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s one of the most famous paintings in the world?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그림 중 하나는 무엇일까요?
If you guessed the Mona Lisa, you’re right!
모나리자를 상상하셨나요? 맞습니다.
It was painted by Leonardo da Vinci.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그림이죠.
However, he was not only a painter but also an inventor and scientist.
그러나 그는 단지 화가였을 뿐 아니라 발명가이자 과학자이기도 했습니다.
Leonardo was born in 1452 in Vinci, Italy.
레오나르도는 1452년 이탈리아의 빈치라는 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
When he was 14 years old, he began to learn from one of the most successful artists of his day, and he soon became a skilled painter.
열 네 살이 되어서는 당시 가장 성공한 화가들 중 한 사람으로부터 배우기 시작했고 곧 능숙한 화가가 되었습니다.
Leonardo’s painting of The Last Supper and drawing of the Vitruvian Man are still famous because they look so real.
그의 작품 중 최후의 만찬과 비트루비우스적 인간은 너무나 사실적이어서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명합니다.
Leonardo wasn’t just an artist; he was a talented inventor as well.
레오나르도는 단지 화가였을 뿐 아니라 재능있는 발명가이기도 했습니다.
During his life, he had many ideas for new inventions.
사는 동안 새로운 발명에 대한 아이디어가 많은 사람이었죠.
One thing that fascinated Leonardo was flying.
레오나르도를 매혹시킨 것 한 가지는 비행이었습니다.
In his notebooks, he wrote down ideas for building flying machines, including a helicopter.
노트북에 헬리콥터를 비롯하여 날 수 있는 기계를 어떻게 만들까에 대한 아이디어들을 기록해 놓기도 했죠.
He also wrote down plans for making a parachute and shoes that could walk on water.
이뿐 아니라 낙하산이나 물 위를 걸을 수 있는 신발에 대한 설계도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Most of his ideas were quite extraordinary!
그의 아이디어 대부분은 결코 평범하지 않은 것이었지요!
Another of Leonardo’s great abilities was studying science.
레오나르도가 가진 또 하나의 대단한 능력은 과학을 공부하는 데 있었습니다.
He did it by observing nature very carefully and taking notes.
자연을 매우 주의 깊게 관찰하고 기록함으로써 이 일을 해냈습니다.
He was interested in studying many different things, like the stars, water, the human body, and more.
그는 별이나 물, 인체 등 정말 많은 대상을 연구하는 데 관심이 있었습니다.
He even researched how fossils formed!
그는 심지어 화석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연구하기도 했습니다.
Surprisingly, Leonardo actually wrote some of his notes backwards because he didn’t want anyone to steal his ideas.
놀라운 것은 누군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훔쳐가길 원하지 않아서 노트 필기 중 몇몇을 실제 거꾸로 했다는 사실입니다.
You can only read them with a mirror!
그런 필기는 거울이 있어야만 읽을 수 있죠!
Leonardo da Vinci was a true “Renaissance man.”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진정한 “르네상스 맨”이었습니다.
This term refers to a person who is able to do many things well.
이 용어는 많은 것들을 잘 해낼 수 있는 사람을 가리킵니다.
However, Leonardo da Vinci didn’t just do things well;
그러나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그저 잘하기만 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he did them magnificently.
그는 많은 일들을 훌륭하게 해냈습니다.
Therefore, he is remembered as one of the greatest geniuses of all time!
그래서 그는 역사상 가장 뛰어난 천재 중 한 사람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The Great One
위대한 선수
The bat cracks.
방망이가 딱 소리를 냅니다.
The ball soars into the stands.
공은 관중석으로 비상합니다.
The crowd goes wild.
관중들은 흥분합니다.
It’s Game 6 of the 1971 World Series, and Roberto Clemente just hit a home run for the Pittsburgh Pirates.
1971년 월드 시리즈 6번 게임, 이제 막 미국 프로야구 피츠버그 파이어리츠의 로베르토 클레멘테가 홈런을 날렸습니다.
It’s easy to see why this baseball legend is known as “The Great One.”
이 전설적인 야구선수가 왜 “위대한 선수”로 알려져 있는지 이해하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Roberto Clemente’s childhood was focused on work, family, and baseball.
유년기의 로베르토 클레멘테는 일과 가족 그리고 야구에 집중했습니다.
He was the youngest of seven children, and his family was poor.
그는 일곱 형제 중 막내였고 가족은 가난했습니다.
Clemente worked to earn money, but he always found time for his favorite sport—baseball.
클레멘테는 돈을 벌기 위해 일했지만 언제나 그가 가장 좋아하는 스포츠인 야구를 할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He made it all the way to the Major League because of his talent and effort.
그의 재능과 노력으로 마침내 메이저리그에까지 진출할 수 있었습니다.
As one of the first professional Hispanic baseball players, Clemente had a successful career from the 1950s to the 1970s.
클레멘테는 최초의 히스패닉계 프로야구 선수 중 하나로 1950년대에서 1970년대에 걸쳐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습니다.
During that time, he won the National League Most Valuable Player Award and was an All-Star for the Pittsburgh Pirates 12 times.
이 기간 동안 그는 내셔널 리그의 최우수선수(MVP)를 탔고, 피츠버그 파이어리츠의 올스타로 12번 선정되었습니다.
He even made his 3,000th major league hit in 1972.
1972년에는 무려 메이저리그 통산 3천번째 안타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With his amazing talent, he helped his team win the World Series twice.
그는 놀라운 재능을 가지고 자신의 팀이 월드시리즈에서 두 번이나 우승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했습니다.
Off the field, Clemente supported others whenever he could.
경기장 밖에서 클레멘테는 기회가 올 때마다 다른 사람들을 도왔습니다.
He sponsored baseball clinics and provided baseball equipment and basic supplies to poor neighborhoods.
그는 야구 클리닉을 재정적으로 지원하였고 가난한 이웃지역들에 야구 장비와 기본적인 물품을 제공하였습니다.
Besides helping his neighbors, he even volunteered overseas.
주변의 이웃을 돕는 일 외에도 해외봉사에 자원하기도 했습니다.
In 1972, he took a flight to Nicaragua to give aid packages to the victims of a severe earthquake.
1972년에는 심각한 지진의 희생자들을 위해 구호 패키지를 전달하기 위해 니카라과 행 비행기를 탔습니다.
Unfortunately, the plane crashed because of mechanical problems, killing everyone on board.
불행하게도 비행기는 기체의 결함으로 추락하였고 탑승자 전원이 사망하였습니다.
Even after his death, Clemente continues to be an inspiration to people around the world.
클레멘테는 죽은 뒤에도 계속 전세계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In his honor, the Roberto Clemente Award is presented each year to a player who contributes to his community as well as his team.
그를 기념하기 위해 매년 소속팀 뿐 아니라 지역사회에 공헌한 선수에게 로베르토 클레멘테상이 수여되고 있습니다.
Help the Cocoa Farmers!
코코아 농부들을 도웁시다!
Most people enjoy eating chocolate, but have you ever thought about where it comes from?
대부분의 사람들이 초콜릿을 즐겨 먹지만, 초콜릿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Chocolate is made from cocoa beans.
초콜릿은 코코아 씨로 만듭니다.
These beans are mostly grown on small farms.
이 씨앗들은 대부분 작은 농장에서 재배됩니다.
Cocoa farmers work hard to provide big companies with the beans they need to make chocolate.
코코아 농부들은 초콜릿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씨를 대규모 기업에 제공하기 위해 열심히 일합니다.
Unfortunately, many cocoa farmers are not paid fairly.
안타깝게도 많은 코코아 농부들은 공정한 가격을 받지 못합니다.
They cannot choose the price of their beans.
스스로 코코아 씨앗의 가격을 선택할 수 없습니다.
Instead, the big companies make this decision.
대신 거대 기업들이 이 결정을 합니다.
These companies generally care more about their profits than the well-being of their farmers.
이들 기업은 보통 농부들의 삶의 질보다는 자신의 이익에 더 큰 관심을 갖습니다.
So the farmers are unable to earn enough money.
그래서 농부들은 충분한 돈을 벌 수 없습니다.
Consequently, their children cannot go to school and must work on their parents’ cocoa farms.
결과적으로 그들의 자녀들은 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부모들의 코코아 농장에서 일을 해야만 합니다.
What's more, since the price of cocoa beans is so low, farmers must grow more of them.
더 심각한 것은 코코아 씨앗의 가격이 낮기 때문에 농부들이 더 많이 재배해야만 한다는 것입니다.
Cocoa trees grow best in forests.
코코아 나무는 숲에서 가장 잘 자랍니다.
But farmers cut down the forests to expand their farmland and plant more cocoa trees.
하지만 농부들은 농지를 확장하여 더 많은 코코아 나무를 심기 위해 숲을 잘라냅니다.
Their trees are unhealthy because of this.
이렇게 자란 코코아 나무는 건강하지 못합니다.
So the farmers use pesticides and fertilizers to make them grow better.
그래서 농부들은 나무들이 더 잘 자라게 하기 위해 살충제와 비료를 사용합니다.
Unfortunately, water and soil are polluted by these chemicals.
유감스럽게도 물과 토양은 이들 화학물로 오염됩니다.
Many people were worried about farmers of cocoa and other crops.
많은 사람들이 코코아와 다른 작물 재배 농부들에 대해 걱정했습니다.
So they got together and started the fair trade movement.
그래서 함께 모여 공정무역운동을 시작했습니다.
Its goal is to make sure that farmers get paid enough for their crops to continue farming and supporting their families.
공정무역운동의 목표는 농부들이 작물을 계속 재배하고 가족을 부양할 수 있을 정도의 대가를 지불받도록 하는 것입니다.
Due to this movement, many farmers and their communities now lead better lives.
이 운동 덕택에 이제 많은 농부들과 그들이 속한 지역사회가 더 나은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Fair trade also allows them to grow their crops without harming the environment.
공정무역은 또한 환경을 해치지 않고 작물을 키울 수 있도록 해줍니다.
There are still many companies that pay unfair prices, but you can help change this.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공정하지 못한 가격을 지불하지만 당신은 이 상황을 변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Chocolate and other products made with fair trade ingredients are marked with a special label that says “fair trade.”
공정무역을 통한 원재료로 만든 초콜릿과 다른 제품들에는 “공정무역”이라는 특별한 상표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Look for it the next time you go shopping.
다음에 물건을 사러 갈 때 한 번 찾아보세요.
If everyone buys fair trade products, companies will get the message!
만약 모든 사람들이 공정무역 제품을 산다면 기업들은 소비자의 메시지를 알아듣게 될 겁니다!
30 Hour Famine
30시간의 기아 체험
“Grrrr!” My stomach is growling.
"꼬르륵" 뱃속에서 아우성치는 소리가 납니다.
My friends and I are too weak to play.
친구들도 나도 놀 기운이 없습니다.
There are a bunch of students lying on the gym floor because they have no energy to move.
한 무더기의 학생들이 움직일 기운도 없어 체육관 바닥에 누워 있습니다.
“Food,” they murmur weakly.
"먹을 거." 학생들이 힘없이 웅얼거립니다.
“Give us food.”
"먹을 것 좀 주세요."
I don’t know how much longer I can go without food.
내가 먹지 않고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I look around me.
주위를 둘러 봅니다.
Some students look tired and some are holding their stomachs.
피곤해 보이는 학생들도, 배를 움켜잡고 있는 학생들도 있습니다.
Everyone looks hungry.
다들 배고파 보입니다.
The clock says noon, and I wonder what other people around the world are eating for lunch.
시계를 보니 정오를 가리키고, 나는 전세계 사람들이 점심으로 무엇을 먹고 있을까 상상해 봅니다.
I can’t stop thinking about sandwiches, soup and other delicious, sweet-smelling food.
샌드위치와 수프, 그 외에 맛있고 달콤한 음식 생각을 떨칠 수가 없습니다.
There are even images of hamburgers and fries dancing in my head.
머리 속에서 햄버거와 감자튀김 이미지가 춤을 춥니다.
I slowly lie down.
나는 천천히 드러눕습니다.
Maybe if I sleep, I will not be hungry.
잠을 자면 배가 안 고플지도 모릅니다.
Suddenly, I hear a whistle!
갑자기 호루라기 소리가 들립니다!
“OK, students! Time for lunch!” says Mr. Johnson, our principal.
"자, 학생 여러분! 점심 시간입니다!" 존슨 교장 선생님이 말씀하십니다..
I look at the clock, and it is 1:30.
시계를 보니, 1시30분입니다.
Slowly, everyone around me comes alive as they stand up.
내 주위의 모든 학생들이 일어서면서 서서히 생기를 되찾습니다.
We have been participating in the 30 Hour Famine and have not eaten for over a day!
우리는 '30시간 기아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었고, 만 하루가 넘도록 아무 것도 먹지 않았던 것입니다!
The 30 Hour Famine is a program in which students around the world take part in raising money for starving children.
'30시간 기아 체험'은 세계 각지의 학생들이 참여해서 굶주리는 아이들을 위한 성금을 모으는 프로그램입니다.
I am proud that our school is helping other less fortunate children.
나는 우리 학교가 우리보다 불행한 아이들을 돕고 있다는 사실이 자랑스럽습니다.
Slowly, everyone gets up.
서서히 모두들 자리에서 일어섭니다.
We are all smiling weakly.
우리 모두가 힘없이 미소 짓고 있습니다.
However, it is a bittersweet moment.
하지만 지금은 달콤하면서 씁쓸한 순간입니다.
Although we can all go home and eat a big lunch, there are still millions of hungry children in the world.
우리는 모두 집으로 돌아가 푸짐한 점심을 먹을 수 있지만, 여전히 세계 수백만의 아이들이 배고픔에 시달리고 있으니까요.
Cinderellas Around the World
세계의 신데렐라들
Everybody knows the fairy tale of Cinderella.
누구나 신데렐라라는 동화를 알고 있습니다.
However, did you know that many cultures have similar Cinderella stories?
하지만 여러분들은 여러 문화권에 신데렐라와 비슷한 이야기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나요?
One of the oldest Cinderella stories is from ancient Egypt and is about a servant girl named Rhodopis.
가장 오래된 신데렐라 이야기 중 하나는 고대 이집트에서 전해지는데, 로도피스라는 이름의 하녀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She was from Greece and looked different, so the other servants teased her.
그리스 출신이었던 로도피스는 다른 생김새가 달라서 다른 하인들의 놀림감이 되곤 했죠.
One day, Rhodopis was forced to stay home and wash clothes while everybody else was at a party at the Pharaoh’s palace.
하루는 다른 사람들이 모두 파라오의 왕궁에서 열리는 파티에 간 사이 집에 혼자 남아서 빨래를 해야만 했습니다.
Suddenly, an eagle came, took her sandal, and dropped it in front of the Pharaoh.
갑자기 독수리 한 마리가 나타나 로도피스의 샌들을 채 가서는 파라오 앞에 떨어뜨립니다.
He thought it had come from the gods, so he decided to marry its owner.
그 신이 신들에게서 온 것이라 생각한 파라오는 신발의 주인과 결혼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All the women in Egypt tried the sandal on, but it only fit Rhodopis.
이집트의 모든 여인들이 이 샌들을 신어 보았지만 오로지 로도피스에게만 맞았습니다.
She married the Pharaoh and lived happily ever after as queen of Egypt.
로도피스는 파라오와 결혼해서 이집트의 여왕으로 오래오래 행복하게 삽니다.
Similar stories also appear in China.
비슷한 이야기들이 중국에도 있습니다.
One is about a girl named Ye Xian.
하나의 예로 시엔이라는 소녀의 이야기가 있죠.
She was more beautiful than her stepsister, so her stepmother treated her badly.
그녀는 자신의 이복자매보다 더 아름다워서 계모는 그녀에게 못되게 굽니다.
She even killed Ye Xian’s only friend, a fish with golden eyes.
계모는 심지어 예 시엔의 유일한 친구인 황금색 눈 물고기마저 죽여버립니다.
Now all Ye Xian had were the fish’s magic bones.
이제 예 시엔이 가진 것은 오로지 물고기가 남긴 마법의 뼈 뿐입니다.
One day, her stepmother and stepsister went to a spring festival without her.
하루는 계모와 이복자매는 그녀를 남겨놓고 봄 축제에 갑니다.
The magic bones helped Ye Xian go as well by making her a beautiful dress and tiny golden slippers.
마법의 뼈는 아름다운 드레스와 작은 금빛 슬리퍼를 만들어 예 시엔도 축제에 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But at the festival, she lost one of the slippers.
하지만 축제장에서 신발 한 짝을 잃어 버립니다.
Later, the king found it and succeeded in finding her with it.
이후 잃어버린 신발을 발견한 왕은 그것을 이용해 예 시엔을 찾아냅니다.
When he saw the beautiful Ye Xian, he fell in love and married her.
왕이 아름다운 예 시엔을 만나 사랑에 빠지고 그녀와 결혼하게 됩니다.
There are many more Cinderella stories.
더 많은 신데렐라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Almost all of them are about a kind girl who is treated badly but lives happily ever after in the end.
거의 항상 천대받지만 결국에는 행복한 삶을 살게 되는 친절한 소녀의 이야기입니다.
Do you know any other Cinderella stories?
여러분들도 다른 신데렐라 이야기를 알고 있나요?
The Dragon Boat Festival
용선제
On the fifth day of the fif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the Dragon Boat Festival is held in China.
음력 5월 5일 중국에서는 용선제가 열립니다.
One of China’s biggest holidays, the Dragon Boat Festival is a time for driving away evil spirits so people can live healthy and peaceful lives.
용선제는 중국의 최대의 휴일 중 하나로 사람들이 건강하고 평화롭게 살 수 있도록 악령을 몰아내는 날입니다.
The story behind this festival involves an official named Qu Yuan.
이 축제의 배경에는 굴원(Qu Yuan)이라는 정부 관료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Qu was a minister in the state of Chu.
굴원은 초나라의 관리였습니다.
When he opposed the king’s decision to become allies with the state of Qin, he was sent out of Chu.
그가 진나라와 동맹을 맺겠다는 왕의 결정에 반대했을 때 초나라에서 추방당합니다.
Later, when Qin captured the Chu capital, Qu fell into despair and drowned himself in the Miluo River.
후에 진나라가 초나라의 수도를 점령했을 때 굴원은 절망에 빠져 멱라강에 스스로 몸을 던집니다.
The local people got into their boats and raced to try to save him.
동네 주민들은 배를 타고 그를 구하기 위해서 빠르게 노를 저었습니다.
When Qu’s body could not be found, they dropped balls of sticky rice into the river, hoping that the fish would eat them instead of Qu’s body.
굴원의 시체가 발견되지 않자, 주민들은 찰밥으로 만들어진 공을 강 밑으로 떨어뜨렸어요, 물고기들이 굴원의 몸 대신 밥덩어리를 먹길 바라면서 말이죠.
Today, Qu Yuan’s story is remembered in two ways at the Dragon Boat Festival.
오늘날, 용선제에서 사람들은 굴원의 이야기를 두 가지 방식으로 기억합니다.
First, there are dragon boat races in which teams row dragon-shaped boats and try to reach the finish line first.
먼저 용선 경주가 있는데, 팀별로 용모양의 배를 저어 결승선에 먼저 가는 경주입니다.
One of the team members beats a drum to help the others row together at the same time.
팀원 중 한 명은 나머지 팀원들이 동시에 노를 저을 수 있도록 북을 칩니다.
Also, delicious rice dumplings called “zong zi” are prepared using sticky rice.
또한 찰진 쌀로 ‘쫑즈’라고 불리는 맛있는 쌀 만두를 준비합니다.
Each region in China has its own special type of zong zi, but they are most commonly shaped like a pyramid or a triangle.
중국 각 지역별로 특유의 쫑즈가 있지만 가장 흔한 것은 피라미드나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The lively and colorful Dragon Boat Festival is a favorite of the Chinese and of visitors to their country.
활기차고 다채로운 용선제는 중국인들과 외국 관광객들이 가장 사랑하는 축제입니다.
It also serves as a link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of their great culture.
또한 훌륭한 문화의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Frank Lloyd Wright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There are many types of buildings: office buildings, museums, hotels, and houses.
여러 종류의 건물이 있습니다: 사무실 빌딩, 박물관, 호텔, 주택 등과 같은.
Buildings are often designed only to be functional, so sometimes they are not pleasing to the eye.
종종 기능적인 역할만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기에, 미관상 아름답지 못한 건물도 있습니다.
However, the buildings designed by Frank Lloyd Wright (1867-1959), an American architect, are functional, beautiful, and quite unique.
하지만 미국의 건축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1867-1959)가 설계한 건물들은 기능을 잘 수행하면서도 아름답고 매우 독특합니다.
Unlike other architects, Wright wanted to make buildings that were a natural part of their surroundings.
다른 건축가들과는 다르게 라이트는 주변 환경의 자연스런 일부가 되는 건물을 만들고 싶어했습니다.
He called this new idea “organic architecture.”
그는 이런 새로운 아이디어를 “유기적 건축”이라고 불렀습니다.
He was inspired by the environment, so he came up with ways to use it in his designs or even the buildings themselves!
그는 환경에서 영감을 얻었고, 환경을 자신의 디자인에 심지어 빌딩 자체에 사용하는 방법들을 제안했습니다.
For instance, he used lots of natural colors and wide, open spaces.
예를 들어 그는 다양한 자연색과 넓고 탁트인 공간들을 사용했습니다.
Wright built lots of homes in this style, like the Winslow House near Chicago.
라이트는 시카고 근교의 윈슬로 하우스(Winslow House) 등 많은 집을 자신의 스타일로 건축했습니다.
Its earth-toned brick walls and low, wide roof blend well with the flat land.
윈슬로 하우스의 흑빛 벽돌로 된 벽과 낮고 넓은 천장은 평평한 대지와 잘 어울립니다.
Wright’s Fallingwater house is another example of organic architecture.
그의 폴링워터 하우스(Fallingwater house)는 유기적 건축의 또 다른 예입니다.
It is built on a piece of solid rock over a waterfall.
이것은 폭포 위에 놓인 하나의 견고한 암반 위에 지어졌습니다.
There are huge glass windows that look down on the falling water.
폭포를 내려다 보는 엄청나게 큰 유리 창문들이 있습니다.
Its appearance is both natural and beautiful.
이 건축물의 모습은 자연스럽고도 아름답습니다.
Additionally, Wright included nature in other buildings than houses, like the Guggenheim Museum in New York City.
아울러, 라이트는 뉴욕시에 있는 구겐하임 박물관과 같은 주택 이외의 빌딩들에도 자연을 통합했습니다.
Its roof has many pieces of glass that let in lots of light.
구겐하임의 천장은 여러 개의 유리로 되어 있어서 많은 양의 태양빛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It looks like a spider web.
마치 거미줄처럼 보이죠.
The museum also has one long ramp winding down instead of separate floors.
박물관은 또한 각층별 계단 대신 끊어지지 않고 감기듯 내려오는 긴 계단을 갖고 있습니다.
That makes it look kind of like a spiral shell.
그래서 나선형 조개껍질처럼 보이는 것도 같습니다.
Now, it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nteresting examples of modern architecture.
현재 구겐하임은 현대의 건축물 중 가장 흥미로운 예들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Frank Lloyd Wright is regarded as America’s greatest architect.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는 미국의 가장 위대한 건축가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His unique vision of combining functionality with naturalness continues to influence architecture to this day.
기능성과 자연스러움을 결합하는 그만의 독특한 건축관은 오늘날까지 계속해서 건축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The Phantom of the Opera
오페라의 유령
A long time ago in Paris, there lived a young woman named Christine who dreamed of becoming an opera singer.
아주 옛날 프랑스 파리에 오페라 가수가 되길 꿈꾸는 젊은 여자 크리스틴이 살았습니다.
She lived with her father, who told her stories about an angel of music.
그녀와 함께 살고 있던 아버지는 그녀에게 음악의 천사에 관한 이야기들을 해주었습니다.
When her father got sick, he told her that he would send the angel of music to care for her.
아버지는 병에 걸리자 딸에게 음악의 천사를 보내어 보살피게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After her father died, Christine joined the Paris Opera House ballet choir.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크리스틴은 파리 오페라하우스의 발레 합창단에 들어갔습니다.
There she heard a voice that sounded as beautiful as an angel.
거기에서 마치 천사와 같이 아름다운 목소리가 울려퍼지는 걸 들었습니다.
The voice began to teach her how to sing.
그 목소리는 그녀에게 노래하는 법을 가르쳐 주기 시작했습니다.
Christine thought this was the angel of music, but it was the voice of the Phantom of the Opera.
크리스틴은 이것이 천사의 음악이라고 생각했지만 사실 “오페라의 유령”의 목소리였습니다.
The Phantom lived alone in the sewers beneath the Paris Opera House.
유령은 파리 오페라 하우스 지하의 하수구에 혼자 살았습니다.
Although he sang beautifully, he always wore a mask because his face was disfigured.
그의 노래는 아름다왔지만 흉측하게 망가진 얼굴 때문에 항상 가면을 쓰고 있었습니다.
When Christine became a famous opera singer, many people came to admire her, including a certain handsome young man named Raoul.
크리스틴이 유명한 오페라 가수가 되자, 많은 사람들이 그녀의 모습에 감탄했는데, 그 중에는 라울이라는 이름의 한 젊은 미남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He was Christine’s childhood boyfriend, and soon he and Christine fell in love.
어렸을 때 크리스틴의 남자친구였던 라울은 얼마 안 가 크리스틴과 사랑에 빠졌습니다.
When the Phantom learned of this, he became very jealous.
유령이 이 사실을 알게 되자 깊은 질투심에 휩싸였습니다.
He kidnapped them and threatened to kill Raoul.
그는 두 사람을 납치했고, 라울을 죽이겠다고 협박했습니다.
Christine was very afraid.
크리스틴은 너무 두려웠습니다.
She promised the Phantom that she would marry him if he let Raoul go.
그녀는 라울을 놓아 준다면 유령과 결혼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When the Phantom agreed, she took off his mask and kissed him.
유령이 이 제안을 받아들이자 여자는 가면을 벗기고 유령에게 키스했습니다.
No one had ever kissed the Phantom before because of his face.
흉측한 얼굴 때문에 누군가가 유령에게 키스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었습니다.
Suddenly, he became very upset since he realized that Christine was sacrificing herself and that he had treated her and Raoul terribly.
순간 유령은 크리스틴이 희생하고 있으며 자신이 크리스틴과 라울을 끔찍하게 대했다는 것을 깨닫고 몹시 화가 났습니다.
He cried out in pain and then disappeared forever, leaving them free to love each other.
유령은 고통으로 울부짖은 후 영원히 사라져 버렸고, 남자와 여자는 자유롭게 서로를 사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Earth Hour
지구의 시간
Would you switch off all your lights if someone asked you to?
누군가 여러분에게 전등을 모두 꺼달라고 요청한다면 그렇게 하시겠습니까?
That’s what many people do every year during Earth Hour.
많은 사람들이 매년 “지구의 시간”에 이 같은 일을 합니다.
Earth Hour is an event where people unite to help save the earth.
"지구의 시간"은 사람들이 지구를 살리는 일에 힘을 합하는 행사입니다.
They do this by turning off any unnecessary lights and electrical devices.
사람들은 불필요한 전등과 전기 장치를 꺼서 이 일에 동참합니다.
The first Earth Hour happened in 2007.
“지구의 시간” 첫 행사는 2007년에 열렸습니다.
Concerns about global warming were growing, so two million people participated in a demonstration in Sydney, Australia.
지구 온난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었기에 오스트리아의 시드니에서 개최된 시위에 2백만명의 사람들이 참여했습니다.
By turning off their lights for an hour, they saved the city 10% of its hourly electricity.
한 시간 동안 전등을 꺼서 시가 한 시간에 소비하는 전력의 10퍼센트를 절약했습니다.
Other cities took the opportunity to join in 2008, and even more joined in 2009.
2008년에는 다른 도시들도 이 행사에 참여하는 기회를 잡았고, 2009년에는 더 많은 도시들이 동참했습니다.
That year, Earth Hour was officially set from 8:30 to 9:30 p.m. on the last Saturday of March.
그 해 지구의 시간이 공식적으로 3월 마지막 주 토요일 밤 8시 30분에서 9시 30분으로 정해졌습니다.
By 2014, over 7,000 cities in 162 countries on all seven continents were participating.
2014년 까지 7개 대륙의 162개국, 7천이 넘는 도시들이 이 행사에 동참했습니다.
During Earth Hour, many people turn off the lights in their homes and businesses.
“지구의 시간”이 되면 가정과 직장에서 많은 사람들이 전등을 끕니다.
People then do many activities that do not need electricity, like having campfires or parties lit by candles.
그리고 캠프파이어나 촛불 파티 등 전기가 필요 없는 여러 활동에 참여하지요.
Many governments also support Earth Hour by turning off the lights on famous monuments.
많은 정부 또한 널리 알려진 유적들의 전등을 꺼서 “지구의 시간”을 후원합니다.
Among these are the Colosseum in Rome, Buckingham Palace in London, the Burj Khalifa in Dubai, the Empire State Building in New York City, and the Sydney Opera House.
이들 중에는 로마의 콜로세움, 런던의 버킹엄 궁전, 두바이의 부르즈 칼리파, 뉴욕의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그리고 시드니의 오페라하우스 등이 유명합니다.
Earth Hour only lasts for one hour, but it teaches us lessons that we can use to protect the earth all year round.
"지구의 시간"은 단지 한 시간 동안 진행되지만 이 행사가 주는 교훈은 지구를 지키기 위해 일년 내내 실천할 수 있습니다.
For example, it helps people understand global warming and think about how to stop it.
예를 들어 “지구의 시간”은 사람들이 지구 온난화를 이해하고 어떻게 막을 수 있는지 생각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This March, why don’t you participate in Earth Hour and put these lessons into practice?
돌아오는 3월에는 여러분들도 “지구의 시간” 에 참여해 이런 교훈을 실천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Waste Usefully
유용하게 버리세요
Every year, people throw away millions of tons of garbage.
매년 사람들은 수백만 톤의 쓰레기를 버립니다.
Where does all this garbage go?
이 쓰레기는 다 어디로 갈까요?
It usually goes into landfills or is burned, which is harmful to the environment.
보통은 매립지로 가거나 소각되는데, 이것은 환경에 해롭습니다.
But we can help if we remember the 3Rs: reduce, reuse, and recycle.
하지만 3가지 R만 기억하면 환경에 보탬이 될 수 있습니다. 줄이고(Reduce), 다시 쓰고(Reuse), 재활용(Recycle)하는 것입니다.
Reducing means using fewer resources in our daily lives.
줄인다 함은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 더 적은 자원을 사용하는 것을 뜻합니다.
Instead of taking a car when going to a nearby place, try walking or cycling.
가까운 곳에 갈 때는 자동차를 이용하는 대신 걷거나 자전거를 타보세요.
You can also avoid buying things with lots of packaging and save water by turning the sink faucet all the way off.
포장이 많은 물건을 사는 것을 피하고 싱크대의 수도꼭지를 완전히 잠가서 물을 절약할 수도 있습니다.
Reducing can be hard sometimes, but it is truly worth doing because it saves the environment.
줄이는 게 때로는 어려울 수 있지만, 환경을 살리기 때문에 정말로 실천할 가치가 있습니다.
Another way to help the environment is to reuse things.
환경을 돕는 또 다른 방법은 물건을 다시 쓰는 것입니다.
For example, we can use washable cups and cloth napkins instead of paper products.
예를 들어 종이로 만들어진 제품 대신에 씻어서 사용할 수 있는 컵을 쓰거나 천으로 된 냅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We can use rechargeable batteries, too.
충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죠.
Unlike regular batteries, they can be reused many times before they need to be thrown away.
충전지는 일반적인 배터리와는 다르게 버려야 할 때까지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Reusing can also mean giving away or donating something you don’t use or like anymore.
다시 쓰기는 사용하지 않거나 좋아하지 않는 물품을 내놓거나 기부하는 일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That way, it can be used once more by someone else who needs it.
그런 식으로 여러분 말고 필요한 누군가가 다시 한 번 사용할 수 있으니까요.
Finally, recycling makes old materials into new products.
마지막으로, 재활용은 헌 재료를 변화시켜 새 제품으로 만듭니다.
Instead of burying or burning garbage, you can help make it into something useful.
쓰레기를 묻거나 태우는 대신 유용한 것으로 만들 수 있다는 말입니다.
All you need to do is sort waste material by type and put them into the proper recycling bins.
여러분들은 그저 폐기물을 형태별로 분류해서 알맞은 재활용 상자에 넣기만 하면 됩니다.
It is an easy thing everyone can do!
누구나 할 수 있는 쉬운 일이죠!
Waste management is important.
쓰레기 관리는 중요합니다.
If we reduce, reuse, and recycle the products we use every day, we will create less trash.
우리가 매일 쓰는 제품들을 줄이고 다시 쓰고 재활용하면, 쓰레기를 덜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This is the best way to protect the environment.
이것이 환경을 보호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Please, play your part!
부디 여러분도 맡은 역할을 해주시길요!
The Avenue des Champs-Élysées
샹젤리제 거리
Do you know the most beautiful avenue or street in the world?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거리가 어디인지 아시나요?
The French believe it is the Avenue des Champs-Élysées.
프랑스 사람들은 샹젤리제 거리라고 생각합니다.
The Avenue des Champs-Élysées, a very old and beautiful street, attracts people for various reasons.
유서가 매우 깊고 아름다운 거리인 샹젤리제 거리는, 여러 가지 이유로 사람들을 끌어모읍니다.
First, the Avenue des Champs-Élysées is a tourist attraction.
우선, 샹젤리제 거리는 관광 명소입니다.
Every year, millions of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visit this avenue because of its grand old buildings, palaces, and theaters.
매년 전세계에서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이곳의 웅장한 옛 건물, 왕궁, 극장 등을 보기 위해 거리를 방문합니다.
Also, at the end of the street is the Arc de Triomphe, a very famous arch built for the purpose of remembering the soldiers who fought in the French Revolutionary and Napoleonic Wars.
또 거리의 끝에는 개선문이 있는데,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싸운 군인들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매우 유명한 아치형 건축물입니다.
The Avenue des Champs-Élysées is also very famous for its shopping and dining.
샹젤리제 거리는 쇼핑과 외식으로도 매우 유명합니다.
It is home to many famous brands, so customers can find fashionable clothes, cosmetics, perfumes, and more.
여러 유명한 브랜드들이 자리잡고 있는 곳이어서 고객들은 유행하는 옷, 화장품, 향수 등의 물품을 살 수 있습니다.
In between shopping trips, they can visit fancy restaurants and try delicious, wonderfully cooked food.
쇼핑 중간 중간에 멋진 레스토랑을 방문해 훌륭하게 조리된 맛있는 요리를 맛볼 수도 있습니다.
Finally, the Avenue des Champs-Élysées is used for special occasions such as parades on important holidays and sporting events.
마지막으로 샹젤리제 거리는 중요한 축제일의 퍼레이드나 스포츠 행사 등 특별한 때에 이용됩니다.
For example, the final stage of the Tour de France finishes on the Avenue des Champs-Élysées.
예를 들어 투르 드 프랑스(세계적으로 유명한 자전거 경주대회)의 최종 스테이지는 샹젤리제 거리에서 끝납니다.
This is one of the few times the avenue is without traffic, and people line the streets to cheer the cyclists.
이 날은 거리에 차가 없는 며칠 중 하루이고 사람들은 거리에 줄지어 서서 선수들을 응원합니다.
As you can see, this very old and famous street in Paris has many charms that attract a lot of people.
이상에서 보시다시피, 이 매우 오래되고 유명한 파리의 거리는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일만한 갖가지 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If you ever go to Paris, don’t forget to visit the Avenue des Champs-Élysées.
파리에 혹시 가게 된다면, 샹젤리제 거리에 가보시는 것 잊지 마세요.
The Cave of Crystals
크리스탈 동굴
The van drove down the mine’s narrow, winding passage.
밴은 탄광의 좁고 구불구불한 갱도를 달려 내려갑니다.
The trip took much too long.
가는 데에는 시간이 정말 많이 걸렸습니다.
We finally got to the cave’s entrance.
드디어 동굴의 입구에 도착했습니다.
We wore gloves, boots, helmets, and headlights.
우리는 장갑, 부츠, 헬멧을 착용하고 헤드라이트를 달았습니다.
In addition, we needed special gear to keep our bodies cool: vests with ice packs and masks that cooled the air we breathed in.
이에 더해, 우리는 몸을 차갑게 유지시킬 수 있는 특수 장비가 필요했습니다: 얼음팩이 든 조끼와 들이쉬는 공기를 차갑게 만드는 마스크 등
At last, we entered the Cave of Crystals.
드디어 우리는 크리스탈 동굴로 들어갔습니다.
It was first discovered accidentally by miners in Mexico.
동굴은 처음에 멕시코에서 광부들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었습니다.
It has over 170 of the largest crystals in the world.
세계에서 가장 큰 크리스탈 170개 이상이 그 안에 있습니다.
The tallest one is more than 11 meters high and weighs over 55 tons!
키가 가장 큰 것은 높이가 11미터 이상이고 무게는 55톤이 넘었습니다.
The huge crystals looked like something from an alien planet.
거대한 크리스탈들은 외계 행성에서 온 것 같아 보였습니다.
Everything in the cave was beautiful.
동굴 안의 모든 것이 아름다웠습니다.
Unfortunately, I started to feel overheated after a while.
유감스럽게도 저는 잠시 후 모든 게 과열되었다고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This was because of the heat that came from the magma below the cave.
이것은 동굴 밑에 있는 용암으로부터 나온 열 때문이었습니다.
Over thousands of years, it helped change the cave’s minerals and water into its magnificent crystals.
용암은 수천 년 이상 동굴의 광물과 물을 장엄한 크리스탈로 바꾸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The time inside the cave was too short!
동굴 안에서 보낸 시간은 너무 짧았습니다.
After 20 minutes, it was time to leave.
20분 후가 되자 떠날 시간이 되었습니다.
Visitors can only stay about 20 minutes because of the extreme heat.
극심한 열 때문에 방문객들은 약 20분 밖에 머물 수가 없습니다.
However, most people in the world have never seen these amazing crystals at all, so I am one of the luckiest people alive.
하지만 세상 대부분 사람들은 이 놀라운 크리스탈들을 전혀 보지 못했으니 저는 살아있는 가장 운좋은 사람들 중 하나입니다.
I removed my heavy gear outside and took a long drink.
밖에서 무거운 장비들을 벗고 물을 한참이나 들이켰습니다.
Cold water never tasted that good.
차가운 물이 그렇게 맛있었던 적이 없었습니다.
As we drove away, I thought about the giant crystals sparkling in the light.
차를 타고 떠나오면서 빛 속에서 반짝이던 거대한 크리스탈들에 대해 생각했습니다.
Walking among them was like a dream.
크리스탈 사이로 걸으니 꿈만 같았습니다.
I have traveled to many caves in my life, but this one was definitely the most fantastic one I have ever seen.
평생 많은 동굴 여행을 다녀봤지만 이번 동굴은 제가 본 것 중에서 분명 가장 환상적이었습니다.
A History of Pizza
피자의 역사
Almost everybody loves pizza.
거의 누구나 피자를 좋아합니다.
It is a very simple yet delicious type of food, and now it is famous all over the world.
피자는 아주 간단하면서도 맛있는 종류의 음식이며, 이제 전세계에 잘 알려져 있죠.
But where is pizza from originally?
하지만 피자는 처음 어디에서 유래했을까요?
Most people think pizza is from Italy, but this is not true.
대부분 사람들이 피자가 이탈리아에서 왔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It is even older than ancient Rome.
피자의 역사는 고대 로마보다도 더 오래되었죠.
In fact, the ancient Greeks made the first kind of pizza.
사실 처음 피자 비슷한 것을 만든 건 고대 그리스인들이었습니다.
They baked flat, round bread with other ingredients on top.
납작하고 둥근 빵 위에 다른 재료들을 같이 얹어서 구워냈지요.
Sometimes, only olive oil and spices were put on top of the bread.
어떤 때는 빵 위에 올리브유와 양념만 얹었습니다.
At other times, herbs and fruit were used as toppings.
또 어떤 때는 허브와 과일을 토핑으로 쓰기도 했지요.
Can you imagine an orange or apple pizza?
오렌지 피자, 사과 피자, 상상이 되시나요?
Today’s pizza is very different from those first pizzas.
오늘날의 피자는 이같은 초창기 피자들과는 많이 다릅니다.
Modern pizza was invented by an Italian baker named Raffaele Esposito.
현대적인 피자는 라파엘 에스포지토라는 이탈리아의 제빵사가 처음으로 만들었습니다.
He was from Naples, Italy.
그는 이탈리아의 나폴리 출신이었습니다.
He put cheese and tomato sauce on top of flat, round bread, which he baked in a brick oven.
그는 납작하고 둥근 빵 위에 치즈와 토마토 소스를 뿌리고, 벽돌 화덕에 넣어 구웠습니다.
Later, he added different types of toppings like garlic, meat, and tomatoes.
후에 그는 마늘, 고기, 토마토 등 다른 종류의 토핑을 얹었습니다.
Modern pizza was born!
현대적인 피자의 탄생이었죠!
Nowadays, you can enjoy pizza almost anywhere in the world with many different kinds of toppings.
오늘날 여러분은 매우 다양한 종류의 토핑을 곁들인 피자를 전세계 거의 모든 곳에서 즐길 수 있습니다.
That is because Italian immigrants made pizza popular in the U.S. after World War II.
이것은 세계 2차대전 이후에 이탈리아 이민자들이 미국에서 피자를 대중화시켰기 때문입니다.
Their pizza was fast and cheap, something everyone could eat.
그들이 만든 피자는 빠르고 값쌌으며 누구나 먹을 수 있었죠.
From the U.S., pizza spread everywhere else, and now it is really an international food.
피자는 미국으로부터 전세계 모든 곳으로 퍼져나갔고, 이제는 정말 국제적인 음식이 되었습니다.
Thank goodness for that baker from Naples, Raffaele Esposito.
나폴리 출신의 제빵사, 라파엘 에스포지토에게 정말 감사할 일입니다
The History of the Bicycle
자전거의 역사
Modern bicycles are amazing machines.
현대의 자전거는 놀라운 기계입니다.
Some even cost as much as a car!
어떤 것은 자동차 만큼이나 가격이 나가죠!
Today’s bicycles are very different from the first bicycles, though.
하지만 오늘날의 자전거는 최초의 자전거와는 매우 다릅니다.
They have improved greatly since their beginning.
처음 자전거에서 눈부신 발전을 했죠.
The first two-wheeled bicycle, the hobbyhorse, was invented in 1818 by Karl Drais.
최초의 두발 자전거인 하비호스는 1818년도에 칼 드라이스에 의해 발명되었습니다.
It could change directions easily.
하비호스는 방향은 쉽게 바꿀 수 있었습니다.
However, it had no pedals, so Drais had to push the ground with his feet to make it go forward.
하지만 페달이 없었죠. 그래서 드라이스는 하비호스를 전진시키기 위해 두발로 땅을 밀어야만 했습니다.
Then in 1839, a Scottish blacksmith named Kirkpatrick Macmillan added foot pedals to supply power to the back wheel.
그 후 1839년에 커패트릭 맥밀란이라는 이름의 스코틀랜드 대장장이가 뒷바퀴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페달을 붙였습니다.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modern bicycle because the rider didn’t have to touch the ground to power it.
맥밀란의 자전거는 타는 사람이 동력 제공을 위해 땅에 발을 댈 필요가 없었기에 최초의 현대식 자전거로 간주됩니다.
The bicycle became popular after a French carriage maker named Pierre Michaux improved it in 1863.
자전거는 1863년에 피에르 미쇼라는 프랑스의 마차 제조자가 개량한 후 대중적 인기를 끌었습니다.
He made the pedals directly power the front wheel, which required it to be quite large.
그는 페달이 앞바퀴에 직접 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하였고, 이것은 앞바퀴의 크기가 상당히 커야 함을 뜻했습니다.
However, its iron frame and tires made it very painful to ride, so it was nicknamed the “boneshaker.”
하지만 철제 프레임과 타이어로 인해 자전거 타기는 매우 고통스러웠고, 그래서 “본셰이커(뼈를 덜덜 떨리게 하는 기계라는 뜻)”라는 별명까지 얻게 되었습니다.
In the 1870s, the high-wheel bicycle was developed.
1870년대에는 바퀴가 높은 자전거가 개발되었습니다.
It had an even larger front wheel, a smaller rear wheel, and a lighter frame, making it fast but dangerous.
앞바퀴가 더욱 커졌고 뒷바퀴는 작아졌는데, 가벼운 프레임을 사용해 빠르지만 위험했습니다.
In the 1880s, bicycles became safer and more comfortable.
1880년대에 자전거는 더 안전하고 편안해졌습니다.
In 1885, John Kemp Starley invented the Rover.
1885년 존 캠프 스탠리는 ‘로버(‘방랑자’라는 뜻)’라는 자전거를 발명했습니다.
It was much safer thanks to its handlebar grips and smaller, equally sized wheels.
핸들을 잡는 부분과 이전보다 작은 같은 크기의 바퀴 덕에 훨씬 더 안전했습니다.
In 1888, John Boyd Dunlop used a garden hose filled with air as a tire.
그리고 1888년, 스코틀랜드 사람 존 보이드 던롭은 공기를 채운 정원용 호스를 타이어로 썼습니다.
This made riding the bicycle more pleasant.
이렇게 함으로써 자전거 타기는 더 즐거워졌습니다.
By the early 20th century, people were using bicycles for both transportation and recreation.
20세기 초반에 이르자 사람들이 자전거를 운송과 레크레이션이라는 두 가지 용도 모두를 위해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Bicycles remain popular today.
오늘날에도 자전거는 여전히 인기가 높습니다.
And thanks to all these developments, riding a bicycle is now both comfortable and fun.
위에서 언급한 자전거의 발전 덕택에 이제 편안하고 즐겁게 자전거를 탈 수 있습니다.
A Happy Accident
행복한 사고
If you enjoy the sweet taste of Popsicles, you probably eat them on hot summer days.
만약 팝시클의 달콤한 맛을 좋아하신다면 아마도 더운 여름날 드시겠지요?
Who would have guessed that this cool invention was made entirely by accident?
누가 이 멋진 발명품이 순전히 우연으로 만들어졌다고 생각이나 했을까요?
That’s right, eleven-year-old Frank Epperson was just lucky when he made the first Popsicle.
맞습니다. 열 한 살 먹은 프랭크 에퍼슨은 정말 운좋게도 최초의 팝시클을 만들었습니다.
On a cold night in 1905, Epperson was making himself a soda drink.
1905년 어느 추운 밤, 에퍼슨은 자신이 먹을 청량음료를 만들고 있었습니다.
He did it by combining powdered soda mix and water.
가루로 된 소다 분말과 물을 섞어서 만들었죠.
But after mixing them together, he accidentally left the cup outside.
그런데 이 둘을 잘 섞고 나서 우연히 컵을 바깥에 놔두었습니다.
The next morning, the mixture was frozen with Epperson’s wooden stirring stick inside.
다음날 아침에 보니 이 혼합물은 에퍼슨이 사용하는 젓는 나무 막대기가 꽂힌 채로 꽁꽁 얼어있었습니다.
That stick became the perfect handle for the icy treat.
그 막대기는 특별한 얼음 과자를 위한 완벽한 손잡이가 되었죠.
Epperson called his creation “Epperson Icicles,” or “Epsicles.”
에퍼슨은 자기가 만든 것을 “에퍼슨 아이시클” 또는 “엡시클”이라고 불렀습니다.
He knew that others would love them as much as he did.
그는 다른 사람들도 자기만큼이나 엡시클을 좋아하리라는 걸 알고 있었죠.
That summer, he made a lot of Epsicles, stored them in an icebox, and sold them to his friends and neighbors.
그해 여름 그는 많은 엡시클을 만들어서 아이스박스에 담아 놓고 친구들과 이웃들에게 판매했습니다.
When he was older, Epperson wanted to introduce Epsicles to more people.
나이가 들자 에퍼슨은 엡시클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소개하길 원했습니다.
First, he served them at a large party.
그는 먼저 엡시클을 대규모 파티에서 내놓았습니다.
Then in 1923, he started selling them at a park in California for five cents each.
그리고 1923년에는 캘리포니아의 한 공원에서 하나당 5센트를 받고 판매를 시작했지요.
Soon after, the name “Popsicle” started being used thanks to his children, who liked to call them “Pop’s ’sicles.”
곧 엡시클을 ‘팝스 시클’이라고 부르길 좋아했던 그의 아이들 덕에 “팝시클”이라는 이름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Pop은 ‘아버지’라는 뜻)
In 1925, Epperson partnered with a company that helped him sell his invention nationwide.
1925년 에퍼슨은 한 회사와 파트너쉽을 맺고, 도움을 받아 자신의 발명품을 전국에 판매하였습니다.
The Popsicle has continued to change over time.
팝시클은 시대에 따라 계속 변화해 왔습니다.
Now we can eat all kinds of frozen desserts using sticks as handles.
이제 우리는 작은 막대기를 손잡이로 사용하여 후식으로 온갖 종류의 빙과류를 먹을 수 있습니다.
With all these flavors and shapes, this classic treat is sure to stick around for a long time.
이렇게 다양한 향과 모양을 가졌기에 이 고전적인 음식은 틀림 없이 우리 곁에 오래 오래 머물 것입니다.
Winter
겨울
Demeter was the goddess of grain.
데메테르는 곡물의 여신이었습니다.
She went around the world and touched all the earth’s seeds.
데메테르는 세상 곳곳을 다니며 땅 속의 모든 씨앗을 만져 주었습니다.
Soon, they grew into fruit, vegetables, and grains.
곧 씨앗들은 과일과 채소와 곡식으로 자라났습니다.
It was always summer on the earth.
세상은 언제나 여름이었습니다.
Demeter had a daughter named Persephone.
데메테르에게는 페르세포네라는 딸이 있었습니다.
Everyone loved Persephone because she was kind and had a wonderful smile.
페르세포네는 친절하고 멋진 미소를 가지고 있었기에 모든 사람이 그녀를 사랑했습니다.
One day, Persephone went up a hill to pick flowers.
어느 날 페르세포네는 꽃을 따러 언덕에 올랐습니다.
She didn’t know that Hades, the king of the underworld, was watching her.
그녀는 지하세계의 왕인 하데스가 그녀를 지켜보고 있다는 걸 몰랐습니다.
Suddenly, the earth opened up, and Hades pulled Persephone into his chariot.
갑자기 갑자기 땅이 갈라지고 하데스가 페르세포네를 잡아 끌어 자신의 전차에 태웠습니다.
He kidnapped her and took her to the underworld to make her his queen.
페르세포네와 결혼해 자신의 왕비로 삼기 위해 지하세계로 납치한 것입니다.
That evening, Demeter waited and waited for Persephone.
그날 저녁, 데메테르는 페르세포네를 기다리고 또 기다렸습니다.
When Persephone didn’t come home, Demeter went to find her.
페르세포네가 집에 들어오지 않자, 데메테르는 딸을 찾으러 나섰습니다.
Eventually, she met Helios, the god of the sun, who told her that Hades had kidnapped Persephone.
드디어 그녀는 태양의 신 헬리오스를 만났고, 그는 하데스가 페르세포네를 납치해갔다는 이야기를 그녀에게 해주었습니다.
Demeter was so sad and angry that she didn’t allow anything to grow.
데메테르는 너무도 슬프고 화가 나서 땅에서 아무 것도 자라지 못하게 만들었습니다.
Soon all of humankind was starving, but Demeter refused to help.
이윽고 모든 인류가 굶주리게 되었지만, 데메테르는 도와주려 하지 않았습니다.
Zeus, the king of the gods, was worried because people blamed him.
모든 신과 여신의 왕인 제우스는 사람들이 그를 비난했기 때문에 걱정이 되었습니다.
As king, he ordered Hades to return Persephone.
제우스는 왕의 자격으로 하데스에게 페르세포네를 돌려주라고 명령했습니다.
However, there was one problem.
하지만 한 가지 문제가 있었습니다.
While Persephone was in the underworld, she ate some fruit seeds.
페르세포네는 지하세계에 있는 동안 과일 씨앗을 조금 먹었습니다.
That meant that she belonged to Hades.
이것은 페르세포네가 하데스에게 속해 있음을 뜻하는 것이었습니다.
To save her, Zeus made a plan.
제우스는 그녀를 구하기 위해 계획을 세웁니다.
For nine months of the year, Persephone would live with her mother.
페르세포네가 일년에 9개월 동안은 어머니와 사는 것이었습니다.
But since she had eaten three seeds, she would stay with Hades for the other three months.
하지만 그녀가 씨앗 세 알을 먹었기 때문에 나머지 3개월은 하데스와 지내야 했습니다.
During those three months, Demeter is sad and doesn’t allow anything to grow.
페르세포네가 떠나 있는 3개월 간, 데메테르는 슬퍼서 아무 것도 자라지 못하게 합니다.
That is why we have winter.
이것이 바로 우리에게 겨울이 있는 이유입니다.
Thunder and Lightning
천둥과 번개
Have you ever seen a thunderstorm?
폭풍우 속에서 천둥번개가 치는 것을 본 적이 있나요?
What can you observe during it?
그때 어떤 현상을 관찰할 수 있나요?
A bright flash lights the dark sky.
밝은 섬광이 어두운 하늘을 밝힙니다.
Just a few seconds later, you hear a thunder clap.
그리고 몇 초 후 천둥의 꽈르릉 소리가 들립니다.
Actually, lightning and thunder always go together, even if you do not see the lightning flash.
사실 번개와 천둥은 항상 함께 가는데, 천둥 소리가 들리기 전에 번개 치는 모습이 안보인다 할지라도 그렇습니다.
But why do they travel together?
하지만 천둥과 번개가 함께 다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Lightning causes thunder.
번개는 천둥의 원인이 됩니다.
When lightning comes down from the sky, the air becomes very hot, five times hotter than the sun.
번개가 하늘에서 떨어지면 공기가 매우 뜨거워져서 태양의 다섯 배 온도에 이릅니다.
The sudden change in temperature causes the air to suddenly change size as well.
이렇게 온도가 급격하게 바뀌면서 공기의 부피도 갑작스럽게 변합니다.
It expands but cools down right away and becomes small again.
번개의 열로 공기가 팽창하지만 곧바로 식어 다시 원래의 작은 크기로 돌아오게 됩니다.
This change in size is what causes loud sound waves of thunder!
이 공기 부피의 변화가 천둥의 커다란 음파를 만들어 냅니다.
Although thunder and lightning actually happen at the same time, we see the lightning first because light travels faster than sound.
사실 천둥과 번개가 동시에 발생하지만 우리가 번개를 먼저 보게 되는 것은 빛이 소리보다 빠르게 전파되기 때문입니다.
Light travels extremely fast at about 300,000,000 meters per second.
빛은 초속 3억 미터라는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전파됩니다.
So when lightning strikes, we see light immediately.
따라서 번개가 치면 빛은 바로 보이게 됩니다.
However, sound travels at about 340 meters per second.
하지만 소리는 초속 약 340 미터로 전파됩니다.
Therefore, it takes a while for us to hear thunder.
따라서 천둥 소리를 들으려면 시간이 좀 걸리게 되지요.
From the time gap between lightning and thunder, we can find out how far away the thunderstorm is.
이러한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를 이용해서 폭풍이 얼마나 멀리에 있는지 알아낼 수 있습니다.
After you see the lightning, count how many seconds it takes for you to hear the thunder.
당신이 번개를 본 후에, 천둥 소리가 들리는 순간까지 몇 초가 걸리는지 세어보세요.
Then, divide that number by three because it takes about three seconds for sound to travel a kilometer.
그 다음에는, 그 숫자를 3으로 나눠보는데 소리가 1km를 이동 시 약 3초가 걸리기 때문입니다.
So if you count 15 seconds, the thunderstorm is around five kilometers away from where you are.
따라서 만약 15초를 세었다면, 폭풍은 당신이 있는 곳으로부터 약 5km 정도 떨어진 곳에 있습니다.
Thor
토르
The god Thor was a hero long before he appeared in comic books.
토르신은 만화책에 등장하기 오래 전부터 영웅이었습니다.
Hundreds of years ago, Norse myths told of him as the god of thunder and the sky.
수백 년 전 노르웨이의 신화에 따르면 그는 천둥과 하늘의 신이었습니다.
The Norse believed that thunder was the sound of Thor fighting with giants and that lightning burst from his mighty hammer.
노르웨이인들은 천둥소리는 토르신이 거인들과 싸우는 소리이며 번개는 그의 강력한 망치에서 터져나오는 것이라 믿었습니다.
Thor was also known for his heroic character.
토르는 또한 그 영웅적인 성격으로 유명합니다.
According to myths, he was powerful and brave, and he had a strong will to protect the world from danger.
신화들에 따르면 그는 강력하고 용감했으며 세계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Although he was normally friendly, he had a hot temper, so he was always the quickest to attack.
보통은 친절하지만 불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무슨 일이 있으면 늘 가장 먼저 공격하는 쪽이었습니다.
With his deadly weapons, Thor was unstoppable against his enemies, the frost giants.
토르는 무시무시한 무기를 가지고 있어서 그의 적인 얼음괴물도 당해낼 수가 없었습니다.
He rode a chariot pulled by two enormous goats.
그는 두 마리의 거대한 산양이 끄는 전차를 탔습니다.
He also wore iron gloves and a belt that doubled his strength.
또한 강철 장갑과 벨트를 메고 있어 위력이 배가되었습니다.
However, his most powerful weapon was his magical hammer, which would return to him like a boomerang after being thrown.
하지만 그의 가장 강력한 무기는 던지면 부메랑처럼 돌아오는 마법의 망치였습니다.
It also had the power to revive the dead.
망치는 죽은 사람도 다시 살릴 수 있는 능력도 가지고 있었죠.
This hammer played a central role in many of the tales surrounding Thor.
이 망치는 토르가 등장하는 많은 이야기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합니다.
In one story, Thor discovered that the king of the giants had stolen his hammer.
한 이야기에서 토르는 거인들의 왕이 자신의 망치를 훔쳐갔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The king only agreed to return it if Thor brought him the goddess of love to be his bride.
왕은 그것을 돌려주겠다고는 했으나 한 가지 조건을 내걸었는데, 토르가 사랑의 여신을 데려와 자신의 신부로 맞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When the goddess refused, Thor dressed up as a bride instead.
여신이 이 제안을 거부하자 대신 토르가 신부 옷을 차려입습니다.
Once the hammer was placed on Thor’s lap as an act of blessing, he revealed himself and destroyed the giants.
결혼 축복의 표시로 망치를 토르의 무릎에 올려놓자 토르는 정체를 드러내고 거인들을 해치웁니다.
With his many exciting adventures, it is no surprise that Thor is still well known today.
흥미진진한 모험을 경험한 토르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잘 알려져 있다는 사실은 놀랍지 않습니다.
He is even honored in our calendar since “Thursday” comes from “Thor’s Day.”
Thursday(목요일)이 Thor’s Day(토르의 날)에서 왔으니 달력에서도 그를 기리고 있는 것입니다.
As a protector of the people, Thor was greatly admired and will surely be remembered for years to come.
사람들의 수호자로서 토르는 큰 추앙을 받고 있고 앞으로도 분명히 기억될 것입니다.
The Tour de France
투르 드 프랑스
Imagine riding a bicycle almost every day for 23 days, about 3,500 kilometers total.
23일간 거의 매일 자전거를 타고 총 3천5백 킬로미터의 거리를 달리는 걸 상상해 보십시오.
Welcome to the Tour de France, the world’s most famous bicycle race.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자전거 경기 투르 드 프랑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It is probably the hardest sporting event in the world.
이것은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힘든 스포츠 행사일 겁니다.
It is like running a marathon several times a week for three weeks.
마치 3주에 걸쳐 한 주당 마라톤을 몇 차례 뛰는 것과 마찬가지니까요.
The race circles France and often goes through other countries as well.
이 경기는 프랑스 국토를 일주하며, 종종 다른 나라를 통과하기도 합니다.
For example, it sometimes enters Italy, Spain, Switzerland, Belgium, Luxembourg, Germany, and the Netherlands.
가령 이탈리아, 스페인, 스위스, 벨기에, 룩셈부르크, 독일, 네덜란드 등으로 경기 코스가 들어가기도 합니다.
In the past, it has even been in Ireland and Great Britain.
과거에는 아일랜드와 영국까지 들어가기도 했습니다.
Some parts of the race pass through very steep, high mountains, including the Alps.
경기의 일부 구간은 알프스 산맥을 포함한 매우 가파르고 높은 산악 지대를 통과합니다.
The Tour de France is different from other races.
투르 드 프랑스는 다른 경주와는 다릅니다.
Other races finish quickly, but the Tour de France is a stage race that lasts for 23 days.
다른 경주들은 금방 끝이 나지만 투르 드 프랑스는 스테이지 경주 방식으로 23일간 계속됩니다.
There are 21 stages in this race.
전체 경주가 21개 스테이지로 나뉘는 것입니다.
A stage is a section, or part, of the race, and the riders finish one stage every day.
스테이지란 경주의 한 구간 또는 부분을 말하며 선수들은 매일 한 스테이지를 끝내게 됩니다.
Because the race is so difficult, they have two rest days as well.
워낙 힘든 경주이기 때문에 이틀간의 휴식도 있습니다.
That is why the Tour de France is 23 days long.
이것이 투르 드 프랑스의 전체 기간이 23일에 이르는 이유입니다.
Every day there is a winner of that day’s stage.
날마다 당일 스테이지의 승자가 가려집니다.
If a rider is wearing a yellow jersey, it means that he is the overall race leader.
어떤 선수가 노란색 상의를 입고 있으면 그 선수가 종합 선두라는 뜻입니다.
After the race is finished, each rider’s time is recorded for all the stages.
경기가 끝나면 선수별로 모든 스테이지에 대한 주행 시간이 기록됩니다.
The rider with the shortest total time is the winner of the Tour de France.
총 합산 시간이 가장 짧은 선수가 투르 드 프랑스의 우승자가 됩니다.
Basketball Journals
농구 일기
Springfield, Massachusetts, U.S.A., December 13, 1891
1891년 12월 13일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
Our Canadian PE teacher, James Naismith, made us play a new game today.
우리 캐나다인 체육 선생님 제임스 네이스미스씨가 오늘 우리에게 새로운 경기를 시켰습니다.
He said he invented an indoor sport because it was too cold to go outside.
밖에 나가서 운동을 하기엔 날이 너무 추워서 자기가 새로운 실내 경기를 만들었다고 했습니다.
It is unlike any other sport I know.
여태까지 제가 본 그 어떤 경기와도 같지 않습니다.
Each game has two halves of 15 minutes each.
한 게임 당 전후반 각각 15분씩입니다.
To play, you pass a soccer ball to your teammates with your hands, but you can’t kick or run with the ball.
경기를 하기 위해, 당신은 팀 동료에게 축구공을 손으로 패스하지만, 당신은 공을 차거나 공을 들고 달릴 수도 없습니다.
Then, to score a point, you throw the ball into one of two peach baskets.
그리고 득점을 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복숭아 바구니 중 하나에 공을 집어넣어야 합니다.
Mr. Naismith hung them 10 feet above the gym floor.
네이스미스 선생님은 복숭아 바구니 두 개를 체육관 바닥에서 10 피트 높이에 달았습니다.
Every time someone scores a basket, someone has to climb up on a ladder and get the ball.
누가 바구니에 공을 넣어서 득점할 때마다, 누군가가 사다리 타고 올라가서 공을 꺼내야 합니다.
This makes “basketball” very slow.
이것 때문에 이 "바스켓볼"이라고 하는 게임은 아주 느리게 진행됩니다.
Fort Collins, Colorado, U.S.A., December 8, 2014
2014년 12월 8일 미국 콜로라도 주 포트 콜린스
Today, Mr. Powell, the gym teacher, had us play basketball instead of soccer since it was raining.
오늘 체육 선생님이신 파월씨가 비가 오는 관계로 축구 대신 농구를 시켰습니다.
I had never played basketball before, so I had to learn how.
전에 농구를 한 번도 해 본적이 없어서 경기하는 법을 배워야 했습니다.
First, I learned that each game has four 10-minute quarters.
먼저 저는 한 게임이 각각 10분씩 4쿼터로 진행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To play, you bounce a basketball up and down while you run.
경기를 위해서는 달리면서 농구공을 위아래로 튕겨야 합니다.
That is called “dribbling.”
이것을 ‘드리블링’이라고 부릅니다.
You can also use your hands to pass it to your teammates, but you can’t kick it at all.
손을 사용해서 팀 동료에게 패스할 수 있지만 절대 발로 차서는 안됩니다.
To score two points, you throw the basketball through one of the 10-foot-high metal hoops with a net.
2점을 얻기 위해서는 농구공을 던져 10피트 높이의 금속 고리 안으로 통과시켜야 합니다.
As soon as someone scores, the other team grabs the ball, and everyone runs to the other side of the court.
한 팀의 선수가 득점을 하자 마자 다른 팀이 볼을 잡게 되고, 모두가 코트의 반대방향으로 달려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