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anced Reading Expert 1 [2020] - U02
44 카드 | netutor
세트공유
Individuals ought to focus on what they’re good at.
개개인은 그들이 잘하는 무언가에 집중해야 한다.
For example, great actors should dedicate their time to filming movies;
예를 들어, 훌륭한 배 우들은 그들의 시간을 영화를 촬영하는 데 헌신해야 한다.
it would be a waste of their talent not to.
그렇지 않는 것은 그들의 재능을 낭비하는 것이다.
But people can be skilled at other things as well.
하지만 사람들은 다른 일에도 능숙할 수 있다.
For instance, let’s say that an actor is particularly good at mowing lawns.
예를 들어 배우가 특히 잔디를 잘 깎는다고 하자.
Does that mean that he should mow the huge lawn around his mansion by himself?
그렇다고 그가 자신의 저택 주변의 엄청난 잔디를 스스로 깎아야 하는 것일까?
Looking at the economic concepts of absolute advantage, opportunity cost and comparative advantage may help us answer this question.
절대우위, 기회비용과 비교우위라는 경제 용어를 살펴보는 것이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하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Suppose the actor can mow his lawn in four hours and that it would take a teenage boy from his neighborhood eight hours to do the same job.
그 배우가 4시간 안에 잔디를 깎을 수 있고, 같은 일을 하는 데 이웃의 10대 남자아이는 8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가정해 보자.
If we compare their productivity, economists would say that the actor has an absolute advantage over the teenager because he would invest half the input to get the same result.
그들의 생산성을 비교하면 같은 결과를 내기 위해 절반만 투입하면 되기 때문에 그 배우가 10대 남자아이보다 절대우위에 있다고 경제학자들은 말할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actor is more efficient when considering the quantity of time required to do the job.
즉, 일을 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의 양을 고려했을 때 그 배우가 더 효율적인 것이다.
However, the value of his time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하지만 그의 시간의 가치도 또한 참작되어야 한다.
During those four hours, the actor could film a television commercial and make $50,000.
그 4시간 동안 배우는 TV 광고를 찍고 50,000달러를 벌 수 있다.
These potential earnings are the actor’s opportunity cost of choosing to mow his lawn instead of filming the commercial.
이 잠재적인 수입은 광고를 찍는 대신 잔디를 깎기로 선택한 것에 대한 배우의 기회비용이다.
The concept of opportunity cost refers to what we lose when we decide on a certain action.
기회비용의 개념은 어떤 행위를 하겠다고 결정했을 때 잃게 되는 것을 말한다.
I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whether doing something is worth the loss associated with the action.
어떤 일을 하는 것이 그 행동과 연관된 손실을 감수할 만 한지를 결정할 때 기회비용은 고려되어야 한다.
If the teenager would only earn $80 working for eight hours at a fast-food restaurant instead, he would lose much less than the actor would.
그 10대 아이가 패스트푸드 점에서 8시간 일해서 80달러밖에 벌지 못한다면 배우가 잃게 되는 것 보다 훨씬 적게 잃는 것이다.
This comparison of opportunity cost is the key to determining who should mow the lawn.
이러한 기회비용의 비교가 누가 잔디를 깎아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열쇠이다.
This is how comparative advantage is calculated.
이렇게 비교우위가 계산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is concept, whoever has the lower opportunity cost has a comparative advantage and should perform the action.
이 개념에 따르면 기회비용이 적은 사람이 비교우위를 가지게 되고 그 행위를 해야 하는 것이다.
In this case, that would be the teenager, as long as he makes more than $80 and it costs the actor less than $50,000.
이 경우에는 10대 아이가 80달러 이상을 벌고 그 배우가 50,000달러 이하의 비용이 드는 한 10대 아이에게 비교우위가 있는 것이다.
Both the teenager and actor would be better off if the actor hired the boy to mow his lawn while he filmed the commercial.
그 배우가 광고를 찍는 동안 남자아이가 잔디를 깎도록 고용한다면 10대 아이와 배우 모두에게 이익이 될 것이다.
Similarly, governments consider opportunity cost and comparative advantage when looking at the production of various countries to determine optimal gains from trade.
마찬가지로 정부는 무역에서 오는 최적의 이익을 결정하기 위해 여러 나라의 제품을 살펴볼 때 기회비용과 비교우위를 고려한다.
By doing this, they ensure that every country benefits from trading goods with other countries.
이렇게 함으로써 모든 국가가 다른 나라와 상품을 무역하면서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Marketing can be defined as the act of creating, maintaining and expanding a demand for a specific product or service.
마케팅은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고 유지하며 늘리는 행위로 정의될 수 있다.
Certain scenarios exist, however, in which organizations seek to discourage this same demand.
그러나 기업들이 이와 같은 수요를 억제하려고 하는 특정 시나리오들이 존재한다.
In these cases, a process known as “demarketing” is employed.
이런 경우 ‘디마케팅’이라고 알려져 있는 방법이 사용된다.
Generally speaking, demarketing can be broken down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of which is known as general demarketing.
일반적으로 말하면, 디마케팅은 세 가지 범주로 나뉠 수 있는데, 그 첫 번째는 일반적 디마케팅이라고 알려져 있다.
This occurs when a product is demarketed to all users, often in times of shortage, when governments seek to persuade citizens to limit their consumption of a resource such as gasoline or electricity.
이것은 모든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제품의 수요가 억제될 때 발생하는데, 이때는 정부가 국민들에게 휘발유나 전기와 같은 자원의 소비를 제한하도록 설득하려고 하는 때인 주로 부족현상의 시기이다.
It is also implemented when a product is deemed to be a risk to public health.
이것은 또한 제품이 대중의 건강에 위협이 될 것으로 여겨질 때도 시행된다.
Selective demarketing, on the other hand, is aimed at a specific segment of the population.
반면에 선택적 디마케팅은 특정 고객층을 대상으로 한다.
Businesses will generally use selective demarketing on a group of customers that has proven to be less profitable.
기업들은 일반적으로 이익이 덜 나는 것으로 판명된 고객층에게 선택적 디마케팅을 사용할 것이다.
These fringe users are discouraged, and marketing resources are focused on a more profitable core.
이러한 비우량 고객들의 수요는 제한되고, 마케팅 자원은 보다 이익이 되는 핵심층에 집중된다.
Some banks, for example, offer specialized services for customers with large balances, while low profit customers must queue up for a turn at the ATM.
예를 들어, 일부 은행들은 잔고가 많은 고객들에게는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에 이익이 덜 되는 고객들에게는 자동입출금기에 줄을 서서 순서를 기다리게 한다.
The third category, ostensible demarketing, is exemplified by situations in which a business withholds the availability of a product in order to heighten its appeal.
세 번째 범주인 표면적 디마케팅은 기업이 제품의 매력을 강화하기 위해 제품의 입수 가능성을 억제하는 상황들이 좋은 예가 된다.
This type of demarketing is often applied to high-end toys during the Christmas season, as the difficulties consumers face in purchasing the item increase its value in their eyes.
이 유형의 디마케팅은 흔히 크리스마스 시즌 동안에 최고급 장난감에 적용되는데, 제품을 구매하는 데 소비자가 직면하는 어려움은 그들의 눈에 그 제품의 가치를 증가시킨다.
Therefore, demand is actually raised, rather than lowered.
그러므로, 실제로 수요는 적어지기 보다는 많아진다.
Some companies that are seeking to create an upscale image demarket their products by limiting the scope of their advertising.
고급 이미지 창출을 위해 노력하는 일부 기업들은 광고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제품을 디마케팅한다.
A jewelry company might advertise only in a handful of magazines, giving their products the illusion of exclusivity.
귀금속 기업은 소수의 잡지에만 광고하면서 자사 제품에 한정성이라는 환상을 심어줄지도 모른다.
Similarly, other companies demarket by limiting the scope of their distribution, such as a liquor manufacturer that only sells their whiskey in expensive bars.
이와 유사하게 다른 기업들은 자사 위스키를 비싼 술집에서만 판매하는 주류 제조업체와 같이 배급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디마케팅한다.
Another approach is the use of warning labels outlining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a product.
또 다른 방법은 제품과 관련된 건강상의 위험성들을 약술하는 경고 라벨을 사용하는 것이다.
Tobacco companies use such labels to educate current users while making themselves seem more compassionate.
담배 회사들은 그런 라벨을 사용하여 현 사용자들을 일깨우는 동시에 자사가 보다 인정이 많아 보이도록 만든다.
Through these methods, companies can create a luxurious brand image or improve their corporate image.
이런 방법들을 통해 기업들은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를 창출하거나 기업의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To look at demarketing as nothing more than the opposite of marketing would be a gross oversimplification.
디마케팅을 단지 마케팅의 반대말 정도로 보는 것은 굉장히 지나친 단순화일 것이다.
It is a nuanced business strategy that can be employed in a variety of situations to help control the tides of public demand.
이것은 대중 수요의 흐름을 통제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여러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는 미묘한 경영 전략이다.
클래스카드의 다양한 학습을 바로 체험해 보세요!
고객센터
궁금한 것, 안되는 것
말씀만 하세요:)
답변이 도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