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anced Reading Expert 2 [2020] - U12
35 카드 | netutor
세트공유
The term “lobbying” originated in the United States almost two centuries ago, when representatives of interest groups would gather in the lobbies of state legislatures and the Congress to persuade politicians to support their causes.
‘로비’라는 용어는 거의 두 세기 전 미국에서 이익집단의 대표들이 자신들의 목표를 정치인이 지지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주의회와 연방의회의 로비에 모이곤 했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Today, the term is used more widely to include any effort that individuals or groups make in an attempt to influence government policy.
오늘날 이 용어는 좀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개인이나 그룹이 정부정책에 영항을 끼치려고 시도하는 모든 노력을 포함한다.
Lobbying has become an important feature of the democratic process, as it provides citizens with the opportunity to have an impact on public policy.
로비는 국민들에게 공공정책에 영향을 끼칠 기회를 제공해 준다는 점 때문에 민주주의 과정에서 중요한 한 특징이 되었다.
Through exerting pressure on politicians who are constantly involved in decision-making processes, citizens can intervene in those processes to have their demands satisfied.
의사결정 과정에 지속적으로 관여하는 정치인들에게 압력을 가함으로써 국민들은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그 과정들에 개입할 수 있다.
Their efforts often lead to improvements for the social good, like the positive changes Mothers Against Drunk Driving have been able to help implement in the U.S. to combat drunk driving.
그들의 노력은 Mothers Against Drunk Driving이란 단체가 음주운전을 없애기 위해 미국 내에서 실시하도록 한 긍정적인 변화와 같은 사회적인 이익의 증대로 종종 이어지기도 한다.
A lot of changes — such as child labor laws and public school improvement — have been achieved through the active involvement of people who felt something needed to change.
아동 노동법과 공립학교 개선과 같은 많은 변화들은 뭔가 변화가 필요하다고 느낀 사람들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이루어졌다.
We are more likely, however, to hear reports in the media about the negative effects of lobbying.
하지만 우리는 로비의 부정적인 결과들에 대한 언론 보도를 듣게 되는 경우가 더 많다.
We have all heard or read reports of the cozy relationships some lobbyists have with elected officials.
우리 모두는 일부 로비스트들이 선출직 정부 관리들과 맺고 있는 유착 관계에 대한 보도를 듣거나 읽어본 적이 있다.
The most obvious example is politicians who sell their support on an issue for cash, and it usually happens in the form of trading votes for campaign funds from lobbyists.
가장 분명한 예는 어떤 사안에 대한 본인의 지지를 돈을 받고 파는 정치인들이며, 이는 보통 표를 로비스트로부터의 선거운동자금과 맞바꾸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These clear cases of bribery and corruption aside, people tend to think that some of the major interest groups may have an unfair advantage in gaining access to elected officials precisely because of their size and power.
이러한 뇌물수수나 부패와 같은 명백한 사례들을 제쳐둔다 하더라도, 사람들은 일부 주요 이해집단이 정확히 말하면 그들의 규모와 힘 때문에, 선출직 정부관리들에게 접근하는 데 있어 불공정한 이점을 가질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Besides, sometimes the views of powerful lobbying groups, which represent a particular side of an issue, may not serve the common good.
게다가 어떤 사안에 대해 특정한 입장만을 대변하는 강력한 로비집단의 견해는 공공선에 부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Despite these problems, there is no denying that lobbyists already perform a crucial role in the democratic system.
이런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로비스트들이 민주적인 제도에서 이미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Therefore, the argument that it would be better to reform their practices than to outlaw them completely has been raised.
따라서 그들을 법적으로 금지하는 것보다는 그들의 관행을 개혁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왔다.
This can be brought about by making the entire process of lobbying more transparent and open to public scrutiny.
이는 로비의 전 과정을 보다 투명하고 대중들이 상세히 볼 수 있도록 공개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U.S., lobbyists are required to register and file reports following meetings with lawmakers.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로비스트들이 입법자들과 만남을 가진 후 보고서를 작성,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And politicians, for their part, could be forced to provide public access to their appointment books so that their meetings and agendas would become part of the public record.
그리고 정치인들에 대해서는, 그들의 모임과 일정이 공적인 기록의 일부가 되도록 그들의 일정표를 일반 대중에게 공개하는 것을 의무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With these complementary measures, lobbying could be expected to operate as an effective tool in the process of democracy.
이러한 보완책들이 마련된다면, 로비는 민주주의 과정에 있어 효과적인 도구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될 수 있다.
In modern politics, the manifesto has often been employed by political parties to outline their policy plans to the public.
현대 정치에서 매니페스토는 정당들이 자신들의 정책 계획을 대중에게 개괄적으로 설명할 목적으로 종종 사용되곤 했다.
The typical manifesto includes the intended results of the proposed policies, the method by which they will be carried out, and a timetable for doing so.
전형적인 매니페스토는 제안된 정책들이 의도했던 결과, 그 정책들이 수행되어질 방법, 그리고 그렇게 실행할 계획표를 포함한다.
Theoretically, a party’s manifesto acts as a contract between it and its constituents.
이론적으로는 한 정당의 매니페스토는 그 정당과 선거인들 간의 계약으로 작용한다.
The first political manifesto was delivered in England in 1834.
최초의 정치적인 매니페스토는 1834년 영국에서 선포되었다.
It was actually a transcription of a speech given by Sir Robert Peel in the town of Tamworth; it was then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그것은 실제로는 Robert Peel경이 Tamworth의 시내에서 했던 연설의 필사본이었고, 그 후에 전국으로 배포되었다.
It summarized the principles of the Conservatives and became known as the Tamworth Manifesto.
그것은 보수당원들의 원칙을 요약한 것으로, Tamworth 매니페스토라고 알려지게 되었다.
British politics still relies heavily on manifestos released by the country’s various parties, and sometimes they are so pivotal that they can be the decisive factor in a party’s failure or success in an election.
영국의 정치는 여전히 그 나라의 다양한 정당들에 의해 발표되는 매니페스토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때로는 그것이 너무나도 중추적인 역할을 해서 선거에서 한 정당의 실패나 성공에 있어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1983, the ruling Conservative Party was faced with the disappointment of voters and an almost sure defeat at the hands of the Labour Party, yet the radical and unpopular policies put forward in Labour’s manifesto of that year caused voters to reelect the Conservatives.
예를 들어 1983년 집권 보수당은 유권자들의 실망에 직면하여 노동당에게 패배할 것이 거의 확실시되었지만, 그해 노동당의 매니페스토에 제안되었던 급진적이고 평판이 좋지 못한 정책들이 유권자들로 하여금 다시 보수당을 뽑도록 만들었다.
Then, fourteen years later, the Labour Party reversed its fortunes with its manifesto of 1997, which described the ideals of a “New Labour” and laid out ten policy pledges that led the Party to victory.
그리고 14년 후, 노동당은 1997년의 매니페스토로 그 운명을 뒤바꾸었는데, 그것은 ‘새로운 노동당’의 이상을 묘사하고, 당을 승리로 이끌어 준 10가지의 정책 공약을 제시했다.
Use of the manifesto is not limited to England, however, and it has been introduced to Japan and Korea.
하지만 매니페스토의 사용은 영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그것은 일본과 한국에도 도입되었다.
The year 2003 saw numerous Japanes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lobby for the introduction of manifestos to the country’s political system, and Japanese politicians have responded eagerly to this movement.
2003년에 많은 일본의 비정부 조직들이 국가의 정치 시스템에 매니페스토를 도입하기 위해 로비했으며, 일본 정치가들도 이 운동에 대해 열렬한 반응을 보였다.
Korea witnessed a similar push for political manifestos in 2006, and candidates in local elections fully embraced them.
한국에서는 2006년에 정치적인 매니페스토에 대한 유사한 추진 노력이 있었고 그것은 지방 선거의 후보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졌다.
Proponents of manifestos in these two countries hope the changes will focus elections more closely on concrete policies rather than on issues such as personal relationships and vague party ideology.
이들 두 국가에서 매니페스토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그 변화를 통해 선거가 개인적인 관계나 모호한 당의 이데올로기와 같은 사안들보다는 구체적인 정책에 좀 더 집중되기를 희망한다.
They also believe manifestos can eliminate some of the ambiguity over policies both within individual parties and among the different parties involved in forming a government.
또한 그들은 매니페스토가 개별 정당과 정부 구성에 관여된 각기 다른 정당 모두에게 있는 정책에 대한 모호함을 없앨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Many other countries in addition to Japan and Korea are expected to benefit from such political modifications.
일본과 한국 외에도 다른 많은 국가들이 이러한 정치적인 변화로 인해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However, for manifestos to truly be capable of bringing positive change, political parties must follow through with the plans they advance.
그러나 매니페스토가 진정한 의미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 위해서는 정당들이 그들이 제출한 계획들을 충실히 수행해야만 한다.
Not only must they enact their promised policies, but they must also effectively evaluate the success of those policies.
그들은 공약한 정책을 법률로 제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정책들의 성공 여부를 효과적으로 평가해야만 한다.
Nor should it be forgotten that the public has an essential role in monitoring the elected party to ensure it upholds the principles of its manifesto.
선출된 정당이 그들의 매니페스토 원칙을 확실히 유지하고 있는지를 감시하는 데에 있어 대중들이 필수불가결한 역할을 맡고 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클래스카드의 다양한 학습을 바로 체험해 보세요!
고객센터
궁금한 것, 안되는 것
말씀만 하세요:)
답변이 도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