작은 교회 또한 허물어지고 있었습니다.
I continued walking for hours, and there was nothing but dry grass.
몇 시간이나 계속 걸었지만 마른 풀 외에는 아무 것도 없었습니다.
All the trees were gone, and there was no sign of life.
나무는 모두 사라졌고 무언가 살아있음을 보여주는 건 아무 것도 없었습니다.
Just when I was about to give up and turn back, I noticed something in the distance.
포기하고 돌아서려 할 때 저 멀리 무언가가 보였습니다.
As I approached, I realized it was a shepherd looking after his sheep.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제가 보았던 것이 양을 돌보고 있는 목동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I asked him for some water, and he gave me some of his.
그에게 물을 좀 달라고 했고, 그는 저에게 그의 물을 좀 주었습니다.
In one hand was a long, thin stick, and in his other was a small bag.
한 손에는 길고 얇은 막대가 있었고 다른 손에는 작은 가방을 들고 있더군요.
As we talked, the shepherd kept piercing the ground with the stick, reaching into his bag, and planting something in the hole.
우리가 대화를 나누고 있는 동안에도 목동은 계속해서 막대로 땅에 파고 가방에 손을 뻗어 자신이 판 구멍에 무언가를 심고 있었습니다.
I asked him what he was doing.
그에게 뭘 하고 있는 거냐고 물었습니다.
He told me that every day he planted 100 acorns.
그는 제게 말하기를 하루에 1백개의 도토리를 심는다고 했습니다.
I thought it was strange.
저는 이상한 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After talking a while, we headed in different ways.
대화를 좀더 나눈 후 우리는 다른 방향으로 흩어졌습니다.
Many years later, I happened to visit the same area again.
많은 해가 흐르고 저는 우연히 같은 지역을 다시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This time, I hardly recognized the place.
이번에는 그 장소를 거의 알아볼 수가 없었습니다.
The whole area was full of thousands of oak trees and seemed to have come back to life.
전체 지역이 수천 그루의 참나무로 가득했고 다시 살아난 것처럼 보였습니다.
There was even water flowing in the brook with plants on either side.
심지어 개울에 물이 흐르고 양 옆으로 식물들이 자라고 있더군요.
People were living in the village.
마을에는 사람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Thanks to the shepherd, life was restored.
목동 덕분에 생명이 회복된 것입니다.
Adapted from The Man Who Planted Trees by Jean Giono
장 지오노 지음 <나무를 심은 사람>을 각색하였습니다.
Pluto: The Ninth Planet?
명왕성: 9번째 행성?
Until 2006, Pluto was the ninth planet from the Sun, but not anymore!
2006년까지 명왕성은 태양의 아홉 번째 행성이었지만, 더 이상은 아닙니다!
What happened?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요?
Did it disappear or explode?
사라지거나 폭발하기도 했다는 말인가요?
No, Pluto is still on the edge of our solar system, but it is no longer considered a real planet.
아닙니다. 명왕성은 여전히 우리 태양계의 가장자리에 있지만, 실질적인 행성으로 여겨지지 않습니다.
In 1930, an American astronomer named Clyde Tombaugh found Pluto.
1930년 클라이드 톰보라는 이름의 미국의 천문학자가 명왕성을 발견했습니다.
It became the ninth planet in our solar system, but there were doubts about it right away.
명왕성은 태양계의 9번째 행성이 되었으나 곧바로 그에 대한 의심이 제기되었습니다.
Astronomers noticed that its small size and strange orbit made it different from the other planets.
천문학자들은 명왕성의 크기가 작다는 것과 다른 행성과는 달리 이상한 궤도를 돈다는 것을 알아챘습니다.
Their doubts grew even bigger when some objects similar to Pluto were discovered.
과학자들의 의심은 명왕성과 비슷한 천체들이 발견되자 더욱 커졌습니다.
In 1992, the astronomer David Jewitt discovered a band of over 1,000 objects made of rock and ice moving around the Sun just beyond the orbit of Neptune.
1992년에 천문학자 데이비드 주이트는 암석과 얼음으로 이루어진 1천 개 이상의 천체 벨트가 혜왕성 궤도 바로 바깥쪽에서 태양 주위를 돌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They became known as Kuiper Belt Objects (KBOs), and some even had sizes and orbits that were similar to Pluto’s.
이들은 후에 카이퍼 벨트 천체(KBOs)라는 명칭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심지어 이들 중 몇몇은 명왕성과 크기와 궤도가 비슷했습니다.
Then in 2005, a new object was discovered farther out than Pluto.
그리고 2005년에 명왕성보다 멀리 있는 새로운 천체가 발견되었습니다.
It was called Eris, and astronomers found out that this object is actually made of the same rock-and-ice mixture as Pluto.
그것은 에리스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고 천문학자들은 에리스가 실제로 명왕성과 같이 얼음과 암석이 섞여 만들어졌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In addition, it is actually larger and 27 percent more massive.
이에 더해 실제로 에리스는 명왕성보다 더 크고 질량도 27퍼센트 더 나갑니다.
All these discoveries made astronomers question whether Pluto is a planet or not.
이 모든 발견들은 천문학자들로 하여금 명왕성이 행성인지 아닌지 질문을 던지게 만들었습니다.
To solve this problem, they held a conference.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학술대회가 열렸습니다.
In 2006,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IAU) came up with three standards that an object must meet in order to be called a planet.
2006년 국제천문연합(IAU)는 천체가 행성이라고 불리기 위해 충족시켜야 할 세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습니다.
First, it must orbit around the Sun.
먼저 행성은 태양 주위를 돌아야 합니다.
Second, it must be round or nearly round.
두 번째로는 구형이거나 거의 구형에 가까워야 합니다.
And third, there must be no objects with similar sizes and characteristics in its orbit.
세 번째로, 자신의 궤도상에 비슷한 크기와 특성을 가진 천체가 없어야 합니다.
Pluto only meets the first two standards, so the astronomers made a new term, “dwarf planet,” for Pluto and other objects of its kind.
명왕성은 처음 두 가지 기준만을 만족시켰기에 천문학자들은 명왕성 및 기타 유사한 천체를 부르기 위해 “왜행성”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 냅니다.
The IAU’s decision to call Pluto a dwarf planet remains an issue.
명왕성을 왜행성이라고 부르자는 국제천문연합의 결정은 아직도 논쟁거리로 남아 있습니다.
However, future discoveries may help settle this argument once and for all.
하지만 미래의 발견들을 통해 이 논쟁이 확실하게 해결될 수 있을 것입니다.
Until then, Pluto will remain a fascinating topic of study, regardless of its official status.
그때까지 명왕성은 공식적 지위와 관계 없이 환상적인 연구 주제로 남아 있을 것입니다.
The Lessons of Biosphere 2
바이오스피어 2의 교훈
Imagine people living in an entire world contained inside a large structure.
전 세계 사람들이 하나의 거대한 구조물 안에 살고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But it’s not the future, and they’re not astronauts on a distant planet.
하지만 미래의 일도, 먼 행성에 내린 우주인들의 이야기도 아닙니다.
In 1991, this actually happened in a place called Biosphere 2.
1991년 바이오스피어(생명권) 2라고 불리는 곳에서 실제로 일어난 일입니다.
Biosphere 2 was built in Arizona as an experiment.
바이오스피어 2는 미국의 아리조나에 실험적으로 지어졌습니다.
Scientists wondered how humans would survive if the Earth were destroyed.
과학자들은 만약 지구가 파괴된다면 인류가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지 궁금했습니다.
They thought people might be able to travel to other planets and live on them.
그들은 사람들이 다른 행성으로 이주해 거기에서 살 수 있을 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습니다.
However, these planets would likely have harsher environments than Earth, so people would have to live in special structures with their own Earth-like ecosystems.
그러나 그 행성들은 지구보다 더 가혹한 환경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에, 인간은 지구와 유사한 생태계를 갖춘 특수 구조물 안에서 살아야만 할지 모른다고 생각했습니다.
In order to find out if this were possible, the scientists tried building one on Earth.
이것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과학자들은 지구상에 그런 구조물 하나를 지어보았습니다.
Made of glass and steel, Biosphere 2 covers nearly 140,000 square feet and contains seven different zones.
유리와 철강으로 만들어진 바이오스피어 2의 면적은 거의 14만 평방피트에 달하고 7개의 각기 다른 구역을 포함합니다.
They are a rainforest, an ocean, a desert, a marsh, a savannah, farmland, and a human habitat.
이들은 우림, 대양, 사막, 늪지, 사바나, 농지, 그리고 인간 거주지입니다.
Eight people lived inside it from 1991 to 1993, with over 3,000 plants and animals.
여기에서 8명의 사람들이 3,000여 동식물과 함께 1991년에서 1993년에 걸쳐 살았습니다.
These people had to survive without any help or supplies from the outside world.
이들은 외부 세계의 도움이나 공급물자가 전혀 없이 생존해야만 했습니다.
The experiment, however, did not go as planned due to some problems.
하지만 이 실험은 몇 가지 문제 때문에 계획대로 진행되지 못했습니다.
First of all, microbes in the soil absorbed more oxygen than expected.
무엇보다 토양 속의 미생물들이 예상보다 많은 양의 산소를 빨아들였습니다.
Consequently, there was less oxygen for the people to breathe.
결과적으로 사람들이 숨쉴 수 있는 산소가 줄어들었죠.
This caused them to have fatigue, sleeplessness, and breathing difficulties.
이것은 피로, 불면, 호흡 곤란 등의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Another problem was caused by carbon dioxide.
또 다른 문제는 이산화탄소 때문에 생겼습니다.
Due to its high level in the air, certain plants that were intended to absorb it grew incredibly fast and began to take over the farmland made for growing food crops.
공기 중 이산화탄소 수준이 높아서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이기 위해 가져다 놓은 식물들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자랐고 농작물을 키우기 위해 마련한 농지를 잠식하기 시작했습니다.
As a result, there was a food shortage.
결과적으로 식량 부족의 문제가 생겼습니다.
Also, because Biosphere 2’s climate was warm, unwanted insects such as ants and cockroaches thrived, while beneficial ones such as bees quickly died out.
또한 바이오스피어 2의 기후가 따뜻했기 때문에, 개미나 바퀴벌레와 같이 원치 않는 곤충들이 빠르게 번식했던 반면, 벌들과 같이 유익한 곤충들은 곧 죽어버렸죠.
Many plant species couldn’t reproduce without the help of these insects, so they eventually died out as well.
많은 식물종은 이런 곤충의 도움 없이는 재생산을 할 수 없었고, 벌과 같이 결국 멸종하게 되었습니다.
Despite the challenges, Biosphere 2 taught us many things.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바이오스피어 2는 우리에게 많은 것들을 가르쳐 주었습니다.
Most importantly, it taught us that living without the Earth’s ecosystem would be very difficult.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구 생태계 없이 살아남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는 점을 가르쳐 준 것입니다.
That should remind everyone how important it is to protect our home planet.
이를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행성을 보호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모든 이들이 기억해야 하겠습니다.
A Threat to the Entire Planet
전 지구에 대한 위협
Despite being the most powerful predators in the Arctic, polar bears are facing a great danger.
북극에서 가장 강력한 포식자임에도 불구하고 북극곰은 커다란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As rising temperatures cause ice to melt, they are losing their homes.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서 얼음이 녹아내리자 자신의 서식처를 잃고 있는 것입니다.
But they are not the only living things endangered by climate change.
하지만 기후 변화에 의해 위협을 당하고 있는 생물은 북극곰만이 아닙니다.
In fact, the Earth’s entire ecosystem is at risk.
사실 지구 전체의 생태계가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Alaskan forests, for example, have an insect called the bark beetle.
예를 들어 알라스카의 숲에는 나무껍질 딱정벌레라고 불리는 곤충이 있습니다.
Its reproduction cycle usually takes two years, but higher temperatures can shorten it, allowing the bark beetle to reproduce more quickly.
나무껍질 딱정벌레의 번식 주기는 보통 2년이지만, 기온이 높아지면 주기가 짧아져서 더 빨리 번식하게 됩니다.
As summers have gotten warmer and warmer, the bark beetle population has increased sharply.
여름이 점점 더워지면서 나무껍질 딱정벌레의 개체수는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As a result, millions of acres of trees in Alaska have been destroyed by bark beetles.
결과적으로 알라스카에 있는 수백만 에이커의 나무가 나무껍질 딱정벌레에 의해 파괴되었습니다.
Sea turtles are also being threatened.
바다거북도 위협을 당하고 있습니다.
These ocean creatures lay their eggs on beaches, but ocean levels are rising because warmer temperatures are melting the polar ice.
이 바다 생물은 해안에 알을 낳는데, 높아진 온도 때문에 극지방의 얼음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Consequently, many beaches are shrinking, making it difficult for sea turtles to find a place for their nests.
결과적으로 많은 해안들은 그 면적이 줄어들고 있고, 바다거북이 둥지를 마련할 자리를 찾기가 힘들어졌습니다.
Rising temperatures also have a more direct influence on sea turtles.
기온 상승은 바다거북에 좀더 직접적인 영향 또한 미치고 있습니다.
As it becomes warmer, more females and fewer males are born, resulting in unbalanced numbers of the sexes.
날씨가 점점 따뜻해 지면서 태어나는 암컷은 많아지고 수컷은 줄어들고 있어, 두 성의 균형이 깨지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This is because a nest’s temperature determines the sex of its baby sea turtles.
이것은 둥지의 기온이 아기 바다거북의 성별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These problems could soon lead to a serious drop in the sea turtle population.
이 문제는 곧 바다거북 개체수의 심각한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Finally, climate change is killing coral.
마지막으로 기후 변화는 산호를 죽이고 있습니다.
Coral provides a home for algae, which is a mass of plant-like organisms that give it its bright colors.
산호는 조류의 서식처를 제공하는데, 조류는 식물과 같은 생명체가 모여 밝은 색을 띱니다.
This algae shares the food it produces with the coral.
이 조류는 자신이 만들어내는 음식을 산호와 공유합니다.
But when water temperatures rise, the coral becomes stressed, so it rejects the algae.
하지만 수온이 높아지면 산호가 스트레스를 받아 조류를 거부합니다.
This causes the coral to turn white and die since it no longer has enough food to survive.
이로 인해 산호는 하얀 색으로 변하고 생존을 위해 필요한 음식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해 죽고 맙니다.
Then its death endangers the many creatures that depend on it.
이렇게 되면 산호의 죽음으로 산호에 의지해 사는 많은 생명들까지 위태롭게 됩니다.
Humans are also a part of the Earth’s ecosystem.
인간 또한 지구 생태계의 일부입니다.
To protect not only animal species but also ourselves, we must make a greater effort to slow climate change.
동물 종 뿐 아니라 우리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우리는 기후 변화의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야 합니다.
Calling for Green Roofs
친환경 옥상을 요구합니다
Dear City Council Members,
친애하는 시 의회 의원들께
I am a resident of New City and have lived here for my entire life.
저는 뉴 시티의 주민으로 이곳에서 평생을 살아왔습니다.
New City is a great place to live, but there is one problem that needs to be fixed.
뉴 시티는 정말 살기 좋은 곳입니다만 해결되어야 할 문제가 하나 잇습니다.
Because the city is so crowded, there is little room for parks and gardens.
시의 인구가 너무 많아서 공원과 정원을 위한 공간이 거의 없습니다.
To deal with this issue, I’d like to propose an innovative solution.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저는 혁신적인 해법 하나를 제안하고 싶습니다.
To be a better place to live in, New City should create green roofs.
뉴 시티를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친환경적인 옥상을 조성해야 합니다.
Green roofs are rooftops where people can grow grass, flowers, vegetables, and even trees.
친환경 옥상은 사람들이 풀, 꽃, 채소, 심지어는 나무를 기를 수 있는 옥상을 말합니다.
Here are some of their benefits.
친환경 옥상에는 다음과 같은 좋은 점이 있습니다.
First of all, green roofs help people.
먼저 친환경 옥상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They give residents a place to relax and enjoy the beauty of nature by creating green spaces in the middle of cities.
시 한 복판에 녹색 공간을 만듦으로써 주민들이 쉬면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맛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것입니다.
Their gardens can also produce fresh vegetables for people to eat.
옥상 정원에서 사람들이 먹을 신선한 야채를 생산해 낼 수도 있습니다.
Above all, they are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build strong communities in a city.
무엇보다도 옥상정원은 도시에서 강한 공동체를 만들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When people have a local place to gather, they have more chances to get to know their neighbors better.
동네에 모일 공간이 생기면 주민들은 이웃을 더욱 잘 알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갖게 됩니다.
Besides, their kids can play together in a safe place.
그 외에도 자녀들이 안전한 곳에서 함께 놀 수 있습니다.
Green roofs benefit the environment as well.
친환경 옥상의 혜택은 환경에도 돌아갑니다.
One way they do this is by reducing the amount of energy used in their buildings.
환경에 도움이 되는 방법 중 한 가지는 건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의 양을 줄이는 것입니다.
They absorb the heat of the sun in summer and keep heat from escaping in winter.
옥상정원은 여름에는 태양열을 흡수하고, 겨울에는 건물 밖으로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줍니다.
Their plants also help keep the air clean by taking in carbon dioxide and releasing oxygen.
또한 정원에 심겨진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여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도와줍니다.
Finally, green roofs provide a safe, clean home for the birds, insects, and other animals that live in cities.
마지막으로 친환경 옥상은 새와 곤충, 그리고 기타 도시에 사는 동물들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거처를 제공합니다.
Since this will strengthen the local ecosystems in the long run,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why we need green roofs.
이것은 장기적으로 지역 생태계를 튼튼하게 만들어 주기에 우리에게 친환경 옥상정원이 필요한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These are the reasons why I think the city council should build lots of green roofs in New City.
이 같은 점들이 제 생각에 시 의회가 뉴 시티에 많은 옥상정원을 설치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This project is the easiest way to help the environment and make people happier in our city.
이 프로젝트야말로 시의 환경을 개선하고 주민들이 더 행복해지도록 하는 가장 쉬운 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