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metimes, we end up buying things we don’t really need because of the rule of reciprocity.
때때로, 우리는 호혜성의 법칙 때문에 꼭 필요하지도 않은 물건을 사게 되는 경우가 있다.
The rule of reciprocity states that when someone helps us, we feel we should help them in return.
호혜성의 법칙은 누군가 우리를 도와주면, 우리도 보답으로 그들을 도와야 한다고 느끼는 것을 말한다.
For example, if someone buys you a birthday present, you may feel required to buy one for them on their birthday.
예를 들어, 만약 누군가 당신에게 생일 선물을 사주면, 당신도 그들의 생일에 선물을 사줘야 한다고 느낄 수 있다.
This idea greatly influences our behavior.
이 생각은 우리의 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Sometimes, marketers use this idea to their advantage.
때때로, 마케터들은 이 생각을 그들에게 유리하도록 활용한다.
For instance, Amazon, the world’s largest e-commerce company, offers free shipping to its members in exchange for an annual subscription fee.
예를 들어,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아마존은 연간 구독료를 받는 대신 회원에게 무료 배송을 제공한다.
Because Amazon customers get a benefit when shopping, they are likely to buy more.
아마존 고객은 쇼핑할 때 혜택을 받기 때문에, 더 많이 구매할 가능성이 높다.
Apart from Amazon, some marketers will offer a small free item if customers spend a certain amount of money.
아마존 외에도, 일부 마케터는 고객이 일정 금액을 쓰면 작은 무료 상품을 제공할 것이다.
Because it feels like they are helping you, you may have the desire to help them as well.
그들이 당신을 도와주는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당신도 역시 그들을 돕고 싶은 욕구가 생길 수 있다.
As a result, some people buy things they don’t want.
그 결과, 어떤 사람들은 그들이 원하지 않는 물건을 구매한다.
To resist this sales strategy, customers should wait before buying something.
이러한 판매 전략에 저항하기 위해, 고객은 물건을 구매하기 전에 기다려야 한다.
The effects of the rule of reciprocity fade quickly, so after a few minutes, customers no longer feel the need to return the favor.
호혜성의 법칙의 효과는 빠르게 희미해져서, 몇 분만 지나면 고객은 더 이상 보답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게 된다.
In 2020, South Korea entered an era of natural population decline for the first time, and the country is now facing something known as the death cross phenomenon.
2020년, 한국은 처음으로 자연적 인구 감소 시대에 들어서며 지금은 데스 크로스 현상으로 알려진 것에 직면하고 있다.
This occurs when the number of deaths in a country exceeds the number of births.
이는 한 국가의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초과할 때 발생한다.
The death cross phenomenon can be seen in the above graph, which shows the number of births and deaths in Korea between 2016 and 2021.
데스 크로스 현상은 위 그래프에서 확인될 수 있는데, 그것은 2016년과 2021년 사이의 한국에서 출생아 수와 사망자 수를 보여준다.
During this time, the greatest gap between births and deaths occurred in 2016.
이 기간 동안, 출생아 수와 사망자 수의 가장 큰 격차는 2016년에 발생했다.
And the number of births continued to decrease each year afterward.
그리고 그 뒤로 출생아 수는 매년 계속 감소했다.
The gap between births and deaths was the smallest in 2019.
출생아 수와 사망자 수의 격차는 2019년에 가장 작았다.
However, there were still more births than deaths at that point.
그러나 그 시점에도 여전히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보다 많았다.
According to experts, the trend of population decline in Korea is expected to speed up.
전문가들에 따르면, 한국의 인구 감소 추세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And they believe it will lead to various other problems, such as local economic decline.
그리고 그들은 그것이 지역 경제 침체와 같은 다양한 다른 문제로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To counteract these problems, experts are pushing for social and economic 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