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1913, Max Ringelmann, a French agricultural engineer, conducted an experiment to understand how people work in groups.
1913년, 프랑스의 농업 엔지니어인 막스 링겔만은 어떻게 사람들이 집단에서 작업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했다.
He asked participants to pull a rope, first individually and then as a group.
그는 참가자들에게 밧줄을 당기라고 요청했으며, 처음에는 개인적으로, 그다음에는 집단으로 당기도록 했다.
When people pulled the rope alone, they utilized considerable effort.
사람들이 혼자서 밧줄을 당길 때, 그들은 상당한 노력을 들였다.
But when people pulled the rope in a group, they used less effort.
그러나 사람들이 집단으로 밧줄을 당길 때 그들은 더 적은 노력을 들였다.
This phenomenon is known as “the Ringelmann effect.”
이 현상은 ‘링겔만 효과’로 알려져 있다.
The Ringelmann effect describes how individual productivity decreases as the size of a group increases.
링겔만 효과는 집단의 크기가 커질수록 어떻게 개인의 생산성이 감소하는지를 설명한다.
How does the Ringelmann effect work?
링겔만 효과는 어떻게 작용할까?
The main idea is that as team size grows, individual effort within the team becomes less noticeable, which reduces participant motivation.
주요 아이디어는 팀의 크기가 커질수록 팀 내에서 개인의 노력은 덜 눈에 띄는데, 이것은 참가자들의 동기를 줄인다.
Additionally, the team shares the achievement, so personal effort is not as highly valued, leading members to contribute less and produce a poor result.
추가적으로, 팀이 성과를 공유하기 때문에 개인의 노력은 그만큼 가치 있게 여겨지지 않아, 팀원들이 기여를 덜하고 좋지 않은 결과물을 만들어 내도록 이끈다.
Fortunately, there’s a way to overcome the Ringelmann effect.
다행히, 링겔만 효과를 극복할 방법이 있다.
Each team member should be assigned a specific task that reflects their skills and strengths.
각 팀원들은 그들의 기술과 강점을 반영하는 특정한 작업을 배정 받아야 한다.
Then they should be given constructive feedback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work.
그 후 그들은 그들의 작업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공받아야 한다.
Understanding this psychological effect enhances team efficiency and produces more successful outc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