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수능특강-문장
1246 카드 | iamjns
세트공유
1-1. 소재: 새로운 암 치료법 시행을 위한 기부 요청
1-1. 소재: 새로운 암 치료법 시행을 위한 기부 요청
Your generous donations have made such a difference in the lives of little children who have been stricken with cancer.
귀하의 아낌없는 기부금은 암에 걸린 어린아이들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They might not know your names, but we know that many of our patients can run around in the sunshine now, happy and carefree, because of you.
그들은 귀하의 이름을 모를 수도 있지만, 귀하 덕분에 저희는 많은 환자들이 이제 햇빛 아래서 행복하고 근심 걱정 없이 여기 저기 뛰어 다닐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Now, as cancer research has progressed, we have the opportunity to introduce an exciting and newly proven treatment that promises to save even more young lives.
이제, 암 연구가 진전됨에 따라, 저희에게 훨씬 더 많은 어린 생명들을 구해줄 희망이 있는 흥미롭고 새롭게 입증된 치료법을 도입할 기회가 왔습니다.
To get this treatment up and running this year, we are hoping that you would consider supporting us with $10,000.
올해 이 치료법이 시행되도록 하기 위해, 귀하께서 저희에게 1만 달러를 후원하는 것을 고려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To meet this need, we ask that you make an initial donation of half that amount followed by a final donation by the end of November.
이 요청 내용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저희는 귀하께서 그 금액의 절반에 해당하는 금액의 초기 기부금을 내신 후에 11월 말까지 최종적으로 기부해 주시기를 요청합니다.
We know that you will find your greatest reward in the knowledge that you have blessed countless young lives.
저희는 귀하께서 수많은 어린 생명들을 축복하셨음을 아는 데서 가장 큰 보상을 찾으시리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We thank you once again for all you have done in the past, and appreciate your consideration of this new request.
과거에 해 주신 모든 일에 다시 한 번 감사드리며, 이 새로운 요청을 귀하께서 고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2. 소재: 카피라이터 구인 광고에 대한 편지
1-2. 소재: 카피라이터 구인 광고에 대한 편지
Dear Sir or Madam: I am writing in response to your advertisement in the Columbia Journal Classifieds for a copywriter.
친애하는 신사 숙녀 여러분: 저는 Columbia Journal Classifieds 에 나온 귀사의 카피라이터 구인 광고를 보고 이 편지를 씁니다.
I am a copywriter with 8 years’ experience of conceptualizing and producing engaging copy for catalogs, annual reports, brochures and all types of collateral material.
저는 8년간 카탈로그, 연례 보고서, 안내용 책자와 온갖 종류의 부수적인 자료를 위한 매력적인 광고문을 개념화하고 제작한 경험이 있는 카피라이터입니다.
In addition, my writing abilities have helped me create original works of art for clients like Mead Coated Papers and Oxford Healthcare.
게다가 저의 문안 작성 실력 덕분에 저는 Mead Coated Papers와 Oxford Healthcare와 같은 고객들을 위하여 독창적인 멋진 작품들을 만들어 왔습니다.
I am knowledgeable about MS Word and WordPerfect, as well as both Macintosh and PC platforms.
저는 Macintosh와 PC 플랫폼뿐만 아니라 MS Word와 WordPerfect에 정통합니다.
Much of my work has been crafted for the following clients: Macmillan Reference Library, Watson Guptill Publications, Hawaii University Press, and Arcade Fashion & Lifestyle Magazine.
제 제작물의 상당량은 다음의 고객들을 위해 만들어졌는데, 그들은 Macmillan 참고 도서관, Watson Guptill 출판사, Hawaii 대학교 출판부, 그리고 Arcade Fashion & Lifestyle Magazine입니다.
I have confidence in my ability to produce powerful, gripping copy for your organization.
저는 귀사를 위해 효과적이고 주의를 끄는 광고문을 만들어 낼 제 능력에 자신이 있습니다.
My experience allows me to complete any project from concept to the final stages at a fast pace to meet deadlines, and to package it for the Web.
제 경험 덕분에 저는 그 어떤 프로젝트라도 구상에서부터 마지막 단계에 이르기까지 빠른 속도로 완료하여 마감 기한을 맞출 수 있고 그것을 웹에 맞도록 제시할 수 있습니다.
I look forward to hearing from you.
답장을 고대하겠습니다.
Thank you for your time and consideration.
시간을 내어 살펴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1-3. 소재: 지역 공동 태양광 발전 프로그램
1-3. 소재: 지역 공동 태양광 발전 프로그램
Do you want to save on electricity costs through solar power but can’t or don’t want to put panels on your roof?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력비용을 절약하고 싶지만 지붕에 패널을 설치할 수 없거나 설치를 원치 않으십니까
Residents in the Town of Whately now have the exclusive opportunity to sign up for a regional community shared solar farm being built in the town by Nexamp, the veteran-founded and Massachusetts-based solar provider.
Town of Whately의 주민들은 이제 전문가가 설립하고 매사추세츠에 본사가 있는 태양광 발전공급자인 Nexamp가 마을에 건설 중인 지역 공동체 공유의 태양광 발전소에 가입할 독점적인 기회를 갖고 있습니다.
Through Nexamp’s Solarize My Bill community solar program, Whately households and businesses can take advantage of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benefits of going solar without installing solar panels on their property.
Nexamp의 Solarize My Bill 지역사회 태양광 에너지 공급 프로그램을 통해, Whately의 가정 및 기업은 그들의 건물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지 ‘않고도’ 태양광 발전을 사용하는 환경적인 그리고 경제적인 이점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By subscribing to a share of the clean electricity generated by a local community solar project, participants can directly offset their electric bill and save on electricity costs with no upfront investment or long-term commitment.
지역 공동 태양광 프로젝트에 의해 만들어지는 청정 전력의 한 지분을 신청함으로써 가입자들은 선불 투자나 장기간의 출자 없이도 자신들의 전기요금을 직접적으로 상쇄시키고 전력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To learn more about how you can save while supporting local sources of renewable energy, visit www.SolarizingtheBill.com or call 600-445-2124 to speak with a member of the Nexamp community solar team.
어떻게 재생 가능한 지역 에너지원을 지원하면서 절약까지 할 수 있는지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려면, www.SolarizingtheBill.com을 방문하거나 600-445-2124로 전화하여 Nexamp 지역 태양광 발전 팀원과 이야기하십시오.
1-4. 소재: 방송 내용으로 받은 항의에 대한 사과
1-4. 소재: 방송 내용으로 받은 항의에 대한 사과
I want to thank you for bringing members of “Puerto Ricans for a Positive Image” to the American Broadcasting System (ABS) this week to meet with me and other ABS senior executives.
저는 저를 비롯한 다른 ABS 고위 임원들을 만나기 위해 이번 주에 American Broadcasting System(ABS)으로 ‘Puerto Ricans for a Positive Image’의 회원들을 데리고 오신 것에 대해 귀하에게 감사드리고 싶습니다.
The heartfelt passion for portraying more positive images of the Puerto Rican community was certainly heard by our executives.
저희 임원들은 Puerto Rico 주민 공동체의 더 긍정적인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한 그 진정한 열정을 분명하게 청취했습니다.
As we discussed in our meeting, it was never our intent to misrepresent images of your community, and the show in question no longer airs on ABS.
우리가 회의에서 논의한 것처럼, 귀하의 주민 공동체에 대한 이미지를 잘못 전하는 것은 결코 저희의 의도가 아니었고, 문제의 그 방송 프로그램은 더는 ABS에서 방송되지 않습니다.
ABS is known for the diversity of its characters, and over the years we have been continually recognized by multiple groups for stories that challenge stereotypes and bring different perspectives and voices to the screen.
ABS는 그 등장인물들의 다양성으로 유명하고, 수년간 저희는 고정 관념에 도전하고 여러 다른 관점과 목소리를 화면으로 내보내는 이야기들에 대해 다수의 단체로부터 지속적으로 인정받아 왔습니다.
We apologize for any inadvertent offense taken and can assure you that we will continue to strive to reflect the vast diversity of our audience with respect and, where appropriate, with self-deprecating humor.
저희는 의도하지 않게 끼쳐 드린 그 어떤 불쾌감에 대해서도 사과드리고, 존중하는 마음으로, 그리고 적절한 경우에는 자신을 낮추는 유머로 저희 시청자의 엄청난 다양성을 반영하려고 계속 노력할 것임을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Thank you again for meeting with us and for voicing your concerns.
저희를 만나 주시고 귀하의 염려를 표하여 주신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2-1. 소재: 저녁이 되면 거실에 모여 밤늦게까지 이야기를 나누던 여름밤에 대한 환상
2-1. 소재: 저녁이 되면 거실에 모여 밤늦게까지 이야기를 나누던 여름밤에 대한 환상
In the evenings, clutching cups of tea and plates of supper, we would gather in the chintz armchairs in the sitting room.
저녁이 되면, 우리는 찻잔과 저녁식사 접시를 손에 든 채 친츠천을 씌운 거실 안락의자에 앉아 모임을 갖곤 했다.
Always keeping a wary eye on the overweight, but ever-hungry dogs and our supper, we would settle down to talk well into the night.
과체중이면서도 늘 배고파하는 개들과 우리의 저녁 음식에 대해 항상 경계의 눈초리를 유지하면서, 우리는 편안히 앉아 밤이 깊어질 때까지 이야기를 나누곤 했다.
I learnt a lot of my family’s history during those long summer evenings.
그 긴 여름 저녁 시간에 나는 우리 가족사에 관해 많은 것을 알았다.
As daylight faded from the sky, the lamps in the room would be turned on, and the gas fire would be lit.
하늘로부터 햇빛이 옅어짐에 따라, 거실의 램프가 켜졌고 가스난로가 점화되었다.
The four of us would sit talking, and I would ask so many questions that even Daphne, with her sharp memory and fund of family stories, could not always answer them.
우리 넷은 앉아서 이야기를 나누곤 했으며 내가 매우 많은 질문을 해서, 뛰어난 기억력과 축적된 가족 이야깃거리의 소유자인 Daphne조차도 항상 대답해 줄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Then, some time after midnight, with the two dogs gently snoring in their favourite armchairs, we would yawningly creep up to our beds.
이윽고 자정이 지나고 얼마 후에, 두 마리의 개가 자기들이 가장 좋아하는 안락의자에서 부드럽게 코를 골고 있는 가운데, 우리는 하품을 하며 침대로 기어 올라가곤 했다.
2-2. 소재: 미래에 살고 싶은 농가를 둘러보기 위한 자유로운 여행
2-2. 소재: 미래에 살고 싶은 농가를 둘러보기 위한 자유로운 여행
On a Saturday in the fall of 2009, when Brandon and I were assessing the possibilities for a free and unscheduled day, we decided to go shopping for our dream farmhouse.
나와 Brandon이 계획 없이 하루를 자유롭게 보낼 가능성을 가늠하고 있던 2009년 가을의 어느 토요일에, 우리는 꿈꾸어오던 농가를 사러 가기로 했다.
We had both been feeling ready for something new.
우리는 둘 다 새로운 무언가에 대하여 준비가 되어 있다고 내내 느껴 왔었다.
We were feeling the same excitement that our children have at nightfall, looking into the darkness trying to find a firefly to catch.
우리는 해 질 녘에 우리 아이들이 어둠 속을 응시하며 잡을 반딧불이를 찾으려 하면서 느끼는 것과 똑같은 흥분을 느끼고 있었다.
We were hoping for something magical, something we could wrap our arms around and take home with us.
우리는 뭔가 마법 같은 것, 우리가 품에 안고 집으로 가져올 수 있는 것을 바라고 있었다.
So we packed a lunch for the kids and informed them we were going on an adventure.
그래서 아이들을 위해 점심을 싸고, 우리가 모험하러 간다고 그들에게 알렸다.
They gave us questioning looks, inquisitively pleading, “but where are we going?”
그들은 궁금한 표정으로 우리를 보고 “그런데 우리가 ‘어디로’ 가는 건가요”라고 아주 호기심에 차서 애원하듯이 물었다.
Once strapped into their car seats they were only interested in the destination.
일단 자신들의 카시트에 묶이자, 그들은 목적지에만 관심이 있었다.
Of course, we did not have a destination and we refrained from sharing that bit of information.
물론, 우리는 목적지가 없었고 그 작은 정보를 알려주는 것을 자제했다.
After packing a few books and toys to occupy kids, we went shopping for our dream farmhouse.
아이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몇 권의 책과 몇 개의 장난감을 싣고 난 다음, 우리는 꿈꿔온 농가를 사기 위한 여행을 떠났다.
2-3. 소재: 해달과의 만남
2-3. 소재: 해달과의 만남
When I started to spend time in the region, I began hearing stories about sea otters.
그 지역에서 시간을 보내기 시작했을 때, 나는 해달에 관한 이야기를 듣기 시작했다.
These days, the otters aren’t so few and far between.
요즘은 해달이 그리 드물지 않다.
In fact, when I confessed my lifelong dream of someday seeing a sea otter, people almost laughed at me!
사실, 언젠가 해달을 보겠다는 나의 일생의 꿈을 털어놓았을 때, 사람들은 나를 거의 비웃을 정도였다!
There are lots, I was told, along the outer coast. Finally, my moment came.
해안 외곽을 따라 많이 있다는 말을 들었다. 마침내 기회가 왔다.
I was on a small boat and there they were, their dark heads sticking out above the white water where the waves were crashing up against the rocky coastline.
나는 작은 배를 타고 있었고, 거기에 그것들이 있었는데, 그것들은 검은 머리를 바위투성이의 해안선에 파도가 부딪혀 부서지는 급류 위로 내밀고 있었다.
They weren’t close, and the rough waves made it hard to see, but in that moment I knew what it was to have a dream come true.
그것들은 가까이 있지 않았고, 거친 파도가 보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지만, 그 순간 나는 꿈이 이루어지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았다.
It was a reminder that things can change, that species can recover, and that I could let go of some of the concern for the otters that I’d been holding inside since I was a girl.
그것은 상황이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종이 회복될 수 있다는 것을, 그리고 내가 소녀 시절부터 마음속에 담아 왔던 해달을 향한 걱정의 일부를 떨칠 수 있다는 것을 일깨워 주었다.
2-4. 소재: 출간에 도움을 준 사람들에 대한 감사
2-4. 소재: 출간에 도움을 준 사람들에 대한 감사
Writers can feel achingly alone, but I am tremendously fortunate to be part of wonderfully supportive scholarly, academic, and family groups.
책을 쓰는 사람들은 고통스러울 정도로 고독하다고 느낄 수 있지만, 저는 놀랄 만큼 협력적인 학술, 학문, 가족 단체의 일원이어서 몹시 운이 좋습니다.
My deepest debts for this work are owed to those who have preceded me in establishing food studies as an accepted discipline.
저는 이 책에 대한 가장 큰 빚을 식품연구를 인정받는 학문 분야로 확립하는 데 있어서 저보다 앞서 간 사람들에게 지고 있습니다.
In countless ways, this work would not be possible without theirs.
무수히 많은 점에서 그들의 저작이 없었다면 이 책은 (오늘날) 가능하지 않을 것입니다.
I have recommended many of their works in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that follow each entry and in the general suggestions that conclude the volume.
저는 그들의 저작 중 많은 것을 각 수록 항목의 뒤에 있는 추가 참고 도서 추천 목록과 책의 맨 끝에 있는 일반도서 추천 목록에 추천해 놓았습니다.
But I have also benefited from the personal support and encouragement of many individuals —too many to name here —at gatherings such as the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Food and Society and the Oxford Symposium of Food and Cookery.
그런데 저는 또한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Food and Society와 Oxford Symposium of Food and Cookery의 학회 같은 모임에서, 여기에 거명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사람들의 개인적인 지지와 격려로부터 도움을 받았습니다.
A more welcoming and nurturing group of scholars cannot be imagined.
더 우호적이고 성장하도록 도와주는 학자들의 무리를 상상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3-1. 소재: 어린아이의 관점으로 삶을 바라보기
3-1. 소재: 어린아이의 관점으로 삶을 바라보기
Three-year-olds don't have to deal with the same rules and realities adults do.
세 살배기들은 어른들이 하는 것과 같은 규칙과 현실을 다룰 필요가 없다.
Because of that, children tend to be more imaginative and creative with their ideas.
그것 때문에, 아이들은 그들의 아이디어로 더 창의적이고 창조적인 경향이 있다.
They see possibilities where the rest of us see rules, boundaries, or impossibilities.
그들은 우리가 규칙, 경계, 불가능을 보는 곳에서 가능성을 본다.
That’s why they’re famous for writing on walls —you see a perfectly painted living room that shouldn't be touched: they see a blank canvas.
그래서 그들이 벽에 낙서하는 것으로 유명한 겁니다- 만지면 안 되는 완벽하게 칠해진 거실을 볼 수 있고 아이들은 빈 캔버스를 볼 수 있답니다.
Even if it’s just for 30 minutes, seeing life from the angle of a semi-careless child can give you a new perspective on how you spend your time and deal with household problems or work challenges.
비록 30분 정도일지라도, 거의 걱정이 없는 아이의 관점에서 삶을 보는 것은 여러분이 시간을 보내는 방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줄 수 있고, 가정 문제나 직장 문제에 대처하는 방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줄 수 있다.
For that reason alone, it’s valuable to imagine yourself acting as you would if you were just a child: free- spirited, boundless, uncontrollably creative, and unafraid to try new things.
그런 이유만으로도, 여러분이 어렸을 때처럼 행동하는 자신을 상상하는 것은 가치 있는 일이다: 자유롭고, 무한하고,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창의적이고,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3-2. 소재: 현지어를 활용한 교육의 선행 조건
3-2. 소재: 현지어를 활용한 교육의 선행 조건
Most linguists and local community members agree that education and literacy in the local language are necessary to maintain vitality, or to revitalize a language threatened with endangerment.
대부분의 언어학자들과 지역사회 구성원들은 지역 언어의 교육과 읽고 쓰는 능력이 (언어의)생명력을 유지하거나 멸종위기의 위협을 받고 있는 언어에 새로운 활력을 주는데 필수적이라는 데 동의한다.
Some local communities reject this notion, wanting to preserve their oral traditions and to rely solely on them.
어떤 지역 공동체들은 이러한 생각을 거부하고, 자신들의 구어(口語)적 전통을 지키고 오직 그것에만 의존하기를 원한다.
There is, however, a cost to this decision, as it limits the domains in which the language can be used.
그러나, 이러한 결정은 언어가 사용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기 때문에 대가가 따른다.
Regardless, most regard literacy as essential for local languages.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읽고 쓸수 있는 능력을 현지어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Yet more than half of all languages have no written form, and so a writing system needs to be developed for them in order to use them in education and literacy programs.
하지만, 모든 언어의 절반 이상은 문자 형태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그런 언어들을 교육과 읽고 쓰기 과정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문자 체계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Basic pedagogical and reference materials are needed, including textbooks, dictionaries and usable descriptive grammars.
교과서, 사전, 활용 가능한 기술문법책을 포함한 기본적인 교육적 자료와 참고용 자료가 필요하다.
Such materials are readily available for languages of wider communication, but not for the majority of local languages.
그러한 자료들은 보다 널리 소통되는 언어들의 경우에는 손쉽게 활용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현지어에 있어서는 그렇지 않다.
In addition, reading material is needed for literacy as well.
게다가 읽고 쓰는 능력을 위해서는 읽기 자료도 또한 필요하다.
3-3. 소재: 고령자의 특성
3-3. 소재: 고령자의 특성
There is a misconception that older people belong to a special tribe, all with the same problems, opinions and attitudes.
고령자는 모두 똑같은 문제와 의견과 태도를 가진 특별한 집단에 속해 있다는 오해가 있다.
Yet older people are just as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re members of younger generational groups.
그러나 고령자는 젊은 세대 집단의 구성원들만큼이나 서로 다르다.
How can it be otherwise in view of the wide range of different experiences everyone has as their life progresses from childhood to old age?
어린 시절에서 노년으로 그들의 삶이 진행되면서 모든 사람이 가지는 광범위한 다양한 경험을 고려해 볼 때 어떻게 그렇지 않을 수 있겠는가
There are differences formed by family backgrounds, education, careers and relationships.
가족 배경, 교육, 직업 및 인간관계에 의해 형성된 차이점들이 있다.
All these help shape a person’s character and outlook on life.
이 모든 것들이 한 사람의 성격과 인생관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This does not confer superior virtues on the elderly.
이것 고령자에게 우월한 장점을 부여하지는 못한다.
They may have wisdom, good humour and tolerance, but are just as likely to be cantankerous, boring and narrow-minded.
그들은 지혜와, 쾌활함 그리고 관용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르지만, 그만큼 성미가 고약하고 지루하며 편협한 마음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Like everyone else, the old are a mixed bunch, but each is an individual with their own particular interests and personality.
다른 모든 사람들처럼, 고령자는 혼합된 하나의 집단이지만, (구성원) 각각은 자신만의 특별한 관심사와 성격을 가진 한 개인이다.
3-4. 소재: 일탈의 사회적 기능
3-4. 소재: 일탈의 사회적 기능
While we usually think negatively of deviance, it actually can prove functional in a society.
우리는 대개 일탈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것이 사회에서 기능을 하는 것으로 판명될 수도 있다.
Any hostility toward deviants promotes behavioral conformity with social expectations.
일탈 행위자에 대한 반감은 어떤 것이든 사회의 기대에 맞추는 행동상의 순응을 촉진한다. .
It strengthens group identity by separating the nonconforming from the well-behaved members centering on an agreement on the norms.
그것은 규범에 대한 동의에 초점을 맞추어 규범을 따르지 않는 구성원과 행실이 좋은 구성원을 구별함으로써 집단 정체성을 강화한다.
We may be familiar with the phrase “the exception makes the rule.”
우리는 "예외가 규칙을 만든다"라는 경구가 친숙할지도 모르겠다.
Deviance shows us the boundary, or line, that must not be crossed, highlighting not only the importance of the norm but its relative permissible zone for behavior.
일탈은 우리에게 넘어서는 안 되는 경계, 즉 선을 보여 주어, 규범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그것이 허용해 줄 수 있는 상대적 행동 범위 또한 강조한다.
For example, if there is a rule that “food is not permitted in the classroom:”
예를 들어, ‘교실내에서는 음식이 허용되지 않는다.’라는 규칙이 있다면,
a person with the candy bar or bag of chips might not be admonished by the teacher;
사탕이나 포테이토칩 봉지를 든 사람은 교사의 훈계를 받지 않을 수도 있다
yet a person arriving to class with a fast-food meal experiences rebuke and ejection.
하지만 교실에서 패스트푸드 음식을 들고 수업에 들어오는 사람은 꾸지람을 듣고 (수업에서) 쫓겨난다.
Others in the class now know where the line is drawn and can adjust their patterns of behavior accordingly.
수업을 듣는 다른 사람들은 이제 선이 어디에 그어져 있는지 알고 자신의 행동 양식을 그것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3-5. 소재: 변화에 열린 자세
3-5. 소재: 변화에 열린 자세
You can save yourself a lot of time and energy if, over the next few years, you give serious consideration to what is most important to you and what you want to do with your life.
앞으로 다가올 몇 년 동안, 무엇이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지와 인생을 어떻게 할지를 진지하게 고려한다면, 여러분은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Avoid the myth, however, that you are supposed to come up with some ambitious, detailed life plan and then follow it until the end of the rainbow.
그러나 야심차고 세부적인 삶의 계획을 세우고 그런 다음 무지개의 끝까지(꿈이 이루어질 때까지) 그것을 따라야 한다는 근거 없는 믿음을 피하라.
Things happen that are unexpected and unforeseen.
예기치 못한 뜻밖의 상황이 발생한다.
Events in the world will alter the landscape.
세상의 사건들이 상황을 바꿀 것이다.
Opportunities will come your way that you never would have considered before.
여러분이 결코 전에 고려하지 않았을 기회가 올 것이다.
Friendships and networking will open up other possibilities.
교우 관계와 인적 정보망의 형성이 다른 가능성을 열어 줄 것이다.
Your priorities and values will evolve as you gain new experiences and are exposed to other options.
새로운 경험을 얻고 다른 선택들을 접하면서 여러분의 우선 사항과 가치가 진전될 것이다.
Anything you plan now will likely shift as you learn new things, develop new skills, and grow in new directions.
여러분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새로운 방향으로 성장함에 따라 지금 계획하고 있는 어떤 것이라도 어쩌면 바뀔 것이다.
In fact, it is imperative that you remain open to these changes.
사실, 여러분은 이러한 변화들에 대해 열린 자세를 가져야 한다.
3-6. 소재: 이직 시 고려해야 할 사항
3-6. 소재: 이직 시 고려해야 할 사항
If you have a new job, and you are going to resign from your current job, may I make a common sense suggestion?
만일 여러분이 새로운 직장을 구해서 현재의 직장에서 사직할 예정이라면, 상식적인 제안을 하나 해도 되겠는가?
Unless there is a very special circumstance, I strongly suggest you not resign from your current job with only the verbal agreement or an informal email telling you that you have the future job.
매우 특별한 상황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여러분이 구두 합의나 그 미래의 직장을 구했음을 알려주는 비공식적인 전자 우편만을 가지고 현재의 직장에서 사직하지 ‘말라고’ 강력하게 제안한다.
I get chills up my spine when people do this or even consider it.
사람들이 이렇게 할 때나 심지어 이것을 고려할 때 나는 등골이 오싹해지는 느낌이 든다.
There is still that chance something unforeseen could happen between the verbal offer and actuality.
구두로 받은 제안과 실제 사이에서 뭔가 예기치 않은 것이 발생할 그 가능성이 여전히 있다.
You should announce your intention to resign from the job only when you have in your possession a written and signed offer or employment contract, on company letterhead, with an accompanying start date for your new job.
회사 이름이 인쇄된 편지지 위에 새로운 직장에서 일을 시작할 날짜가 나란히 명시된, 글로 쓰이고 서명된 제안이나 혹은 고용 계약서를 수중에 넣었을 때만 직장에서 사직할 의향을 발표해야 한다.
For me, this is as much an issue of common sense as suggesting you should look both ways before crossing a street.
나의 경우, 이것은 길을 건너기 전에 양쪽을 보라고 권하는 것만큼이나 상식적인 문제이다.
3-7. 소재: 현재 성취하는 작은 성공의 의미
3-7. 소재: 현재 성취하는 작은 성공의 의미
Whether you’re a wrestler planning to win a league title next season, or a student with an entrepreneurial spirit who wants to start your own business and build a successful career, you need to plan the right steps.
다음시즌에 리그 선수권 우승을 계획하고 있는 레슬링 선수든, 자기 자신의 사업을 시작해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기 원하는 기업가 정신을 가진 학생이든, 여러분은 올바른 단계를 계획할 필요가 있다.
And don’t get caught up in thinking that any success you experience as a student has no bearing on, or relationship to, future success in the “real” world.
그리고 학생으로서 여러분이 경험하는 어떤 성공이라도 ‘현실’ 세계에서의 미래의 성공과는 관계나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에 사로잡히지 마라.
You are in the “real” world —your world.
여러분은 ‘현실’ 세계, 즉 ‘여러분’의 세계 속에 ‘존재하고 있다.’
Success now breeds success later, even if the fields or venues change.
분야나 현장이 바뀌긴 하지만, 현재의 성공은 나중의 성공을 낳는다.
Don’t discount what you might consider “small” successes.
여러분이 ‘하찮은’ 성공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을 무시하지 말라.
Michael Jordan’s first step to basketball success was making his high school team after being cut earlier.
마이클 조던이 농구에서의 성공을 향해 내디딘 첫걸음은, 앞서 탈락된 후에 자신의 고등학교 팀에 들어가는 것이었다.
Your successes —however great or small —in academics, social clubs, fine arts, or sports can pave the way to future success.
학과목, 사교클럽, 미술, 또는 스포츠에서의 여러분의 성공은, 아무리 크건 작건 간에, 장래의 성공에 이르는 길을 닦아 줄 수 있다.
What’s important at the moment is not how much you achieve, but how much you learn about the process of achieving.
바로 지금 중요한 것은 여러분이 얼마나 많이 성취하느냐가 아니라, 여러분이 성취 과정에 대해 얼마나 많이 익히느냐이다.
Because once you learn the process, you can apply it in the field or area of your choice, where you want to use the gifts you have.
일단 그 과정을 익히게 되면, 여러분은 자신이 선택한 분야나 영역, 즉 여러분이 가진 재능을 사용하고 싶은 곳에서 그것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3-8. 소재: 생물학적 변화에 대한 우리의 대응
3-8. 소재: 생물학적 변화에 대한 우리의 대응
Whenever our urge is to fight a specific biological change, we should ask the following triplet of questions.
우리의 욕구가 특정한 생물학적 변화에 저항하고자 할 때마다 우리는 다음의 세 개의 질문을 해야 한다.
Will our efforts have made much difference a few hundred years hence?
우리의 노력이 지금부터 수백 년 후에 많은 차이를 가져올 것인가
If not, this means we are fighting a battle we will inevitably lose.
만약 아니라면, 이것은 우리가 필연적으로 패배할 싸움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Next, will our great-grandchildren’s great-grandchildren be that bothered if the state of the world has been altered, given that they will not know exactly how it is today?
다음으로, 우리의 증손주의 증손주가 정확하게 오늘날 이 세상이 어떤지 알지 못할 것을 고려하면, 세계의 상태가 달라진다 하더라도 그들의 (그 달라진 상태를) 그렇게 신경을 쓸까
If the answer to this second question is no, this means we are fighting battles we do not need to win.
만약 이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답이 아니다라면 이것은 우리가 이길 필요가 없는 싸움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f change is inevitable, which it is, we should then ask a third question:
만약 변화가 필연적이라면, 사실 그렇기도 한데, 그러면 우리는 세 번째 질문을 해야 한다:
how can we maximize the benefits that our descendants derive from the natural world?
자연계에서 우리의 후손이 이끌어 낼 이득을 우리가 어떻게 극대화할 수 있는가
In other words, how can we promote changes that might be favourable to the future human condition, as well as avoid the losses of species that might be important in unknown ways in future?
다시 말하면, 우리는 어떻게 알지 못하는 방식으로 미래에 중요할지도 모르는 종의 손실을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래 인류의 상황에 유리할 수 있는 변화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인가
4-1. 소재: 감사하는 마음의 기능
4-1. 소재: 감사하는 마음의 기능
We are about to embark on creat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habits of all: gratitude.
우리는 가장 중요한 습관 중 하나인, 감사하는 습관을 만들기 시작하려고 한다.
After conducting and reviewing hundreds of studies,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oncluded that gratitude is one of the most reliable methods for increasing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수백 개의 연구를 수행하고 검토한 후에,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은 감사하는 것이 행복과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가장 믿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라고 결론지었다.
It boosts feelings of optimism, joy, pleasure, and enthusiasm.
그것은 낙관주의, 기쁨, 즐거움, 그리고 열정의 느낌을 증가시킨다.
It reduces anxiety and depression, strengthens the immune system, lowers blood pressure, reduces symptoms of illness, and makes us less bothered by aches and pains.
그것은 불안과 우울증을 줄이고, 면역체계를 강화시키고, 혈압을 낮추고, 병의 증상들을 줄여주고, 우리를 아픔과 통증에 덜 시달리게 해 준다.
It encourages us to exercise more and take better care of our health.
그것은 우리가 운동을 더 많이 하고 우리의 건강을 더 잘 돌보도록 고무시킨다.
Grateful people get more hours of sleep each night, spend less time awake before falling asleep, and feel more refreshed upon awakening.
감사하는 사람들은 매일 밤 더 많은 시간 잠을 자고, 잠들기 전에 깨어 있는 시간이 더 적고, 깨어날 때 더 상쾌함을 느낀다.
Gratitude makes people more resilient and helps them recover from traumatic events.
감사하는 마음은 사람들을 더 회복하게 하고 그들이 매우 충격적인 사건으로부터 회복하도록 돕는다.
4-2. 소재: 꿈에서 얻을 수 있는 것들
4-2. 소재: 꿈에서 얻을 수 있는 것들
Some believe there is no value to dreams, but it is wrong to dismiss these nocturnal dramas as irrelevant.
어떤 사람들은 꿈에 아무런 가치가 없다고 믿지만, 밤에 일어나는 이 드라마(꿈)를 무관하다고 일축(묵살)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There is something to be gained in remembering.
(꿈을) 기억을 할 때 얻어지는 어떤 것이 있다.
We can feel more connected, more complete, and more on track.
우리는 더 연결되어 있고, 더 완전하고, 더 진행이 잘되어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느낄 수 있다.
We can receive inspiration, information, and comfort.
우리는 영감과 정보 그리고 위안(편안함)을 얻을 수 있다.
Albert Einstein stated that his theory of relativity was inspired by a dream.
앨버트 아인슈타인은 상대성 이론이 꿈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라고 말했다.
In fact, he claimed that dreams were responsible for many of his discoveries.
사실, 그는 자신의 많은 발견들이 꿈의 덕분이라고 주장한다.
Asking why we dream makes as much sense as questioning why we breathe.
우리가 왜 꿈을 꾸는지를 묻는 것은 왜 우리가 숨 쉬는지를 질문하는 것만큼 아주 타당하다.
Dreaming is an integral part of a healthy life.
꿈은 건강한 삶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The great news is that this is true whether or not we remember our dreams.
아주 좋은 소식은 우리가 우리의 꿈을 기억하든 그렇지 않든 이것이 사실이라는 것이다.
Many people report being inspired with a new approach for a problem upon awakening, even though they don’t remember the specific dream.
많은 사람들은 비록 그들이 그 구체적인 꿈을 기억하지 못하지만, 잠에서 깨자마자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생각하게 되었다고 보고한다.
4-3. 소재: 첨단 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을 낮추는 전략
4-3. 소재: 첨단 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을 낮추는 전략
Today’s rapidly changing technological landscape can represent a challenge for consumers who might lack trust in technology and be skeptical of its purported benefits.
오늘날의 급변하는 기술 환경은 기술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고 그것의 이점이라고 알려진 것에 대해 회의적일 수 있는 소비자들에게 어려운 문제를 제기할 수도 있다.
Anthropomorphic thought can help remedy this skepticism and distrust, and is especially consequential in consumer-product interactions where being mindful and conscious are important criteria for evaluation and accountability.
의인화된 사고는 이러한 회의와 불신을 바로잡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유념하고 의식하는 것이 평가와 책임의 중요한 기준이 되는 소비자와 제품 간의 상호 작용에서 특히 중요하다.
For example, in a vehicle simulation study, Waytz and colleagues found that participants reported higher levels of trust in autonomous vehicles (e.g., self-driving cars) that featured anthropomorphic cues (e.g., a name, gender, voice) than in those vehicles that lacked anthropomorphic cues.
예를 들어, 차량 시뮬레이션 연구에서 Wayts와 동료는 참여자들이 의인화된 신호가 부족한 차량보다 의인화된 신호(예를 들면 이름, 성별, 목소리)를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예를 들면 스스로 운전하는 차)에 대한 신뢰도가 더 높다고 말하는 것을 발견했다.
Moreover, participants in the simulated anthropomorphized vehicle felt less stressed from an observer’s point of view, and in the event of an accident, were less likely to blame their vehicles.
더욱이, 시뮬레이션된 의인화된 차량의 참여자들은 관찰자의 관점에서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고 느꼈고,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자기들의 차량을 탓할 가능성이 더 적었다.
4-4. 소재: 실패 위험이 적은 아이디어에 중점을 두는 보상
4-4. 소재: 실패 위험이 적은 아이디어에 중점을 두는 보상
Corporations establish rewards to drive performance.
기업들은 실적을 추진하기 위해 보상을 제정한다.
Often these rewards focus on meeting budgets and avoiding risk.
흔히 이런 보상은 예산에 맞추고 위험을 피하는 데 중점을 둔다.
Rewards of this type cause managers to invest in safe products that pose little chance of a big loss but also tittle chance of a big profit.
이러한 유형의 보상은 관리자들로 하여금 큰 손실을 볼 가능성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큰 이득을 볼 가능성도 거의 없는 안전한 제품에 투자하게 한다.
These rewards totally block any motivation to explore riskier paths.
이러한 보상은 더 모험적인 길을 탐색하려는 욕구는 무엇이든 완전히 차단한다.
The companies reward the speed at which low-risk products are created and marketed, even if they are hoping for radical new ideas.
기업들은 급진적인 새로운 아이디어를 바란다고 해도, (실패) 위험이 적은 제품이 만들어져서 팔리는 속도에 보상을 준다.
The outcome is little appetite for risk and an overdose of incremental ideas.
그 결과로 모험에 대한 욕구는 거의 없어지고, 서서히 나아지는(혁신적이지 않은) 아이디어의 양은 과다해진다.
Interestingly, managers get frustrated with the outcome, blind to the behavior that the organization is explicitly or implicitly rewarding.
흥미롭게도, 관리자들은 그 조직이 명시적으로나 암묵적으로 보상하고 있는 그 행위는 깨닫지 못하고 그 결과에 좌절한다.
A badly designed measurement or reward system mutes the rest of the rules, even if optimally designed.
잘못 고안된 평가 혹은 보상 체계는 최적으로 고안된다고 해도 나머지 규정들을 약화시킨다.
4-5. 소재: 가치와 현실 왜곡
4-5. 소재: 가치와 현실 왜곡
Values and their supporting beliefs are lenses through which we see the world.
가치와 그것을 지지하는 신념은 우리가 세상을 보는 렌즈다.
The views that these lenses provide are often of what life ought to be like, not what it is.
이 렌즈들이 제공하는 경관은 흔히 삶이 무엇인지가 아니라 삶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For example, Americans value individualism so highly that they tend to see almost everyone as free and equal in pursuing the goal of success.
예를 들어, 미국인들은 개인주의를 매우 높게 평가하여 성공의 목표를 추구함에 있어 거의 모든 사람을 자유롭고 평등하게 보려는 경향이 있다.
This value blinds them to the significance of the circumstances that keep people from achieving success.
이 가치는 사람들로 하여금 성공을 달성하지 못하게 하는 상황의 중요성을 보지 못하게 한다.
The dire consequences of family poverty, parents’ low education, and dead-end jobs tend to drop from sight.
가족의 빈곤, 부모의 낮은 교육, 그리고 장래성이 없는 직업의 심각한 결과는 안 보이게 되기 쉽다.
Instead, Americans see the unsuccessful as not taking advantage of opportunities, or as having some inherent laziness or dull minds.
대신에, 미국인들은 성공하지 못한 사람들을 기회를 이용하지 못하거나, 어느 정도 타고난 게으름이나 우둔한 머리를 가진 것으로 여긴다.
And they “know” they are right, because the mass media dangle before their eyes enticing stories of individuals who have succeeded despite the greatest of handicaps.
그리고 그들은 그들이 옳다는 것을 ‘아는데’, 왜냐하면 대중 매체가 엄청나게 불리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성공한 사람들에 대한 매혹적인 이야기를 그들의 눈앞에 제시하기 때문이다.
4-6. 소재: 무용수들이 겪는 부상의 원인
4-6. 소재: 무용수들이 겪는 부상의 원인
I would guess that there are a few dancers who believe, as I once did, that injuries are caused primarily by accidents: slipping, tripping, running into someone or something, or forgetting to point your foot at the right instant and inadvertently twisting your ankle.
내가 전에 그랬던 것처럼, 부상이 미끄러짐, 발을 헛디딤, 사람이나 물건과 부딪침, 혹은 적절한 순간에 여러분 발의 끝을 세우는 것을 잊어서 본의 아니게 발목을 삐는 것과 같은 사고로 인해 주로 일어난다고 믿는 무용수들이 몇 명 있을 것 같다.
But the longer I’ve danced, the more I’ve understood that accidents are quite rare as causes of dance injuries.
그러나 내가 춤을 더 오랜 시간 동안 출수록, 나는 무용에서 발생하는 부상의 원인이 사고인 경우가 상당히 드물다는 것을 많이 이해하게 되었다.
The majority of injuries are caused —and prevented —by how you work at your dancing, consistently and over time.
대부분의 부상은 여러분이 지속적으로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춤을 출 때 어떻게 몸을 움직이느냐에 의해 발생하고 또 방지될 수 있다.
Working incorrectly just once usually won’t hurt you: your body is quite resilient and can bounce back from some amount of abuse.
한 번만 부정확하게 춤을 추는 것은 대개 여러분을 다치게 하지 않는데 여러분의 신체는 상당히 회복력이 있고 어느 정도의 혹사로부터 다시 회복될 수 있다.
But if you work incorrectly again and again, class after class, performance after performance, day after day, and year after year, your body —or some part of it —will finally give out.
그러나 여러분이 매 수업 시간, 매 공연, 매일, 그리고 매년 계속해서 부정확하게 춤을 추면, 여러분의 신체, 혹은 그것의 어떤 부위가 결국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될 것이다.
It will simply refuse to function anymore.
그것은 그야말로 더는 기능하기를 거부할 것이다
4-7. 소재: 그림 속의 색이 바래는 과정
4-7. 소재: 그림 속의 색이 바래는 과정
The answer to the question about the fading of colour in painting (and in fabric) is fairly simple.
그림에서 (그리고 옷감)에서 색이 바래는 것에 대한 질문에 대한 대답은 상당히 간단하다.
Ultraviolet radiation is a high energy form of light and, as sunbathers are only too aware, is present in ordinary daylight.
자외선은 고(高)에너지 형태의 빛이고, 일광욕하는 사람들이라면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일상적인 햇빛 속에 존재하고 있다.
Over time, ultraviolet radiation can gradually break up the molecules in pigment, leaving smaller, colourless molecules as products.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외선은 점차로 색소 속에 있는 분자를 쪼개서 더 작고 색깔이 없는 분자를 그 결과물로 남길 수도 있다.
There is also a second process of degradation in which pigment molecules may react chemically with oxygen molecules in the atmosphere, a process known as oxidation.
또한 색소 분자가 대기 중의 산소 분자와 화학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산화라고 알려진 2차 분해 과정도 있다.
As with photolysis, this alters the structure of the molecule and, as a consequence, changes the manner in which it absorbs light of various colours.
광분해에서처럼, 이것은 (색소)분자의 구조를 바꾸고 그 결과, 그것(색소 분자)이 다양한 색깔의 빛을 흡수하는 방식을 변화시킨다.
As the amount of coloured pigment in a given area on a canvas gradually diminishes, so the colour seems to us, as onlookers, to fade.
캔버스의 특정 부분에 있는 유색 색소의 양이 점차적으로 줄어들면서 그렇게 지켜보는 사람인 우리에게도 그 색은 바래는 것처럼 보인다.
So a given pigment doesn’t actually change colour: it simply becomes weaker in the mix of pigments over time.
따라서 특정 색소가 실제로 색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혼합되어 있는 색소들 속에서 묽어져 갈 뿐이다.
4-8. 소재: 중력과 안정된 운동 자세
4-8. 소재: 중력과 안정된 운동 자세
Since the pull of gravity influences the stability of the body during the performance of physical activity, the balance or appropriate distribution of those gravitational forces upon the body is essential to promoting stability or ‘balance’.
중력의 당김이 신체 활동 수행 중에 신체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신체에 대한 중력의 균형, 즉 적절한 분배는 안정성, 즉 ‘균형’을 촉진하는데 필수적이다.
The location of the centre of gravity, or the point around which the mass or sum of gravitational forces is equally distributed or ‘balanced’, is thus of vital importance in the performance of physical skills.
따라서 무게중심, 즉 그 주위로 질량 또는 중력의 합이 균일하게 분포하거나 ‘균형이 잡힌’ 지점의 위치는 신체 기능 수행에 있어 대단히 중요하다.
We know that the lower the centre of gravity and the closer it is to the base of support, the more stable an object.
우리는 무게중심이 더 낮고 지지 기반에 가까워질수록, 물체가 더 안정적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Thus when rugby players scrummage they attempt to get their body weight as low as possible to avoid being pushed backwards.
따라서 럭비 선수들이 스크럼을 짤 때 그들은 뒤로 밀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그들의 체중(체중 중심)을 가능한 한 낮게 두려고 노력한다.
Likewise, when those involved in a tug-of-war pull on the rope they try to lower their centre of gravity by leaning backwards and planting their feet well in front of them to increase stability and decrease their chances of being pulled forward by their opponents.
마찬가지로, 줄다리기에 참여한 사람들이 줄을 당길 때는, 안정성을 높이고 상대편에 의해 자신들이 앞으로 끌려갈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뒤로 몸을 기울이고 발을 자신들의 앞에 잘 자리 잡도록 하여 무게 중심을 낮추려고 노력한다.
5-1. 소재: 암 치료를 위한 유전자 배열 연구
5-1. 소재: 암 치료를 위한 유전자 배열 연구
One of the next major waves of medical advancement will be in the development of genomic sequencing, which will help doctors squeeze human DNA to discover the precise cause of an illness, and develop a specific treatment for it.
의학발전의 다가올 주요 물결 중 하나는 게놈 배열 순서를 밝히는 일의 발전에 있으며, 이것은 의사들이 인간의 DNA의 배열 순서를 밝혀서 질병의 정확한 원인을 발견하고 그것(질병)에 대한 특정한 치료별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Experts believe this process will be easy to commercialize relatively quickly, as sequencing gets cheaper.
배열 순서를 밝히는 작업의 비용이 더 저렴해 지면서, 전문가들은 비교적 빠르게 이 과정을 상용화하는 것이 쉬워질 것으로 믿고 있다.
Using advances in genomic research, scientists are developing bood tests that can detect cancer, while also beginning to apply academic research to real-world scenarios.
게놈 연구의 발전을 이용하여, 과학자들은 암을 발견할 수 있는 혈액 검사를 개발하는 한편, 실생활의 시나리오에 학술적 연구를 적용하기 시작하고 있다.
As researches get better at identifying the specific genes that are mutating and causing cancer, drug companies will need to produce medications that address these problems more quickly.
연구원들이 돌연변이를 일으키고 암을 유발하는 특정 유전자를 더 잘 규명함에 따라, 제약 회사들은 이러한 문제들을 더 빨릴 다룰 수 있는 약을 생산해야 할 것이다.
In the next decades, scientists expect to have more specialized “precision medicines” to treat cancer.
향후 10년 안에, 과학자들은 암을 치료할 수 있는 더 전문화된 “정밀약품”을 갖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5-2. 소재: 삶의 어려움에 맞섬으로써 잠재력을 발휘하기
5-2. 소재: 삶의 어려움에 맞섬으로써 잠재력을 발휘하기
Though we cannot choose most of the challenges we face in life, we can choose how we’re going to face them.
우리가 삶에서 직면하는 어려움들의 대부분을 선택할 수는 없지만, 우리는 어떻게 그것에 대항할 것인지는 선택할 수 있다.
Are we going to have a bad experience, crumble under the pressure, run away, or avoid challenges altogether?
우리는 안 좋은 경험을 할 것인가, 그 압박에 무너질 것인가, 도망갈 것인가, 아니면 어려움을 모두 피할 것인가
Or are we going to find the strength and inner resources to rise to the challenges and fully actualize our potential?
아니면 우리가 힘과 내적 자질을 찾아내어 그 어려운 문제에 대처하고 ‘우리의 잠재력’을 완전히 ‘발휘할’ 것인가
That’s the term psychologists use for becoming the person you are meant to be ― actualize your potential.
그것, 즉 잠재력을 발휘한다는 것은 심리학자들이 응당 여러분이 되어야 하는 사람이 되는데 사용하는 용어이다.
Facing your teenage years in the right way will give you this opportunity.
올바른 방식으로 여러분의 십 대 시절을 마주하는 것은 여러분에게 이런 기회를 줄 것이다.
When you face the challenges before you right now, learn from them and grow with them, you become that person.
여러분이 지금당장 여러분 앞의 어려움에 맞서고, 그것들로부터 배우고, 그것들과 함께 성장할 때, 여러분은 그런 사람이 된다.
The challenges in your life require you to call on the inner resources residing deep inside you.
여러분의 삶의 어려움들은 여러분이 여러분 내면의 깊은 곳에 자리하고 있는 내적자질을 드러내기를 요구한다.
By doing that, you come to know yourself and to develop your innate capacities.
그렇게 함으로써, 여러분은 여러분자신을 알고 여러분의 타고난 능력을 키우게 된다.
That is what we mean by actualizing your potential, and being challenged presents you with the opportunities to do it.
그것이 우리가 말하는 여러분의 잠재력을 발휘한다는 것이고, 어려움에 처하는 것은 여러분에게 그렇게 할 기회를 제공한다.
5-3. 소재: 가격 정보원으로서의 소셜미디어
5-3. 소재: 가격 정보원으로서의 소셜미디어
Social media facilitates price comparison on the part of consumers, thus making them more aware of online (and in-store) discounts and subsequently encouraging consumer price sensitivity.
소셜미디어는 소비자 측의 가격 비교를 용이하게 하여 소비자들이 온라인 (및 매장 내) 할인을 더욱 잘 인식하게 하고 그 결과 소비자 가격 민감도를 촉진한다.
What makes the social media space even more effective is the fact that not only do marketers have a new medium through which to share pricing and promotion information, but quite often it is one’s own friends, family or other connections who are passing along price and promotion information from brands.
소셜미디어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만드는 것은 마케팅 담당자들이 가격 책정과 홍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매체를 가질 뿐만 아니라, 아주 흔하게 브랜드들의 가격과 홍보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바로 우리 자신의 친구, 가족, 혹은 다른 인척들이라는 사실이다.
When deals are activated by a consumer, he/she is given the opportunity to share their deal experience with specific individuals via email or more broadly via social media platforms.
거래가 소비자에 의해 활성화되면, 그 소비자는 전자 메일을 통해 혹은 더욱 광범위하게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통해서 자신의 거래 경험을 특정한 개인들과 공유할 기회를 가지게 된다.
Given the influence of word-of-mouth information, this is even more impactful as a source.
입소문 정보의 영향을 고려하면, 이것은 정보원으로서 훨씬 더 영향력이 강하다.
5-4. 소재: ‘소매 드라마’로서의 쇼핑센터에서의 쇼핑
5-4. 소재: ‘소매 드라마’로서의 쇼핑센터에서의 쇼핑
In certain malls, there is a fair amount of sunlight that comes in from a central skylight or a few strategically placed skylights.
어떤 쇼핑센터에서는 중앙 천장 채광창이나 몇 개의 전략적으로 배치된 천장 채광창에서 들어오는 햇빛의 양이 상당하다.
Most mall developers refuse to use the true outside world in any significant way, one fearing that this may encourage the shopper to want to leave the mall and go elsewhere —to another world.
대부분의 쇼핑센터 개발업자는 실물 그대로의 외부 세계를 의미 있게 사용하기를 거부하는데, 어떤 개발업자는 이것(실물 그대로의 외부 세계를 의미 있게 사용하는 것)이 쇼핑객에게 그 쇼핑센터를 떠나 다른 곳, 즉 다른 세상으로 가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할 수 있다고 염려한다.
The notion of shopping as theater or “retail drama” kicks in at this point.
연극으로서의 쇼핑 혹은 ‘소매 드라마’라는 개념이 이 지점에서 효력을 발휘하기 시작한다.
“The idea,” according to Laura Byrne Paquet, “is to replicate the artificial feeling of a theater or a Hollywood sound stage, where shoppers can be the stars of their own show.”
Laura Byrne Paquet에 따르면, “그 생각은 극장이나 할리우드의 방음 스튜디오의 인위적인 느낌을 복제하려는 것인데, 그곳에서 쇼핑객은 자기 방송 프로의 인기 스타가 될 수 있다.”
This concept is carried forth in a phenomenal way; if the shoppers and others are “part of the cast” there is the archway as a stage, and the ability to try on “costumes,” touch “props” and in general, engage in the dramatic ritual of shopping.
이 개념은 경이롭게 실행되는데, 만일 쇼핑객들과 여타의 사람들이 ‘출연진의 일원’이라면, 무대로서의 아치 밑 통로가 있으니, ‘(무대) 의상’을 입어보고, ‘소품’을 만져 보며, 전반적으로 쇼핑의 드라마적 의식에 참여하는 능력이 생긴다.
5-5. 소재: Great Bear Rainforest의 생태계
5-5. 소재: Great Bear Rainforest의 생태계
In the Great Bear Rainforest, the bears drag salmon into the forest, where insects and fungi turn the salmon into food for the trees, which then provide homes to birds in their branches and to wolves in dens under their roots.
Great Bear Rainforest에서, 곰들은 연어를 숲속으로 끌고 가고, 숲에서는 곤충과 균류가 연어를 나무의 먹이로 만들며, 그런 다음 나무는 가지 안에 새들의 집을, 뿌리 밑 굴 안에 늑대의 집을 제공한다.
When a tree falls over in a big windstorm, berry bushes grow on the fallen tree and insects decompose the wood.
나무가 큰 폭풍에 쓰러지면, 산딸기 덤불이 쓰러진 나무 위에서 자라며 벌레가 목재를 분해한다.
Bears eat the berries and also insects such as ants and termites that live in the fallen log.
곰은 산딸기류와 쓰러진 통나무 안에 사는 개미와 흰개미 같은 곤충을 먹기도 한다.
Sometimes wolves eat bears, but mostly they eat salmon and the deer that live among the big trees.
때로는 늑대가 곰을 먹지만 대부분은 연어와 큰 나무들 사이에서 사는 사슴을 먹는다.
People also eat salmon and deer, and use the bark and wood of the cedar trees.
사람들도 연어와 사슴을 먹으며 삼나무의 껍질과 목재를 사용한다.
Changes to one part of this ecosystem, even a small part, have consequences for everything else.
이 생태계의 한 부분, 심지어 작은 부분에서의 변화는 다른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친다.
Our futur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future of the insects of the soil and the frogs and salmon of the rainforest.
우리의 미래는 토양의 곤충과 열대 우림의 개구리와 연어의 미래와 분리될 수 없다.
5-6. 소재: 좋은 습관을 들이는 것의 중요성
5-6. 소재: 좋은 습관을 들이는 것의 중요성
Aristotle said, “We are what we repeatedly do. Excellence, then, is not an act but a habit.”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가 반복적으로 행하는 것이 우리 자신이다. 그렇다면 탁월함은 행동이 아닌 습관인 것이다.”라고 말했다.
Developing conscious habits is a tool to achieve an integrated life.
의식적인 습관을 익히는 것은 원만한 삶을 이루는 도구이다.
Developing good or productive habits and eliminating bad or destructive habits involves looking at what you need to implement in your life, as well as what you need to eliminate.
좋거나 생산적인 습관을 익히고 나쁘거나 파괴적인 습관을 없애는 것은 여러분이 여러분의 삶에서 무엇을 없앨 필요가 있는지 뿐만 아니라 무엇을 실행할 필요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수반한다.
Stephen Covey says, “Our character basically is a composite of our habits.”
Stephen Covey는 “우리의 품성은 기본적으로 우리의 습관들이 합쳐진 것이다.”라고 말한다.
Take a look at your habits and ask yourself what is moving you closer to your goals and what is moving you away from them.
자신의 습관을 살펴보고 무엇이 여러분을 여러분의 목표에 더 다가가게 하는지 그리고 무엇이 여러분을 그것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지 스스로에게 물어보라.
Understand that it takes 21 days to begin a new habit (that’s 21 consecutive days, so yes, every time you do something new...or choose not to...it does make a difference), so this relatively painful process of change isn’t indefinite, it just takes a few weeks —and on the 22nd day, it will actually be harder for you to not do your new habit than it will be to continue doing it.
새로운 습관을 시작하는 데 21일이 걸린다는 것을 이해하라. (그것은 연속적인 21일이다, 그렇다, 여러분이 새로운 어떤 것을 할 때마다… 또는 …하지 않기로 선택할 때마다, 그것이 차이를 만든다.) 그래서 이 비교적 고통스러운 변화의 과정은 무한하지 않고, 단 몇 주가 걸릴 뿐이다. 그리고 22번째 되는 날, 여러분이 새로운 습관을 지속하는 것보다 그것을 하지 않는 것이 실제로 더 어려울 것이다.
5-7. 소재: 지속 가능한 패션을 위해 패션 산업이 나아갈 방향
5-7. 소재: 지속 가능한 패션을 위해 패션 산업이 나아갈 방향
Globalization drives the culture of fast fashion. Currently, there is also a lightly different drive to promote the idea of transitioning to slow fashion.
세계화는 패스트패션 문화의 추진 동력이다. 현재, 슬로패션으로 이동하려는 생각을 촉진하는 조금 다른 추진 동력도 있다.
However, this gradual shift requires time, measured not in months or years but in decades or generations.
그러나, 이 점진적인 변화는 시간을 필요로 하며, 몇 달 혹은 몇 년이 아니라 수십 년이나 수 세대 단위로 측정된다.
Recycling and remanufacturing which do not equate with models in nature always lead to a question mark.
자연의 모델과 동일하지 않은 재활용과 재생은 언제나 의문 부호로 이어진다.
Therefore, a different approach to address the challenges facing sustainable fashion is absolutely necessary.
그러므로, 지속 가능한 패션이 직면한 어려운 문제들을 다루기 위한 또 다른 접근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We suggest the shift should be directed towards nature.
우리는 그 변화가 자연을 향해야 한다고 권고한다.
We must try and discover the mechanisms that drive nature’s incessant creation of organisms without piling up mountains of waste.
우리는 산더미 같은 쓰레기를 쌓아올리지 않고서 자연이 끊임없이 유기체를 만들어 내게 하는 메커니즘들을 찾으려고 노력해야 한다.
Researchers have already begun the study of biodegradation, mineralization and biomass formation, which is nature’s way of creating zero waste.
연구자들은 이미 생물 분해, 무기질화 그리고 생물량 형성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는데, 이는 쓰레기를 만들어 내지 않는 자연의 방법이다.
Discovery of the laws of zero waste in nature could then be mimicked in the production of fast-compostable textile fibres.
그렇다면 자연에서 쓰레기 제로의 법칙을 발견하는 것은 빠르게 퇴비화 될 수 있는 직물 섬유의 생산에 모방될 수 있을 것이다.
5-8. 소재: 학령기의 아이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칭찬
5-8. 소재: 학령기의 아이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칭찬
Praise that arouses delight and pride in a baby and toddler can have very different effects on older children, particularly in the classroom.
아기와 걸음마를 배우는 아이에 기쁨과 자부심을 불러일으키는 칭찬은 나이가 더 든 어린이들에게, 특히 교실에서는, 아주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When Roy Baumeister studied the effects of praise, he found that it generated more anxiety than pleasure in school-aged children.
Roy Baumeister가 칭찬의 영향에 대해 연구했을 때 그는 그것이 학령기의 어린이들에게는 기쁨보다는 불안감을 더 많이 만들어 냈다는 것을 발견했다.
Children accustomed to the background hum of praise seemed to become dependent on praise to initiate any activity.
칭찬이라는 배경 소음에 익숙해 있는 어린이들은 어떤 활동이든 시작하려면 칭찬에 의존하게 되는[칭찬이 있어야 하는] 것처럼 보였다.
A child who was accustomed to classroom praise spent less time focusing on a project and soon stopped working to wait for a teacher’s assessment.
교실 칭찬에 익숙해진 어린이는 프로젝트에 집중하는 데에는 시간을 적게 보냈고 곧 교사의 평가를 기다리기 위해 작업을 멈췄다.
Praise seemed to hinder concentration, too.
또한, 칭찬은 집중을 방해하는 것처럼 보였다.
Children’s absorption in a task (often called flow) seemed to be disrupted by the reminder that someone was watching.
어린이가 과제에 몰두하는 것(많은 경우 ‘몰입’이라고 하는데)은 누가 보고 있다는 것이 상기됨으로써 방해를 받는 것 같았다.
When they were singing or playing an instrument, swimming or hitting a ball, or doing anything that involved deep skills run on autopilot, their performance was particularly badly affected by praise.
그들이 노래하거나 악기를 연주하거나, 수영하거나 공을 치거나, 또는 자동으로 작동되는 심오한 기술과 관련된 어떤 것이든 할 때, 그들의 수행은 칭찬에 매우 나쁘게 영향을 받았다.
8-1. 소재: 아이들이 친구를 사귀는 다양한 방식
8-1. 소재: 아이들이 친구를 사귀는 다양한 방식
Children learn a great many useful life lessons from friendship problems.
아이들은 아주 많은 유용한 삶의 교훈을 교우 관계의 문제에서 배운다.
It is, almost always, a mistake to step in too soon to protect them from this-sometimes literally-hands-on learning.
때로는 말 그대로 실제 경험을 통해 배우는 이런 학습으로부터 그들을 보호하기 위해 너무 일찍 개입하는 것은 거의 항상 잘못이다.
It is also a mistake to assume that every child, either boy or girl, is going to have the same pattern of friends as you do.
남자아이든 여자아이든 모든 아이가 여러분이 사귀는 것과 똑같은 유형의 친구를 사귈 것이라고 당연히 생각하는 것도 또한 잘못이다.
Childre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different from their parents.
아이들은 서로 다르고, 부모와도 다르다.
Some prefer to have, or simply end up with, a larger group of friends with no one person standing out as a special friend.
어떤 아이들은, 어느 누구도 특별한 친구로 두드러지지 않은 채 더 큰 무리의 친구들을 사귀는 것을 선호하거나, 그냥 결국 그렇게 된다.
Some will be content with serial best friends, just one or two of them at a time, and are not, therefore, invited to all the parties but are content.
어떤 아이들은 한 번에 그저 한두 명씩 일련의 아주 친한 친구들에 만족할 것이고, 따라서 모든 파티에는 초대 받지 않지만 만족한다.
And some children are quite happy with few or no friends.
그리고 어떤 아이들은 특정한 친구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어도 상당히 행복해한다.
These children will often have passions and interests that they can follow intently at home and may find the general play of the playground dull.
이런 아이들은 흔히 집에서 열심히 추구할 수 있는 열정과 흥미를 가지고 있을 것이고, 운동장에서 하는 일반적인 놀이를 지루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8-2. 소재: 타인의 시선에 흔들리지 않는 방법
8-2. 소재: 타인의 시선에 흔들리지 않는 방법
Have you ever been to an event and had someone else’s reaction make you feel totally out of place?
여러분이 어떤 행사에 갔는데 다른 누군가의 반응으로 인해 여러분이 완전히 못 올 데에 온 것처럼 느끼게 된 적이 있는가
At the beginning of the evening you felt spectacular, but one strange look or slight awkward laugh made you feel that you had committed a fashion sin.
저녁 초입 무렵에는 여러분이 환상적인 기분이었는데, 한 번의 이상한 눈길 또는 약간 어색한 웃음이 여러분이 차림새 상의 죄를 저질렀다고 느끼게 만들었다.
Who hasn’t been in that position?
누가 그런 입장이 되어 보지 않은 적이 있을까
One person, looking us up and down, makes us feel smaller for having what we have and dressing in what we wear.
한 사람이 우리를 위아래로 훑어보며,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과 우리가 입고 있는 것에 대해 우리를 초라한 기분이 들도록 만든다.
If this person is willing to judge others so harshly, though, imagine how often she judges herself.
그렇지만 만약 이 사람이 다른 사람을 기꺼이 그렇게 가혹하게 판단한다면, 그녀가 자기 자신을 얼마나 자주 판단할지 상상해보라.
If you know who you are, such a person will not be able to tear you down by simply projecting her insecurity onto you.
만약 여러분이 자신이 누구인지 안다면, 그런 사람은 자기 자신에 대한 확신이 없음을 그저 여러분에게 투사함으로써 여러분을 무너뜨릴 수는 없을 것이다.
You will never feel the need to win the affection of such a person if you are content with what you have under your clothes and under your skin.
만약 여러분이 여러분의 옷 속과 피부 속에 갖고 있는 것에 만족한다면 여러분은 그런 사람의 애정을 얻을 필요성을 절대 느끼지 않을 것이다.
8-3. 소재: 기존의 이념에 대한 변화의 정신을 담고 있는 비엔날레
8-3. 소재: 기존의 이념에 대한 변화의 정신을 담고 있는 비엔날레
Today biennales are the centre stage for contemporary art in the art world.
오늘날 예술계에서 비엔날레는 현대예술의 중심무대이다.
Not only do they showcase and discuss the nature of contemporary life, but they also differ from the modern world fairs, because they explicitly project multiple fractured histories and identities.
비엔날레는 우리의 현대적인 삶의 본질을 보여주고 논할 뿐 아니라, 파편화된 역사와 정체성을 숨김없이 보여주기 때문에 현대 세계 박람회와 또한 구별된다.
The desire to overturn previous political and theoretical structures is central to the discussions around contemporary biennales.
이전의 정치적 이론적 구조를 전복시키려는 욕망은 현대 비엔날레를 둘러싼 논의의 중심에 서있다.
For instance, when asked ‘What makes a biennial?’ world-renowned curator Rosa Martinez answered that ‘The idea biennial is a profoundly political and spiritual event.
예컨대, ‘비엔날레를 구성하는 것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세계적으로 유명한 큐레이터 Rosa Martinez는 ‘비엔날레라는 개념은 지극히 정치적이고 영적인 행사이다.
It contemplates the present with the desire to transform it’, and is indicative of a larger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flow within contemporary society.
그것은 현재를 변형시키고자 하는 욕망을 가지고서 현재를 고찰하고,’ 현대 사회 내부의 보다 큰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고 답했다.
We might even say that biennales are perceived as trendsetters, or predictors of intercultural flows that focus on the political nature of art in a global setting.
우리는 심지어 비엔날레가 유행선도자, 즉 전 세계적 환경에서 예술의 정치성에 초점을 맞추는 (이종)문화 간의 흐름의 예언자로 인식되고 있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8-4. 소재: 영장류 사회에서 젊은 수컷 동료 집단의 기능
8-4. 소재: 영장류 사회에서 젊은 수컷 동료 집단의 기능
Peer groups of young males in nonhuman primate societies, called bachelor groups, serve a variety of functions.
인간 외의 영장류 사회에서 총각 집단이라고 불리는 젊은 수컷들의 또래 집단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In squirrel monkeys males approaching breeding age become social outcasts; their mothers and sisters want nothing to do with them.
다람쥐원숭이 무리에서 번식 연령에 접어드는 수컷들은 사회적으로 버림을 받는데, 즉 그들의 어미와 자매들은 그들과 엮이고 싶어 하지 않는다.
Young males may travel together separately from or on the edge of a large troop of monkeys –either of which affords them more protection than traveling alone.
젊은 수컷들은 원숭이들의 커다란 무리와 떨어져 별개로 또는 그 무리의 주변에서 함께 다닐지도 모르는데 이렇게 하면 어느 쪽도 혼자 다니는 것보다 그들에게 더 많은 보호를 제공해 준다.
In species such as langurs and rhesus monkeys, groups of young males commonly depart together in search of a new living community.
랑구르 원숭이와 붉은 털 원숭이 같은 종에서, 젊은 수컷 집단은 새로운 생활 공동체를 찾아 흔히 함께 떠난다.
Peer groups function differently for male chimpanzees, who don't emigrate.
수컷 침팬지들에게 있어서 또래 집단은 (그와는) 다르게 기능을 하는데, 그들은 이주를 하지 않는다.
They may patrol their home range together to deter males from other groups from getting into their community.
그들은 다른 집단의 수컷들이 자기들의 군집에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자신들의 활동 범위를 함께 순찰할 수도 있다.
They also hunt cooperatively and share the food, and groom one another in deference to rank or coalition partnership.
그들은 또한 협력하고 사냥하고 음식을 나누며, 서열 또는 연합 동반자 관계를 고려하여 서로 털을 다듬어 준다.
8-5. 소재: 새로운 관념에 대한 태도
8-5. 소재: 새로운 관념에 대한 태도
Even after people learned the scientific method, many still pursued and believed in really weird things, and many old ideas died hard deaths.
심지어 사람들이 과학적 방법을 배운 이후에도, 많은 이들은 여전히 정말로 이상한 일들을 추구하고 믿었으며, 많은 오래된 관념들이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It’s hard to believe, but even simple things such as washing your hands to prevent infection were not fully accepted by the medical community until relatively recently on the human timeline.
믿기 어렵지만,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씻는 것과 같은 간단한 일조차도 인간의 연대표상에서 비교적 최근까지 의료계에 의해 완전히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Even after it was discovered and documented that washing hands drastically reduced deadly fevers, the idea took a while to catch on.
손을 씻는 것이 치명적인 열병을 급격하게 줄인다는 것이 발견되고 서류로 입증된 이후에도, 그 생각은 인기를 얻을 때까지 시간이 걸렸다.
It was just too revolutionary, too weird.
그것은 정말이지 너무 혁명적이었고 너무 이상했다.
The idea of germs and microscopic organisms challenged a variety of other ideas, including that the source of disease was probably linked to things that stank, which was sort of true when you thought about it.
세균과 미생물에 대한 생각은, 생각해보면 어느 정도 사실인, 질병의 근원이 아마도 고약한 냄새가 나는 것들과 연관이 있으리라는 것을 포함하여 여러 다른 생각들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In a world that had already invented the telephone and the lightbulb, hand-washing to prevent sickness met enough resistance that doctors argued about it for decades.
전화와 전구를 이미 발명한 세상에서, 병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씻는 것은 의사들이 수십 년 동안 그것에 대해 논쟁을 벌일 정도로 충분한 저항에 부딪혔다.
8-6. 소재: 1980년대 빈곤국들의 현실
8-6. 소재: 1980년대 빈곤국들의 현실
The 1980s, a time of true global interdependence, was a lost decade for many economically disadvantaged countries.
진정한 세계적 상호 의존의 시대였던 1980년대는 많은 경제적으로 빈곤한 국가들에게는 잃어버린 10년이었다.
Despite consistent reductions in mortality rates and other disease burdens, a marked deterioration in living conditions occurred in many countries.
사망률과 다른 질병 부담의 지속적인 감소에도 부룩하고, 생활 여건의 현저한 악화가 많은 국가에서 일어났다.
In several regions, most notably Latin America and sub-Saharan Africa, advances in health care and education eroded.
몇몇 지역, 가장 두드러지게 라틴아메리카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 보건과 교육에서의 발전이 서서히 줄었다.
Unemployment rates rose in many parts of the world, as did the global poverty rate.
범세계적으로 빈곤률이 상승한 것처럼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실업률이 상승했다.
By 1989, one out of five people was living in “absolute poverty,” which the World Bank defines as suffering from malnutrition to the point of being unable to work.
1989년 무렵에는, 다섯 명 중 한 명이 ‘절대 빈곤’ 속에서 살고 있었는데, 세계은행은 그것을 일할 수 없을 수준까지 영양실조로 고통을 받는 것으로 정의한다.
By the end of the 1980s, low-income countries had accumulated a debt of $1.3 trillion.
1980년 말 무렵에는, 저소득 국가들은 이미 1. 3 조 달러의 채무가 누적되었었다.
Crippled by massive debt burdens, many countries saw their growth rates slow and living standards decrease.
거대한 채무 부담에 의해 제 기능을 못하게 되어, 많은 국가들은 자국의 성장률 둔화와 생활수준 하락을 겪었다.
8-7. 소재: 사람들이 신뢰와 충실성을 갖게 되는 이유
8-7. 소재: 사람들이 신뢰와 충실성을 갖게 되는 이유
Companies that inspire, companies that command trust and loyalty over the long term, are the ones that make us feel we’re accomplishing something bigger than just saving a dollar.
영감을 주는 회사, 장기간에 걸쳐 신뢰와 충실성을 받는 회사는 우리가 그저 1달러를 아끼는 것보다 더 큰 것을 성취하고 있다고 느끼게 하는 회사이다.
That feeling of alliance with something bigger is the reason we keep wearing the jersey of our hometown sports term even though they have not made it to the playoffs for ten years.
더 큰 것과 연결되어 있다는 그 느낌은 우리 고향의 스포츠 팀이 10년 동안 우승 결정전에 나가지 못했어도 우리가 그 팀의 운동복 셔츠를 계속 입는 이유이다.
It’s why some of us will always but products from a certain brand over other brands, even if the brand isn’t always the most affordable choice.
그것이 특정한 브랜드가 항상 가장 가격이 알맞은 선택이 아닐지라도 우리들 중 일부가 다른 브랜드보다 그 브랜드의 제품을 항상 사게 되는 이유이다.
Whether we like a admit it or not, we are not entirely rational beings.
우리가 인정하고 싶든 아니든, 우리가 전적으로 합리적인 존재인 것은 아니다.
If we were, no one would ever fall in love and no one would ever start a business.
만일 우리가 그렇다면, 누구도 사랑에 결코 빠지지 않을 것이고 누구도 사업체를 결코 시작하지 않을 것이다.
Face with an overwhelming chance of failure, no rational person would ever take either of those risks.
엄청난 실패의 위험에 직면할 경우, 합리적인 사람이라면 어느 누구도 그런 위험 어느 쪽도 결코 무릅쓰지 않을 것이다.
But we do.
그러나 우리는 그렇게 한다.
Every day.
매일 그렇게 한다.
Because how we feel about something or someone is more powerful than what we think about it or them.
우리가 어떤 물건이나 사람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가는 우리가 그것이나 그 사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 지보다 더 강력하기 때문이다.
8-8. 소재: 기억력 신장 기법
8-8. 소재: 기억력 신장 기법
Ironically, some of the most powerful techniques for boosting your memory are also the oldest.
역설적이게도, 여러분의 기억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가장 강력한 기법들 중 일부는 또한 가장 오래되기도 했다.
Under the umbrella term ‘Mnemonics’ it has a silent ‘M’, these involve tapping into the fact that our brains have evolved to deal very well with both visual images and spatial locations.
‘기억술’ (묵음 ‘M’이 들어 있다)이라는 포괄적 용어 속에 이 기법들은 우리의 두뇌가 시각적 이미지와 공간적 장소 둘 다를 매우 잘 다루도록 진화했다는 사실을 활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By turning facts into mental images, and imagining them along a route of locations, you can harness these natural memory powers to remember almost anything you like.
사실을 정신적 이미지로 바꾸고 그것들을 장소의 경로를 따라 상상함으로써, 여러분은 이 타고난 기억 능력을 여러분이 좋아하는 거의 모든 것을 다 기억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The more improbable and emotionally charged the images the better, as our brains evolv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ose features.
그 이미지가 더 사실일 것 같지 않고 더 감정적으로 북받칠수록 더 좋은데, 우리의 두뇌가 그런 특징들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도록 진화했기 때문이다.
Another part of your imagination that can boost your memory is your musical sense.
여러분의 기억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여러분의 상상력의 또 다른 부분은 여러분의 음악적 감각이다.
Rhythm and rhyme are potent memory boosters.
리듬과 운율은 강력한 기억력 증폭기이다.
This explains why you might find it hard to remember the periodic table of elements, yet your memory banks are overflowing with old jingles!
이것은 왜 여러분이 원소의 주기율표를 기억하는 것은 어렵다고 여길지도 모르지만, 여러분의 기억 저장소가 오래된 광고 시엠송으로 넘쳐흐르는지를 설명해준다.
9-1. 소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종차별 정책과 스포츠
9-1. 소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종차별 정책과 스포츠
Racially, South Africa is a nation deeply divided.
인종적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은 대단히 분열된 국가이다.
Sport has helped to break down this division, at least in part.
스포츠는 최소한 부분적으로라도 이런 분열을 허물어뜨리는 데 도움이 되었다.
When the whites in South Africa held an election to decide whether to put an end to apartheid, 69 percent voted to give up their privilege, marking a rare peaceful transition of power.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백인들이 아파르트헤이트를 폐지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선거를 시행했을 때, 69퍼센트가 그들의 특권을 포기하기로 투표했는데, 이는 흔치 않은 평화로운 권력의 이동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One reason for the favorable vote was South African President F. W. de Klerk’s warning that failure to pass the measure would return the country to isolation in business and sport.
이 우호적인 투표의 이유 한 가지는 그 조치를 통과시키는 데 실패하면 그 나라가 사업과 스포츠에서 고립 상태로 되돌아갈 것이라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대통령인 F. W. de Klerk의 경고였다.
South Africa had last participated in the Olympics in 1960 and had been barred since then from international competition.
남아프리카공화국은 1960년에 올림픽에 마지막으로 참가했었고 그 이후로 국제 경기에서 금지 당했었다.
Its apartheid racial policies had made it a pariah country in everything from politics to sports for three decades.
그 나라의 아파르트헤이트 인종차별 정책은 그 나라를 30년 동안 정치부터 스포츠까지 모든 것에서 따돌림 받는 나라로 만들었었다.
With apartheid undone, South Africans could once again show their athletic ability.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무효화되면서, 남아프리카공화국 사람들은 다시 한 번 자신들의 운동 경기의 역량을 보여줄 수 있었다.
This was a compelling argument for many whites.
이것은 많은 백인들에게 설득력 있는 논거였다.
Subsequently, South Africa has been allowed to compete in the Olympics and in other worldwide competitions, especially in rugby, which is very important to its people.
이후에,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올림픽과 다른 전 세계적인 경기에, 특히 그 나라 국민들에게 매우 중요한 럭비 경기에 참가하도록 허용되었다.
9-2. 소재: 희박한 공기가 운동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9-2. 소재: 희박한 공기가 운동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Of greater importance than the slight reduction in gravity’s pull is the so-called thin air that is present at high altitudes.
중력의 잡아당기는 힘이 약간 감소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고도가 높은 곳에 존재하는 이른바 희박한 공기이다.
Although air contains the same proportions of oxygen, nitrogen, and other gases at high altitudes as at sea level, in a similar volume of air there is less of each the higher up in altitude you go.
공기는 고도가 높은 곳에서도 해수면 높이와 같은 비율로 산소, 질소, 그리고 다른 기체들을 함유하지만 여러분이 고도를 더 높이 올라갈수록 비슷한 부피의 공기에 각각의 기체가 더 적게 존재한다.
This characteristic greatly affected athletes who competed in the 1968 Olympic Games in Mexico City, which is 7,350 ft(2,240 m) above sea level.
이 특징은 멕시코시티에서 개최된 1968년의 올림픽 경기에서 경쟁하였던 선수들에게 크게 영향을 미쳤는데, 그곳은 해발 고도가 7,350피트(2,240미터)이다.
In Mexico City, athletes had to breathe more vigorously and more often to get the oxygen they needed.
멕시코시티에서, 선수들은 자신들이 필요한 산소를 얻기 위해 더 힘차게 그리고 더 자주 숨을 쉬어야 했다.
This caused a serious problem for athletes in endurance events, but it assisted athletes in short sprints because they ran on their bodies’ stored energy supplies.
이것은 지구력을 필요로 하는 경기에서 선수들에게 심각한 문제를 야기했지만 단거리 경주에서는 선수들에게 도움이 되었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신체에 저장된 에너지 비축량으로 달렸기 때문이다.
When Bob Beamon set his world record in the long jump in Mexico City, he benefited from a slight reduction in gravity, reduced air resistance from less dense air, and the fact that his approach was a short spring and not a distance run.
Bob Beamon이 멕시코시티에서 멀리뛰기 세계 신기록을 세웠을 때, 그는 약간의 중력의 감소, 밀도가 더 낮은 공기로부터 오는 감소된 공기 저항, 그리고 그의 도움닫기가 단거리 달리기이지 장거리 달리기가 아니라는 사실에서 득을 보았다.
9-3. 소재: 태양 에너지와 풍력의 장점
9-3. 소재: 태양 에너지와 풍력의 장점
태양 에너지와 풍력은 석탄, 석유, 그리고 천연가스를 원료로 하는 화석 연료 기반의 에너지 발전의 대안으로 여겨지는데, 이들 (석탄, 석유, 그리고 천연가스)은 21세기 초반에 전 세계의 에너지 생산을 주도하고 있다.
Solar power and wind power are considered alternatives to fossil-fuel-based energy generation from coal, petroleum, and natural gas, which predominate worldwide energy production at the start of the 21st century.
두 에너지는 모두 화석 연료 기반의 에너지 발전의 가장 흔한 부정적인 결과로 간주되는 것, 즉 대기 오염을 해결한다.
Both of them solve what is seen as the most prevalent negative consequence of fossil-fuel-based energy generation: air pollution.
이것은 화학 물질, 입자상 물질, 유기 화합물, 독성 물질, 기후 변화를 일으키는 배기가스로 인한 대기 오염을 포함한다.
This includes air pollution from chemicals, particulate matter, organic compounds, toxic materials, and the emissions that lead to climate change.
태양 에너지와 풍력은 재생 가능한 에너지 생산 원천이어서 감소하는 공급량의 부정적인 결과를 겪지 않기 때문에 또한 인기가 있다.
Solar power and wind power are also popular because they are renewable sources of energy production and so do not suffer the negative consequence of diminishing supplies.
그것들은 또한 자국의 에너지 생산 원천이어서 적대국일 수 있는 곳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지 않는다.
They are also domestic sources of energy production and so are not dependent on imports from what may be hostile countries.
마지막으로 태양 에너지와 풍력은 골고루 퍼뜨릴 수 있는 기술력을 가지는데, 이는 그것들이 때로 분산형 에너지 발전 원천이라고 불리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Finally, solar power and wind power have the technical capability to be distributed, meaning they are what is sometimes referred to as decentralized energy generation sources.
그것들은 개인 주택과 소규모 지역에 배치될 수 있어서, 대규모 정전, 테러 공격, 또는 여타의 중앙 집중식 취약성의 영향을 받기 쉬울 수 있는 대규모 단일 발전소에 의존하지 않는다.
They can be placed on individual homes and in small areas and do not rely on large, single generation stations that can be subject to large-scale blackouts, terrorist attacks, or other centralized vulnerabilities.
9-4. 소재: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의 긍정적 효과
9-4. 소재: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의 긍정적 효과
Loneliness and lack of self-esteem are among the most obvious conditions which can be alleviated by living with an animal friend.
외로움과 자존감 부족은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질환에 속한다.
You are never alone with a dog or cat: walking the dog brings you into contact with other people and makes it infinitely easier to strike up a conversation with strangers.
개나 고양이와 함께라면 절대로 외롭지 않은데, 개를 산책시키는 것은 여러분이 다른 사람과 접촉하게 해주며 낯선 사람과 대화를 시작하는 것을 훨씬 더 쉬워지도록 해 준다.
Local cat owners often get to know one another too, as it is common for cats to wander into their neighbours’ gardens (and houses!) and for neighbours to exchange cat-sitting duties during holiday times.
고양이가 이웃의 정원 (그리고 집!)으로 유유히 걸어 들어가는 일이나 이웃들이 휴가 기간 동안 고양이를 돌보는 임무를 서로 교환하는 일이 흔하기 때문에, 지역의 고양이 주인들 역시 흔히 서로를 알게 된다.
Having the responsibility for a pet can increase your sense of your own value and importance.
애완동물을 책임지는 것은 여러분 스스로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다.
Caring for an animal reminds you that however low you might feel, you are capable.
동물을 돌보는 것은 여러분이 아무리 무기력하게 느낄지라도 여러분이 능력이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상기시켜준다.
When you’re tempted to stay in bed and pull the covers over your head, you have to get up and feed the cat or walk the dog.
침대에 머물러 이불을 뒤집어쓰고 싶은 유혹을 느낄 때, 여러분은 ‘필히’ 일어나서 고양이에게 밥을 주거나 개를 산책시켜야 한다.
That everyday routine with a creature who needs you can be extremely soothing.
여러분을 필요로 하는 동물과 함께 하는 그 매일의 일상이 매우 큰 위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9-5. 소재: 복합적 개인의 사고방식
9-5. 소재: 복합적 개인의 사고방식
Very briefly, the complex individual is one who can see things from another person’s point of view and who is flexible in his/her thought processes.
아주 간단히 말해서, 복합적 개인은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사물을 볼 수 있고 자신의 사고 과정에 있어서 융통성이 있는 사람이다.
For example, they are able to change their minds on an issue in the light of new information rather than rigidly “sticking to their guns.”
예를 들어, 그들은 한 쟁점에 대해 완고하게 ‘자기입장을 고수하기’보다는 새로운 정보의 관점에서 자기 생각을 바꿀 수 있다.
They also tend to avoid what might be called “black and white” thinking.
그들은 또한 ‘흑백’ 사고라고 불리는 것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For example, the positions of others on an issue are not lumped into the two categories of those for them and those against them but rather shades of differences or gradations of opinion are recognized and taken into account.
예를 들어, 어떤 쟁점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입장이 그 쟁점에 찬성하는 입장과 반대하는 입장의 두 개의 범주 속으로 일률적으로 다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의견의 근소한 차이나 단계적 차이가 인정되고 고려된다.
Thus, they realize that the truth of a matter often lies somewhere in between two extremes.
따라서 그들은 어떤 문제의 진실은 종종 두 극단 사이 어딘가에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Last but not least, the complex person seems better able to hold off on a decision allowing more information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마지막으로 다른 어느 것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복합적 개인은 더 많은 정보가 고려될 수 있도록 하면서 결정을 더 잘 보류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9-6. 소재: 사고와 사망자의 감소를 위한 도로 디자인
9-6. 소재: 사고와 사망자의 감소를 위한 도로 디자인
Many thought that Hans Monderman, a Dutch traffic engineer, had hit his head on a mental speed bump during his early years.
많은 사람들은 네덜란드의 교통 공학자인 Hans Monderman이 자신의 초창기에 마음속의 과속 방지턱에 머리를 부딪쳤다고 [제정신이 아니었다고] 생각했다.
Wouldn’t the lack of signs, markings, and barriers cause destruction and death?
표지판, 표시, 그리고 장벽의 부재가 파괴와 죽음을 유발하지 않을까
Yet the engineer persisted in his belief that traffic signals, crosswalks, warning signs, curbs, and even lines painted down the middles of the road are not just annoying, but downright dangerous to drivers and pedestrians alike.
그러니 그 공학자는 신호등, 횡단보도, 주의 표지판, 도로 경계석, 그리고 심지어 도로 중앙에 그려진 선들도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에게 성가실 뿐만 아니라 매우 위험하기도 하다는 자신의 신념을 고집했다.
He proposed integrating vehicle and foot traffic, in order to create a more holistic driving environment.
그는 더 전체적인 운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차량과 도보 통행의 통합을 제안했다.
Few would listen; however, Monderman was patient.
귀를 기울이는 사람은 거의 없었지만 Monderman은 조바심을 내지 않았다.
By the early twenty-first century, Dutch officials finally gave him the green light to test his theories in a number of small towns there.
21세기 초에 들어서 네덜란드 관리들은 마침내 그곳에 있는 다수의 작은 도시에서 그의 이론을 실험하는 것에 대해 그에게 허가를 내주었다.
The data astonished skeptics.
데이터는 회의적인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Within several years, h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s in accidents and lost lives, causing his revolutionary ideas to reverberate around a traffic-clogged world.
몇 년 안에, 그는 사고와 사망자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를 보여 주었고 그의 획기적인 생각이 교통으로 꽉 막힌 세상에 반항을 불러일으키게 했다.
9-7. 소재: 동반자 관계의 나무들
9-7. 소재: 동반자 관계의 나무들
The average tree grows its branches out until it encounters the branch tips of a neighboring tree of the same height.
보통의 나무는 이웃하고 있는 같은 높이의 나무의 가지 끝을 만날 때까지 가지를 뻗는다.
It doesn’t grow any wider because the air and better light in this space are already taken.
이 공간에서 공기와 더 좋은 빛이 이미 취해지기 때문에 그것은 폭이 더 넓게 자라지 않는다.
However, it heavily reinforces the branches it has extended, so you get the impression that there’s quite a shoving match going on up there.
그러나 그것[나무]은 뻗은 가지들을 매우 강화하므로, 여러분은 저 위에서 꽤 거칠게 밀치는 시합이 벌어지고 있다는 인상을 받게 된다.
But a pair of true friends is careful right from the outset not to grow overly thick branches in each other’s direction.
그러나 한 쌍의 진정한 친구들은 바로 시작부터 서로의 방향으로 지나치게 두꺼운 자라게 하지 않도록 조심한다.
The trees don’t want to take anything away from each other, and so they develop sturdy branches only at the outer edges of their crowns, that is to say, only in the direction of “non-friends.”
나무들은 서로에게서 어떤 것도 빼앗아 가고 싶지 않기 때문에, 그것들은 꼭대기의 외부 가장자리에서만, 다시 말하면 ‘친구가 아닌 것들’의 방향으로만 튼튼한 가지를 뻗는다.
Such partners are often so tightly connected at the roots that sometimes they even die together.
그러한 동반자 관계의 나무들은 흔히 뿌리에서 단단히 연결되어 있어서 때로는 함께 죽기조차 한다.
9-8. 소재: 과부하가 걸린 작동 기억
9-8. 소재: 과부하가 걸린 작동 기억
The amount of information entering our consciousness at any instant is referred to as our cognitive load.
어떤 순간이든 우리의 의식에 들어가는 정보의 양을 인지 부하라고 한다.
When out cognitive load exceeds the capacity of our working memory, our intellectual abilities take a hit.
우리의 인지 부하가 작동 기억의 능력을 초과할 때, 우리의 지적 능력은 타격을 입는다.
Information zips into and out of our mind so quickly that we never gain a good mental grip on it.
정보가 머릿속으로 너무 빠르게 들어가고 나와서 우리는 그것을 정신적으로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
(Which is why you can’t remember what you wen to the kitchen to do.)
(이로 인해 여러분은 부엌에 무엇을 하려고 간 것인지를 기억하지 못한다.)
The information vanishes before we’ve had an opportunity to transfer it into our long-term memory and weave it into knowledge.
그 정보는 우리가 장기 기억으로 옮겨서 지식으로 엮어 넣을 기회를 가지기 전에 사라진다.
We remember less, and our ability to think critically and conceptually weakens.
우리는 덜 기억하고, 우리가 비판적이고 개념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은 약해진다.
An overloaded working memory also tends to increase our distractedness.
과부하가 걸린 작동 기억은 또한 주의 산만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After all, as the neuroscientist Torkel Klingberg has pointed out, “We have to remember what it is we are to concentrate on.”
결국, 신경과학자인 Torkel Klingberg가 지적했듯이, “우리는 집중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기억해야 한다.”
Lose your hold on that and you’ll find “distractions more distracting”
그것을 놓치면 여러분은 “집중을 방해하는 것들이 더 산만하게 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10-1. 소재: 재기에 성공한 야구선수 Tim Wallach
10-1. 소재: 재기에 성공한 야구선수 Tim Wallach
Tim Wallach, the third baseman for the Los Angeles Dodgers, was ready to hang it up.
LA 다저스의 3루수, Tim Wallach는 야구를 그만둘 준비가 되어 있었다.
Once a great hitter, he had been batting poorly for two consecutive seasons.
한때 위대한 타자였던 그는 두 시즌 연이어 타격이 좋지 않았다.
But Reggie Smith, a first-year batting coach on the team, wouldn’t let Wallach quit.
하지만 팀의 1년차 타격 코치인 Reggie Smith는 Wallach를 그만두게 하려고 하지 않았다.
He encouraged him and told him that he could get his “stroke” back with a little extra work.
그는 그를 격려했고 약간의 추가적인 노력으로 그가 자신의 ‘타격’을 되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So during the off-season, Smith worked with him three times a week.
그래서 오프 시즌 기간에 Smith는 일주일에 세 번씩 그와 함께 연습했다.
This is the way Wallach described those sessions: “Reggie was positive from day one.
Wallach가 그 기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Reggie는 첫날부터 긍정적이었습니다.
Regardless of whether I felt I was having a bad day and was struggling, he’d find something good about what happened.
제가 힘든 하루를 보내고 있고 허우적거리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그는 일어난 일에 대해 좋은 점을 발견하려고 했습니다.
You just don’t see that often.
우리는 정말 그것[좋은 점]을 자주 보지는 못합니다.
People tend to work off the negatives, but Reggie wouldn’t do that, and he wouldn’t let me do it either.”
사람들은 부정적인 것들을 제거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Reggie는 그렇게 하지 않으려 했고, 제가 그렇게 하는 것도 또한 허용하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Wallach finished the year with twenty-three home runs and a .280 batting average.
Wallach는 23개의 홈런과 2할 8푼의 타율로 그 해를 마감했다.
He gave all the credit to Reggie Smith’s coaching and encouraging words.
그는 Reggie Smith의 지도와 격려의 말에 모든 공(功)을 돌렸다.
10-2. 소재: 천사와 놀던 어린 여자아이
10-2. 소재: 천사와 놀던 어린 여자아이
The little girl was still young enough to see her guardian angel who was with her every day.
그 어린 여자아이는 자신과 매일 함께 있는 자신의 수호천사를 볼 수 있을 정도로 여전히 어렸다.
She played with her angel. They laughed and sang together.
그 여자아이는 자신의 천사와 놀았다. 그들은 함께 웃었고 노래했다.
She told her mother she always had fun with her ‘friend’.
그 여자아이는 자기 엄마에게 자기가 자기 ‘친구’와 항상 재미있게 논다고 말했다.
Her mother believed her daughter to have an ‘invisible’ friend so commonly reported by young children and thought to be a friend from her imagination.
그 아이의 엄마는 자기 딸이 어린 아이들이 매우 흔히 말하는 또 그 아이의 상상에서 나온 친구라고 생각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친구를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
The mother asked her daughter the friend’s name and her daughter told her it was Amiel.
그 엄마는 자기 딸에게 그 친구의 이름을 물었고 그녀의 딸은 그녀에게 Amiel이라고 말했다.
The little girl and Amiel spent many, many hours together in her younger years.
그 어린 여자아이와 Amiel은 그 아이의 어린 시절에 참 많은 시간을 함께 보냈다.
Every night at bedtime, Amiel would kiss the little girl good night.
매일 밤 잠자리에 들 때 Amiel은 그 어린 여자아이에게 잘 자라고 뽀뽀를 해주었다.
As the years moved on, the cloud became denser around Amiel and the little girl could no see or talk to her any more.
해가 가면서 Amiel 주변에 구름이 더 짙어졌고 그 어린 여자아이는 더 이상 그녀를 보거나 그녀에게 말을 할 수 없었다.
The little girl did not really notice because she became involved with her friends from school and lots of school activities.
그 어린 여자아이는 자기가 학교 친구들과 관계를 맺고 많은 학교 활동들에 관여하게 되었기 때문에 사실 알아차리지 못했던 것이다.
But Amiel was still with the little girl even thought they didn’t talk or play anymore ‒Amiel was her guardian angel.
그러나 그들이 더 이상 이야기하거나 놀지 않더라도 Amiel은 여전히 그 어린 여자아이와 함께 있었는데, Amiel은 그 아이의 수호 천사였던 것이다.
10-3. 소재: 방대한 문서 자료에 좌절한 동료
10-3. 소재: 방대한 문서 자료에 좌절한 동료
A couple of years ago, a colleague of mine joined a project that had been running for a while.
몇 년 전, 나의 동료 중 한 명이 한동안 진행되어 온 프로젝트에 합류했다.
On his first day, my colleague met the project manager, and he explained a few things, then handed the new team member a set of documents.
그가 합류한 첫날, 나의 동료는 프로젝트 관리자를 만났고, 그는 몇 가지 사항을 설명하며 새 팀 구성원에게 일련의 문서를 넘겨주었다.
Some of those were huge —they contained the entire specification of complex application.
그것 중 일부는 거대했고, 복잡한 응용 프로그램의 전체 설명서를 포함하고 있었다.
The project manager was visibly proud of the fact that his team had produced such comprehensive documentation.
프로젝트 관리자는 자신의 팀이 그처럼 포괄적인 문서를 작성했다는 사실을 눈에 띄게 자랑스러워했다.
A couple of hours later, I saw my colleagues sitting in his office, in front of a large pile of paper, looking rather unhappy.
몇 시간 뒤, 나는 나의 동료가 다소 불만스러운 표정으로 자기 사무실에서 산더미 같은 서류 앞에 앉아 있는 것을 보았다.
A question about how he was getting on with the project materials revealed that the poor guy wasn’t getting on well at all.
그가 프로젝트 자료를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하나, 그 딱한 사람이 전혀 잘 진행하고 있지 못하고 있었다는 것이 드러났다.
He said he was “drowning in the specification”, and that he couldn’t keep all the details in his mind.
그는 자신이 “설명서 속에서 허우적대고” 있으며, 그 모든 세부 사항을 기억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Eventually he learned many of those details, but more from discussions with the other team members over the next weeks than from reading the documentation.
결국 그는 그 세부 사항 중 많은 부분을 습득했으나, 더 많은 부분은 문서를 읽는 것보다는 그다음 몇 주에 걸쳐 가졌던 다른 팀원들과의 논의를 통해서였다.
10-4. 소재: Blaise Pascal에 대한 아버지의 교육 방침
10-4. 소재: Blaise Pascal에 대한 아버지의 교육 방침
Detecting the remarkable powers of Blaise Pascal, his father had formed very definite resolutions as to his education.
Blaise Pascal의 뛰어난 능력을 발견하고, 그의 아버지는 그의 교육에 관한 매우 명확한 결심을 했다.
His chief maxim was always to keep the boy above his work.
그의 주된 좌우명은 늘 그 아들을 자신의 일보다 우선하는 것이었다.
And for this reason he did not wish him to learn Latin till he was twelve years of age, when he might easily acquire it.
그리고 이런 이유로 그는 그의 나이가 12살이 되기까지는 그가 라틴어를 배우기를 바라지 않았는데, 그때가 되면 그가 그것을 쉽게 습득할 수도 있을 것이었다.
In the meantime, he sought to give him a general idea of grammar ― of its rules, and the exceptions to which these rules are liable ― and so to fit him to take up the study of any language with intelligence and facility.
그러는 동안에 그는 그에게 문법, 즉 문법 규칙과 이 규칙들이 피할 수 없는 예외에 관한 대체적인 개념을 알려주어서 그가 총명하고 수월하게 어떤 언어 공부라도 시작할 수 있게 해 주려고 노력했다.
He endeavoured further to direct his son’s attention to the more marked phenomena of nature, and such explanations as he could give of them.
그는 더 두드러지는 자연 현상과 자신이 그것들에 대해 해 줄 수 있는 그런 설명으로 자기 아들의 관심을 돌리려고 한층 더 애썼다.
But here the son’s perception outstripped the father’s power of explanation.
하지만 이것에 있어서 아들의 지각력은 아버지의 설명 능력을 능가했다.
He wished to know the reason of everything; and when his father’s statements did not appear to him to give the reason, he was far from satisfied.
그는 모든 것의 이유를 알고 싶어 했고, 아버지가 말한 것이 자신에게 이유를 알려 주는 것 같지 않으면, 그는 전혀 만족하지 않았다.
11-1. 소재: 물웅덩이와 지표 및 주위 환경과의 관계
11-1. 소재: 물웅덩이와 지표 및 주위 환경과의 관계
Every puddle is a sign that the water has been blocked, stopped from travelling down through the ground.
모든 물웅덩이는 물이 막혀 땅속으로 내려가는 것이 차단되었다는 표시이다.
So if a puddle is persistent, then the first thing we can deduce is that the ground beneath the puddle is either nonporous or extremely wet.
그래서 물웅덩이가 되풀이하여 나타나면, 우리가 첫 번째로 추론할 수 있는 것은 물웅덩이 밑에 있는 땅에 물이 스며들 수 없거나 (그 땅이)흠뻑 젖었다는 것이다.
This is mainly interesting when we travel through a rural area and notice that the number of puddles suddenly increases, despite there not being any more rain in that area.
이것은 우리가 시골 지역을 여행하다가 그 지역에 비가 조금도 더 오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물웅덩이의 수가 갑자기 많아지는 것을 알아차릴 때 주로 흥미롭다.
This is a sign that the rocks beneath your feet have probably changed, even if the appearance of the mud has not changed.
이것은 진흙의 외관이 변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여러분의 발밑에 있는 암석들이 아마도 바뀌었을 것이라는 표시이다.
Since the rocks are responsible for a lo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il in an area and the soil strongly influences the types of plants and animals you will find, a sudden change in the number of puddles, without a very local downpour, is a sign that the rocks, soil, plants and animals all around you will also have changed.
암석은 한 지역에 있는 흙의 여러 특성을 생기게 하고, 흙은 여러분이 보게 되는 식물과 동물의 종류에 강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국지성 호우가 없어도 물웅덩이의 수가 갑작스럽게 변화한 것은 여러분 주변 사방에 있는 암석, 흙, 식물과 동물들도 또한 변해 있을 것이라는 표시이다.
11-2. 소재: 현재에 초점을 둔 동기 부여
11-2. 소재: 현재에 초점을 둔 동기 부여
Keep in mind that while coaching our children to future success, we can’t forget about the present.
우리 아이들을 미래의 성공을 위해 지도하는 중에, 우리가 현재에 대해서 잊으면 안 된다는 것을 명심하라.
Understanding how what you are doing today benefits you today and not just somewhere down the road is an essential part of personal motivation.
여러분이 오늘 하고 있는 일이 어떻게 해서 앞으로 어느 때만이 아닌 오늘 도움이 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개인적인 동기 부여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Sometimes seeing the big picture isn’t enough; in fact, the big picture can sometimes be overwhelming.
때때로 큰 그림[전체적인 상황]을 보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데, 사실, 그 큰 그림은 때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것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writing the manuscript for this book, I spent many a morning procrastinating because I could only see the big picture.
예를 들어, 이 책을 위한 원고를 쓸 때, 나는 오로지 그 큰 그림만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여러 날의 아침을 (해야 할 일을) 뒤로 미루면서 보냈다.
The big picture overwhelmed me!
그 큰 그림이 내겐 버거웠다(감당하기 어려웠다)!
The ability to break a goal down into manageable pieces is important to motivation.
목표를 관리할 수 있는 조각들로 쪼개는 능력은 동기 부여에 중요하다.
When I saw that if I only did some work every day, I would eventually reach my goal of finishing an enormous project, I was motivated to do a little bit every day.
만약 내가 매일 ‘어느 정도의’ 일을 하기만 한다면 나는 결국 거대한 프로젝트를 끝낸다는 내 목표에 도달할 것이라는 것을 내가 이해했을 때, 나는 매일 조금씩 할 의욕이 생겼다.
I began to enjoy the journey of writing when I saw how writing every day benefitted me today and not just at some time in the future.
내가 매일 글을 쓰는 것이 어떻게 미래의 어느 시점에서만이 아니라 오늘 내게 도움이 되는지를 이해했을 때 나는 쓰기라는 여정을 즐기기 시작했다.
In that sense, be careful using the big picture as motivation.
그러한 면에서, 큰 그림을 동기 부여로 사용하는 데 주의하라.
11-3. 소재: Toscanini의 비범한 기억력
11-3. 소재: Toscanini의 비범한 기억력
Arturo Toscanini had a phenomenal memory as well as a phenomenal ear.
Arturo Toscanini는 경이로운 귀[청력]뿐만 아니라 경이로운 기억력을 가지고 있었다.
Once, he decided to conduct Ernest Schelling’s “Impressions from an Artist’s Life,” and he invited Mr. Schelling himself to play solo piano.
한번은 Ernest Schelling의 ‘Impressions from an Artist’s Life’를 지휘하기로 했고, Schelling에게 직접 피아노 독주를 하도록 요청하였다.
During rehearsal, Maestro Toscanini —who never looked at a score during rehearsal, although he kept one on the stage —stopped Mr. Schelling and stated that he believed the pianist had omitted a G flat.
리허설을 하는 동안, 악보를 무대 위에 두기는 했지만 리허설에서는 악보를 절대 보지 않았던 거장 Toscanini는 Schelling(의 연주)을 중지시켰고 피아노 연주자(Schelling)가 G 플랫음을 분명 빠뜨린 것 같다고 말했다.
Mr. Schelling replied, “You are right. I did omit the G flat because I never wrote a G flat at that particular point in my original score.”
Schelling은 “당신 말이 맞습니다. 나는 나의 원래 악보에서 그 특정 지점에 G 플랫음을 쓰지 않았기 때문에 G 플랫음을 정말 뺐습니다.”라고 대답했다.
That surprised Maestro Toscanini, so he invited Mr. Schelling to look at the score with him.
그 말은 거장 Toscanini를 놀라게 했고, 그래서 그는 Schelling에게 자신과 함께 악보를 살펴보자고 요청했다.
After looking at the score, it was Mr. Schelling who was surprised, and he said, “Mr. Toscanini, I did omit the G flat.
악보를 보고나서 놀란 것은 Mr. Schelling이었는데, 그는 “Toscanini 씨, 나는 ‘정말이지’ G 플랫음을 뺐습니다.
In all the time I have played this piece I always omitted the G flat.
나는 이 곡을 연주할 때마다 G 플랫음을 항상 뺐단 말입니다.
Since the day I wrote it, I had completely forgotten it was there.”
내가 그 곡을 작곡한 날 이후로, 나는 그것 [G 플랫음]이 거기 있었다는 것을 완전히 잊어버렸던 것이지요.”라고 말했다.
11-4. 소재: 감정이 인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11-4. 소재: 감정이 인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By the end of the millennium, emotions had become such a central part of psychology’s focus that many scholars viewed emotions as the motivational force guiding almost all of human behavior.
20세기 말 무렵 감정은 심리학의 초점의 매우 주요한 부분이 되어서 많은 학자들이 감정을 거의 모든 인간 행동을 이끄는 동기 부여의 힘으로 보았다.
Today, many psychological scientists agree that any decision we make, any relationship we pursue, any thing we want —all these judgments, behaviors, and desires are influenced by emotion.
오늘날, 많은 심리학자들은 우리가 내리는 그 어떤 결정이든, 우리가 추구하는 그 어떤 관계든, 우리가 원하는 그 어떤 ‘것’이든, 모든 이러한 판단, 행동, 욕구는 감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에 동의한다.
Even those decisions which, we believe, are shaped by rationality or logical principles about what is right or good are in fact more often triggered by a gut emotional response.
우리가 합리성이나 무엇이 옳거나 좋은지에 대한 논리적 원칙들에 의해 형성된다고 믿는 그런 결정들조차도 사실 직감에 따른 감정적 반응에 의해 더 자주 유발된다.
We tell ourselves that such decisions aren’t driven by our emotions, and that we are relying on the mind’s most sophisticated reasoning processes, but research shows that we are very good at coming up with “sophisticated” reasons to justify what we want to think, and what we want to think is almost always shaped by how we feel.
우리는 스스로에게 그런 결정들이 우리의 감정에 의해서 유도되지 않고, 우리가 정신의 가장 정교한 추론 과정에 의지하고 있다고 말하지만, 연구는 우리가 생각하고 싶어 하는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정교한’ 이유들을 제시하는 데 매우 능숙하고 우리가 생각하고 싶어 하는 것은 거의 항상 우리가 느끼는 방식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11-5. 소재: 장난감 재료로 적합한 것
11-5. 소재: 장난감 재료로 적합한 것
Can you tell how a toy is made?
여러분은 장난감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아는가
While there is certainly room and a need for some manufactured plastic in our lives, we also need to make much more room for simple, natural materials.
우리의 삶에서 (기계를 이용하여 대량으로) 제조되는 플라스틱의 자리와 필요성이 분명 있지만, 우리는 또한 단순하고 자연적인 재료를 위한 훨씬 더 많은 자리를 만들 필요가 있다.
Does your children’s toy selection show an adequate representation of nature?
여러분 자녀들의 각종 장난감들은 자연을 충분히 나타내어 보여 주는가
Is there wood? Cloth? Natural fibers?
나무가 있는가? 천은? 천연 섬유는
Not only do these toys feel good to play with and connect children to the outside world, but they are also often strong enough to last a lifetime and even more.
이런 장난감들은 가지고 놀기에 느낌이 좋고 아이들을 바깥 세상에 연결해 줄 뿐만 아니라, 흔히 평생 혹은 그보다 훨씬 더 오래 지속될 만큼 튼튼하다.
I think we should consider our toy materials in the same way that people talk about whole foods: the closer to the original source, the better.
나는 사람들이 자연식품에 대해 말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장난감 재료를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원재료에 더 가까울수록, 더 좋은 것이다.
Can you picture your toy growing somewhere on the earth?
지구 어딘가에서 여러분의 장난감이 자라고 있다는 것을 상상할 수 있는가
Wooden blocks, felt balls, and cotton dolls are often some of the best toy.
나무 벽돌, 펠트 곰, 그리고 면 인형은 흔히 가장 좋은 장난감들 중 일부이다.
11-6. 소재: 감정을 표현하는 말에 대한 문화 간 차이
11-6. 소재: 감정을 표현하는 말에 대한 문화 간 차이
A particular difficulty that attends efforts to determine the extent of cross-cultural convergence in emotional expression is the fact that cultured do not categorize emotions in the same way.
여러 문화 간에 감정적 표현이 비슷하게 되어가는 과정의 정도를 알아내려는 노력에 수반되는 특별한 어려움은 문화권에서 같은 방식으로 감정을 분류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Marc Benamou, studying the use of affective terms to describe the expressive character of music among western and Javanese subjects, ascertained that some Javanese emotion terms did not straightforwardly correspond to Western categories.
서양인과 자바인 연구 대상자들의 음악의 표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서적인 용어의 사용을 연구하면서, Marc Benamou는 몇몇 자바어의 감정을 나타내는 용어는 서양의 범주와 바로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This raises some doubts about how much we can trust studies that purport to compare cultures.
이것은 문화를 비교한다고 주장하는 연구를 우리가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해 어느 정도 의심을 불러일으킨다.
Presumably, we can assume that when Javanese subjects report expressiveness in music using words for which English-speaking subjects have no term, the two groups of subjects are not recognizing the same expressive content.
아마, 우리는 자바인 연구 대상자들이 영어를 사용하는 연구 대상자의 말에는 없는 단어를 사용하여 풍부한 음악적 표현을 말할 때, 양쪽 집단의 연구 대상자들은 같은 (감정적인) 표현의 내용을 인식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추정할 수 있다.
But more generally, we should be alert to the possibility that imperfect translations lead us to imagine greater agreement about musical expression than we would find if we had a more nuanced sense of the way the terms are used in the respective languages.
그러나 좀 더 일반적으로, 만일 우리가 각각의 언어에서 그 용어들이 사용되는 방식에 대해 더 미묘한 감각을 가진다면 우리가 아마 발견할 것(음악적 표현에 대한 일치)보다 음악적인 표현에서 더 많은 일치가 있다고 상상하도록 불완전한 번역이 우리를 유도할 가능성에 대해 유의해야 한다.
11-7. 소재: 예술 공연의 본질
11-7. 소재: 예술 공연의 본질
To know whether an artistic performance succeeds or fails requires that we know what counts as success or failure in any performance context.
예술 공연의 성패 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어떤 공연 상황에서든지 성공이나 실패로 간주되는 것을 알아야 한다.
Music critics will consider a pianist’s tone, phrasing, tempo, accuracy, and ability to sustain a line or build to a climax.
음악 비평가들은 피아니스트의 악음, 악구를 구분하여 연주하기, 박자, 정확성, 그리고 멜로디를 유지하거나 최고조에 이르게 하는 능력을 고려할 것이다.
Speed and brilliance may be important considerations, which is not to say the fastest performance will be the best.
속도의 (음색의) 맑음은 중요한 고려 사항일 수 있는데, 이는 가장 빠른 연주가 최고일 것이라는 말은 아니다.
But behind these considerations is an unstated assumption: that it is one person’s then unaided fingers that produce the sounds.
그러나 이런 고려 사항의 이면에는 무언의 가정이 들어 있는데, 그것은 그 음을 만들어 내는 것이 바로 한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는 열 개의 손가락’이라는 것이다.
The excitement a virtuoso pianist generates with a glittering shower of notes is intrinsically connected with this fact.
거장 피아니스트가 찬란하게 쏟아 내는 음들도 만들어 내는 흥분은 본질적으로 이 사실과 관계가 있다.
An aurally identical experience that is electronically synthesized can never dazzle us in the same way: sound synthesizers can produce individual notes as fast as you please, while pianists cannot.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소리가 합성된 동일한 청각 경험은 결코 우리를 (그와) 똑같이 감탄시킬 수 없는데, 피아니스트는 여러분이 원하는 만큼 빨리 개개의 음을 낼 수 없지만, 전자 음향 합성 장치는 그렇게 할 수는 있다.
Built into the thrill of hearing a virtuoso is admiration for what the performance represents as a human achievement.
연주가 인간의 성취임을 보여 주는 것에 대한 찬탄은 거장의 연주를 듣는 전율은 형성한다.
Forgery and other forms of fakery in the arts misrepresent the nature of the performance and so misrepresent achievement.
예술에서의 위조와 여러 다른 형태의 속임수는 송연의 본질을 잘못 전하고 그런 이유로 성취를 잘못 전한다.
11-8. 소재: 우유 섭취 증가에 대한 소비자 지식의 영향
11-8. 소재: 우유 섭취 증가에 대한 소비자 지식의 영향
The story of how milk became America’s drink combines the perfection of industry with the perfection of consumer knowledge.
어떻게 우유가 미국의 음료가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는 산업의 완벽성과 소비자 지식의 완벽성을 결합한 것이다.
For example, Spencer and Blanford attribute the increase in milk drinking t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mil and cream sold,” which led to a “more generous use of those products.”
예를 들어, Spencer와 Blanford는 우유 섭취량의 증가를 ‘판매된 우유와 크림의 품질에 있어 상당한 향상’ 덕으로 돌리는데 그것은 ‘그러한 제품들을 더욱 아낌없이 사용’하게 만들었다.
Consumers drank more milk because they had “greater knowledge of the food value of milk,” which was the result of “favorable teaching and publicity” based on important findings and research”.
소비자들은 ‘우유의 식품 가치에 대한 더 많은 지식’을 가지면서 더 많은 우유를 마셨는데, 이는 ‘중요한 연구 결과와 연구에 토대를 둔 우호적인 교육과 홍보’의 결과였다.
In other words, the rise of milk consumption, according to these economic studies, is due to the increasing perfection of milk —in both quality and price —and education of consumers about this perfection.
다시 말해, 이러한 경제 연구에 따르면, 우유 소비의 증가는 품질과 가격 측면 모두에서 향상되는 우유의 완벽성과 이러한 완벽성에 대한 소비자 교육에 기인하는 것이다.
The history of milk drinking becomes a history of this increased perfection through increased consumption and through a public/private promotion of the product.
우유 섭취의 역사는 증가한 소비와 그 상품(우유)에 대한 공적인/사적인 홍보를 통한 이러한 완벽성의 역사가 된다.
11-9. 소재: 자아 복잡성
11-9. 소재: 자아 복잡성
Research suggests that a person’s level of self-complexity can have important consequences, particularly when people are confronted with negative events or difficulties in a given life domain.
연구에 따르면, 한 개인의 자아 복잡성의 정도는 특히 사람들이 특정 삶의 영역에서 부정적인 사건이나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중요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Imagine learning that you did poorly on a midterm exam.
여러분이 중간고사를 잘 보지 못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고 상상해 보라.
If you’re someone who is high in self-complexity —that is, you define yourself in terms of many nonoverlapping domains (for example, student, avid skier, committed volunteer, enthusiastic fan of Glee) —the negativity that results from your poor exam grade is relatively contained, affecting only how you feel about yourself as a student.
자아 복잡성이 높은 사람이라면, 즉 서로 겹치지 않는 많은 영역의 면에서 자신을 정의한다면 (예를 들어, 학생, 스키를 광적으로 좋아하는 사람, 헌신적인 자원봉사자, Glee (미국에서 방영된 인기 뮤지컬 코미디 드라마)의 열정적인 팬), 형편없는 시험 성적으로부터 비롯되는 부정적 성향은 상대적으로 억제되어, 학생으로서의 자신에 대해 느끼는 기분에만 영향을 미친다.
But if you’re low in self-complexity such that your identity as a student overlaps to a great extent with the few other identities you have —then the negativity associated with your poor exam grade is likely to lower you evaluations of yourself as a student as well as spill over and affect how you evaluate your other, overlapping identities.
그러나 학생으로서의 정체성이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다른 소수의 정체성과 크게 겹칠 정도로 자아 복잡성이 낮다면, 그렇다면 형편없는 시험 성적과 관련된 부정적 성향이 번져 나가 여러분이 겹치는 다른 정체성을 평가하는 방식에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학생으로서의 스스로에 대한 평가를 낮출 가능성도 있다.
In short, putting all your “self eggs” in one basket can be risky in the face of threatening, self-relevant events.
요컨대, ‘자기 달걀’을 모두 하나의 바구니에 담는 것은 위협적인, 자신이 관련된 사건에 직면할 때 위험할 수 있다.
11-10. 소재: 동종 업체가 한군데로 모이는 이유
11-10. 소재: 동종 업체가 한군데로 모이는 이유
A few year ago, the video store down the road from our house closed and moved downtown.
몇 년 전에 우리 집에서 아래쪽에 있던 비디오 가게가 문을 닫고 시내로 옮겨 갔다.
The reason for the move was that another video store had opened downtown and was already operating successfully.
옮겨 간 이유는 시내에 다른 비디오 가게가 (이전에) 개업했는데, 이미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는 것이었다.
Businesses of a particular type tend to gather together in the same part of town.
특정 유형의 업체는 시내의 같은 지역에 함께 모이는 경향이 있다.
This is not necessarily because those areas have been designated for (say) theatres or law firms.
이것이 반드시 그 지역이 (가령) 극장이나 법률 회사를 위해 지정되었기 때문인 것은 아니다.
Rather it is because no one wants their competitors to gain an advantage over them.
오히려 그것은 아무도 자신의 경쟁 업체들이 자신보다 우위를 점하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If you set up your business near a competitor, you avoid losing any advantage that their location gives them.
경쟁 업체 근처에서 업체를 세우면, 여러분은 그 경쟁 업체의 (지리적) 위치가 그 경쟁 업체에게 제공하는 어떤 이점도 놓치지 않게 된다.
You also give yourself the chance to steal customers away from them.
여러분은 또한 그 경쟁 업체로부터 고객들을 빼앗을 기회를 스스로 갖게 된다.
As more theatres cluster together, the area becomes known as the theatre district.
더 많은 극장이 함께 모여들면서, 그 지역은 극장 구역으로 알려지게 된다.
It is then imperative for new theatres to open in the same are or face a potential loss of patrons.
그렇게 되면 새로운 극장들은 어쩔 수 없이 바로 그 (동일한) 지역에 개업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고객의 잠재적인 감소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11-11. 소재: 자기 본위적인 꿈 해석
11-11. 소재: 자기 본위적인 꿈 해석
We all know from experience that some of our dreams seem to be related to daily problems, some are vague and incoherent, and some are anxiety dreams that occur when we are worried or depressed.
우리는 모두 경험으로부터 우리 꿈의 일부는 일상의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 같고, 일부는 모호하고 일관성이 없으며, 그리고 일부는 우리가 걱정하고 있거나 우울할 때 꾸게 되는 불안 꿈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But whatever the source of the images in our sleeping brains may be, we need to be cautious about interpreting our own dreams or anyone else’s.
그러나 우리의 수면 중인 두뇌 속의 영상의 원천이 무엇이든지, 우리는 우리 자신의 꿈, 혹은 다른 누군가의 꿈을 해석하는 데 신중해야 한다.
A recent study of people showed that individuals are biased and self-serving in their dream interpretations, accepting those that fit in with their preexisting beliefs or needs and rejecting those that do not.
사람들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기존의 신념이나 필요에 맞는 것들을 수용하고 그렇지 않은 것들을 거부하면서 그들의 꿈 해석에서 편향되고 자기 본위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For example, they will give more weight to a dream in which God commands them to take a year off to travel the world than one in which God commands them to take a year off to work in a relief camp.
예를 들어, 그들은 신이 그들에게 1년간 휴가를 내어 구호 수용소에서 봉사하라고 명하는 꿈보다 신이 그들에게 1년간 휴가들 내어 세계를 여행하라고 명하는 꿈에 더 큰 비중을 둘 것이다.
Our biased interpretations may tell us more about ourselves than do our actual dreams.
우리의 편향된 해석은 우리의 실제 꿈이 하는 것보다 우리 자신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우리에게 말해줄 것이다.
11-12. 소재: 고객에게 이메일 답신을 작성할 때 유의점
11-12. 소재: 고객에게 이메일 답신을 작성할 때 유의점
Customers like e-mail because it’s easy to use and it gives them immediate access to organizations.
이메일은 사용하기 쉽고 고객들이 회사에 즉각적인 연락을 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 고객들은 이메일을 좋아한다.
Most of the time, customers receive an automated response indicating that their e-mail has been received and stating when they can expect to get a response.
대부분의 경우, 고객들은 자기들의 이메일이 수취되었다는 것을 말해 주는 그들이 언제 응답을 받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는지를 말해 주는 자동으로 작성된 응답을 받는다.
However, even automated responses need to be phrased appropriately.
그러나 자동으로 작성된 답신일지라도 적절하게 표현되어야 한다.
Some years ago, a clothing company used to send out an automated reply that read, “While we cannot get back to you personally, we do appreciate your input.”
몇 년 전, 한 의류 회사가 “저희가 개별적으로 답신을 해드리지는 못하지만 귀하의 의견을 정말 가치 있게 여깁니다.”라고 쓰인 자동으로 작성된 답신을 보내곤 했다.
That response didn’t provide much satisfaction or a feeling of connectivity.
그 응답은 그리 많은 만족감이나 친숙한 느낌을 제공하지 못했다.
Researchers Judy Strauss and Donna Hill, in one of the first major studies covering consumer complaints sent by e-mail, found that less than half (47 percent) of the firms studied created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ir in-kind e-mail responses.
연구자인 Judy Strauss와 Donna Hill은 이메일로 보낸 고객들의 항의를 다룬 첫 번째 주요 연구 중 하나에서 받은 것과 같은 종류의 답신에 대한 고객들의 (상대적으로) 더 높은 만족도를 이끌어낸 것은 (조사) 연구된 회사 중 절반 미만(47퍼센트)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They found that simple things make a difference.
그들은 간단한 것들이 차이를 만든다는 것을 발견했다.
This included a fast response, an e-mail that addressed the specific problem, and an e-mail that was signed with a real person’s name.
이것은 빠른 응답, 구체적인 문제를 다룬 이메일, 그리고 실제로 사람의 이름이 서명된 이메일을 포함했다.
12-1. 소재: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위한 협력의 필요
12-1. 소재: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위한 협력의 필요
According to evolutionary biologist Elisabet Sahtouris, cooperation is the only way toward sustainability.
진화 생물학자 Elisabet Sahtouris에 따르면, 협력은 지속 가능성을 향한 유일한 길이다.
Mature ecosystems such as prairies and rainforests evolve when there is more cooperation than when there is hostile competition.
대초원과 열대 우림과 같은 장년기의 생태계는 적대적인 경쟁이 존재할 때보다 협력이 더 많을 때 진화한다.
The highly complex ecosystem of the rainforest is a particularly vivid example of a mature system that has survived through millions of years because species learne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열대 우림의 고도로 복잡한 생태계는 종들이 서로 협력하는 법을 배웠기 때문에 수백만 년 동안 살아남은 장년기 생태계의 매우 생생한 예이다.
In the rainforest, every species is fully employed, all work cooperatively while recycling all of their resources, and all products and services are distributed in such a way that every species remains healthy.
열대 우림에서는 모든 종들이 충분히 이용되고, 모든 종들이 자신들의 자원을 모두 재활용하면서 전부 협력적으로 가능하며, 모든 산물과 편익과 모든 종들이 건강하게 지낼 수 있도록 그렇게 분배된다.
That is sustainability.
‘그것’이 지속 가능성이다.
12-2. 소재: 고대와 중세의 학문의 특징
12-2. 소재: 고대와 중세의 학문의 특징
The world “scientist” in its present meaning did not become a part of language until the modern era.
현재 의미의 ‘과학자’라는 단어는 현대에 이르러서야 언어의 일부분이 되었다.
In ancient and medieval times philosophy was everything, and the philosopher was the caretaker of human wisdom.
고대와 중세 시대 때는 철학이 가장 중요한 것이었고, 철학자가 인간의 지혜의 관리인이었다.
He knew of moral law, religion, government, natural history, alchemy, mathematics, healing, and all knowledge.
그는 도덕률, 종교, 통치체제, 자연사, 연금술, 수학, 치료, 그리고 모든 지식에 대해 알고 있었다.
Indeed, the diligent scholar at one time had bee able to master the entire sum of academic learning.
정말이지, 부단히 노력하는 학자는 한때 학문적 지식의 전체[총체]에 숙달할 수 있었다.
This is in striking contrast with the world of today, in which a man may devote a lifetime to a single type of germ or bacteria and still consider his subject vast and complex enough for a full generation of profound study.
이것은 오늘날의 세계와는 현저한 대조를 이루는데, 오늘날의 세계에서는 한 사람이 한 가지 유형의 미생물이나 세균에 전 생애를 바치고 여전히 자신의 (학문) 주제를 온전히 한 세대가 심오한 연구를 할 만큼 충분히 광대하고 복잡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Having few details to bother about in his pursuit of knowledge, the ancient could think in broad and encompassing terms
고대인들은, 자신의 지식의 추구에서 신경을 써야 할 세부 사항을 거의 가지지 않았기에, 폭넓고 포괄적인 측면에서 사고할 수 있었다.
12-3. 소재: 식민지 이전 시대의 아메리카 원주민의 동물 존중
12-3. 소재: 식민지 이전 시대의 아메리카 원주민의 동물 존중
In America, we find a long history of mourning practices for nonhuman animals.
미국에서 우리는 인간이 아닌 동물에 대한 애도 관행의 오랜 역사를 보게 된다.
Indeed, the human-animal relationship is nearly blended into American history and continues to grow and change as society continues to evolve.
사실, 인간과 동물의 관계는 미국 역사에 일목요연하게 혼합되어 있고 사회가 계속해서 발전함에 따라 계속해서 성장하고 변화하고 있다.
During the precolonial period, Native Americans formed complex relationships with a variety of animals like bison, deer, and other woodland creatures.
식민지 이전 시기에,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들소, 사슴 그리고 다른 삼림 동물들과 같은 다양한 동물들과 복잡한 관계를 형성했다.
Many hunting tribes showed great respect for animals, and even though they needed to hunt them for food and other uses, they felt that they must be killed in a proper, ritualized manner.
많은 사냥 부족들은 도움에 대한 커다란 존중심을 보여 주었고, 비록 그들이 식량 및 다른 용도로 동물을 사냥할 필요가 있었을지라도 그들은 동물이 적절한 의례적인 방식으로 살해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Some Native Americans believed that animal deaths are temporary and that the animal would be reincarnated and return to our world as the same species.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동물들의 죽음이 일시적이고 동물들이 같은 종으로 환생하여 우리의 세상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믿었다.
If the hunter did not kill the animal properly, the animal could return as a ghost and haunt the hunter and possibly infect him with a disease.
만약 사냥꾼이 그 동물을 적절하게 죽이지 않는다면, 그 동물은 유령으로 돌아와 사냥꾼을 괴롭히고 그를 질병에 감염시킬 수도 있다는 것이다.
12-4. 소재: 핵가족의 해체가 경제적 수요에 미치는 영향
12-4. 소재: 핵가족의 해체가 경제적 수요에 미치는 영향
In the United States, there has been a trend toward the dissolution of the traditional nuclear family.
미국에서는 전통적인 핵가족이 해체되는 경향이 있어 왔다.
With people marrying later and divorcing more often, the “typical” family of father, mother, and children living in one dwelling has become far less common than in the past.
사람들이 더 늦게 결혼하고 더 자주 이혼하게 되면서, 동일한 거처에서 살고 있는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자녀라는 ‘전형적인’ 가족은 과거보다 훨씬 덜 흔하게 되었다.
More recently, a similar trend in Western Europe has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even in countries where the overall population is decreasing.
보다 최근에는 서유럽에서의 유사한 경향이 전체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국가에서도 가구 수의 증가를 야기했다.
This outcome has in turn increased demand for many consumer durables, such as washing machines and ovens, whose sales correlate with the number of households rather than with population.
이 결과는 결국 세탁기와 오븐 같은, 판매가 인구가 아니라 가구 수와 상관있는 많은 내구 소비재의 수요를 늘렸다.
Also, an increasing number of women are working outside the home, a situation that boosts demand for frozen dinners and child-care centers.
또한, 점점 더 많은 수의 여성이 가정 바깥에서 일하고 있는데, 이는 저녁용 냉동식품과 보육 시설의 수요를 증가시키는 상황이다.
12-5. 소재: 감각 수준을 넘어서는 인간의 능력
12-5. 소재: 감각 수준을 넘어서는 인간의 능력
If all our knowledge stopped at the level of the senses, we would be no better off than the subhuman members of the animal kingdom.
우리는 모든 지식이 감각 수준에서 멈춘다면, 우리는 동물계의 인간 이하의 구성원들보다 (형편이) 더 나을 것이 없을 것이다.
Different animals have different levels of proficiency on the sense level.
서로 다른 동물들은 감각 수준에 있어서 서로 다른 수준의 능숙함을 가지고 있다.
In many cases it’s much better than anything human beings can do.
많은 경우에 있어 그것은 인간이 할 수 있는 어떤 것보다 훨씬 더 낫다.
Eagles see much better, dogs can detect odors that completely escape our power of smell, and some animals fly through the air using radar.
독수리는 훨씬 더 잘 보고, 개는 우리의 후각 능력을 완전히 벗어나는 냄새를 감지할 수 있으며, 어떤 동물들은 레이더를 사용하여 공중을 난다.
But we can do something that our pets can’t do, to wit, form concepts, and then put concepts together in reasoning processes.
그러나 우리는 애완동물이 할 수 없는 일을 할 수 있는데, 더 정확히 말하면, 개념을 형성한 다음, 추론 과정에서 개념을 결합할 수 있다.
By reflecting upon this ability we come to realize that we must have a mind distinct from our body, and that, regardless of how much pseudo-science there is in the world, it’s a grave error to confuse the mind with the body.
이 능력을 생각해 보면 우리는 신체와 구별되는 정신을 가지고 있음에 틀림없다는 것과 세상에 얼마나 많은 사이비 과학이 있는지와는 상관없이 정신과 신체를 혼동하는 것이 중대한 오류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12-6. 소재: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19세기 미국 예술가의 찬미
12-6. 소재: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19세기 미국 예술가의 찬미
The social reform movement and the cause for wilderness preservation can both be understood as Romantic efforts to counter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사회 개혁 운동과 황무지 보존의 명분은 둘 다 산업 혁명의 부정적인 결과에 대응하기 위한 낭만주의적인 노력으로 이해될 수 있다.
Artists and writers came to appreciate nature as an aesthetic object in the 19th century.
미술가들과 작가들은 19세기에 대상으로 자연의 진가를 알아보게 되었다.
They celebrated in their work the awe-inspiring phenomena and natural scenery that they believed were capable of transforming one’s soul.
그들은 사람들의 영혼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었던 경외심이 들게 하는 현상과 자연의 풍경을 자신들의 작품에서 찬미했다.
Transcendentalist writers like Henry David Thoreau, Ralph Waldo Emerson, and Walt Whitman saw in untamed nature the hand of God.
Henry David Thoreau, Ralph Emerson, 그리고 Walt Whitman과 같은 초월주의 작가들은 길들지 않은 자연에서 신의 손을 보았다.
The Hudson River School painters were the first to treat the landscape as a legitimate genre in itself, devoid of any classical imagery.
허드슨 리버 화파의 화가들은 고전적인 형상화가 전혀 없이, 그 자체로 풍경화를 본격적인 장르로 다룬 첫 번째 화가들이었다.
They were instrumental in developing a sense of pride and value in the unique American landscape.
그들은 독특한 미국적인 풍경 속에서 자긍심과 가치를 발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2-7. 소재: 발견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인간의 심리
12-7. 소재: 발견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인간의 심리
An interesting aspect of human psychology is that we tend to like things more and find them more appealing if everything about those things is not obvious the first time we experience them.
인간 심리의 흥미로운 일면은 우리가 처음 어떤 것들을 경험할 때 그것들에 대한 모든 것이 명확하지 않다면 그것들을 더 좋아하고 더 매력적으로 느끼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This is certainly true in music.
이것은 음악에 있어서 분명히 사실이다.
For example, we might hear a song on the radio for the first time that catches our interest and decide we like it.
예들 들어, 우리는 처음으로 라디오에서 우리의 관심을 끄는 노래를 듣고, 그 곡이 마음에 든다고 결정을 내릴지도 모른다.
Then the next time we hear it, we hear a lyric we didn’t catch the first time, or we might notice what the piano or drums are doing in the background.
그러고 나서 다음에 우리가 그것을 들을 때, 우리가 처음에는 알아차리지 못한 가사를 듣거나, 배경에서 피아노나 드럼이 무엇을 하는지 알아챌 수 있다.
A special harmony emerges that we missed before.
우리가 전에 놓친 특별한 화음이 나타난다.
We hear more and more and understand more and more with each listening.
우리는 점점 더 많이 듣고 매번 들을 때마다 점점 더 잘 이해한다.
Sometimes, the longer it takes for a work of art to reveal all of its subtleties to us, the more fond of that thing —whether it’s music, art, dance, or architecture —we become.
때때로, 예술 작품이 우리에게 모든 중요한 세부 요소들을 드러내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그것이 음악이든, 미술이든, 춤이든, 또는 건축이든 간에 우리는 그것을 더 좋아하게 된다.
12-8. 소재: 브랜드에 있어 시각적 특징의 중요성
12-8. 소재: 브랜드에 있어 시각적 특징의 중요성
Vision has until recently been perceived as being the most powerful of our five senses; however, research indicates that this may no longer be true.
시각은 최근까지 우리의 오감 중에서 가장 강력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이것이 더 이상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연구가 보여 준다.
Whatever the case, there’s no escaping the fact that distinctive design often goes hand in hand with distinctive brands, and successful brands are by their very nature visually identifiable.
어떤 경우든, 독특한 디자인은 흔히 독특한 브랜드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성공적인 브랜드는 본래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다는 사실은 피할 수 없다.
Pharmaceutical companies make their tablets and capsules in all shapes, sizes, and colors, with each one intended to differentiate the product, impart a particular emotional “feel” to the drug and instill customer loyalty.
제약회사들은 자기네들의 알약과 캡슐을 온갖 모양, 크기, 색깔로 만드는데, 각각의 제품은 그 상품을 차별화하고, 그 약에 특별한 감성적인 ‘느낌’을 주며 고객에게 충성심을 주입시키려는 의도를 가진다.
The automobile industry is another category where shape plays a vital role.
자동차 산업은 형태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또 다른 부문이다.
In many models, shape has become the defining feature.
많은 모델에서 형태가 본질적인 의미를 규정하는 특징이 되었다.
13-1. 소재: 일벌이 알을 낳아 유전자를 남기려는 경향
13-1. 소재: 일벌이 알을 낳아 유전자를 남기려는 경향
Worker bees don’t “normally” lay eggs.
일벌들은 ‘보통은’ 알을 낳지 않는다.
That’s because the queen’s pheromones suppress the reproductive systems of the workers.
그것은 여왕벌의 페로몬이 일벌들의 생식계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However, if the queen dies and there are no larvae that can be trained to replace her, that can change.
그러나, 만일 여왕벌이 죽고 그 여왕벌을 대체하도록 훈련될 수 있는 유충이 없으면, 그것은 바뀔 수 있다.
Unless a beekeeper intervenes with a new queen, the hive is doomed.
양봉업자가 새로운 여왕벌을 가지고 개입하지 않는다면, 그 벌집은 운이 다한 것이다.
In that case, a dying queenless colony will try to spread its genes before it goes to an end, using an unexpected strategy: some of the workers will start laying eggs.
그 경우, 여왕벌이 없게 된 소멸되어가는 군체는 그것이 운명을 다하기 전에 예상치 못한 전략을 사용하여 유전자를 퍼뜨리려 하는데, 그것은 일벌 중 일부가 알을 낳기 시작하는 것이다.
However, since they haven’t mated, their unfertilized eggs will yield only male bees.
그러나, 그것들은 짝짓기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것들의 수정되지 않은 일은 오직 수벌만 생기게 한다.
Maybe some of them will get lucky and find a willing queen, passing the hive’s genes along in its dying days.
아마 그것들 중 몇몇은 운이 좋아서 적극적인 여왕벌을 찾아, 죽어가는 꿀벌 떼의 유전자를 전하게 될 것이다.
13-2. 소재: 부동산의 가치 결정 과정
13-2. 소재: 부동산의 가치 결정 과정
In the real estate industry, location is all-important in determining the market value of properties.
부동산 업계에서, 입지는 부동산의 시장가치를 결정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A good house in a slum district will not fetch a high price, no matter how good it is.
빈민가 지역에 있는 좋은 집은 아무리 좋은 집이라도 비싼 가격으로 팔리지 않을 것이다.
But how is it that some locations come to be better than others?
하지만 어째서 일부 장소들이 다른 장소들보다 더 나아지게 되는가
Usually, it starts out with a natural advantage.
대개 그것은 자연적인 이점과 함께 시작된다.
One area may be conveniently placed near to major businesses, or it may be close to the sea or a river, or it may be slightly hilly, allowing good views.
한 지역이 편리하게 주요 사업체 근처에 위치해 있거나, 바다나 강 근처에 있거나, 약간의 언덕이 있어, 좋은 전망을 제공할 수 있다.
These natural advantages are enough that people will seek them out and pay slightly more for them than they would for other properties.
이러한 자연적인 이점들은 사람들이 그것들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찾아내어 다른 부동산보다 조금 더 많은 돈은 지불하기에 충분하다.
When some properties attract elevated prices, they raise the prices of other properties nearby.
일부 부동산들이 높은 가격을 유인하면, 그들은 근처의 다른 부동산의 가격을 상승시킨다.
In this way, the average prices in one are will drift to become higher than in neighbouring areas.
이러한 방식으로, 한 지역의 평균 가격은 서서히 변해서 인근 지역에서보다 더 비싸지게 될 것이다.
People naturally assume that the area with higher prices must be better to live in.
사람들은 당연히 가격이 더 높은 지역이 살기에 분명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So the process escalates.
그렇게 해서 그 과정은 강화된다.
13-3. 소재: 건설 분야의 혁신에 대한 통념과 실상
13-3. 소재: 건설 분야의 혁신에 대한 통념과 실상
Like all sectors in mature industries, the construction sector is characterized by a relatively few leading thinkers who innovate and monitor trends and a larger group of technical experts who receive and disseminate innovation and new ideas.
충분히 발달한 산업의 모든 분야와 마찬가지로, 건설 분야는 동향[유행]을 혁신하고 탐지하는 비교적 소수의 선도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들과 혁신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고 전파하는 그보다 더 큰 무리의 기술 전문가들로 특징지어진다.
This dissemination group consists of architects, consultants, designers, and engineers.
이 전파하는 집단은 건축가, 상담역[컨설턴트], 설계자, 엔지니어로 구성되어 있다.
In the construction sector this dissemination group is very small, relatively conservative, and divided up into groups.
건설 분야에서 이 전파하는 집단은 매우 작고, 비교적 보수적이며, 여러 집단으로 나뉘어 있다.
However, it gets a great deal of media publicity for innovation and forward thinking, particularly architects.
그러나 그 집단, 특히 건축가들은, 혁신과 진보적인 사고를 함에 있어 매체의 막대한 주목을 받는다.
Yet for most construction work, such high levels of technical sophistication are not necessary and are not supported because it is costly.
하지만 대부분의 건설 공사에 있어서, 그렇게 높은 수준의 기술적인 정교함은 불필요하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지지받지 못한다.
Most buildings are built for functional purposes and not to advance or explore the limits of technology.
대부분 건물은 기능적인 목적을 위해 지어지는 것이지, 기술의 한계를 진전시키거나 탐구하기 위해 지어지지 않는다.
A practical building with a facade that is interesting or artful is more than sufficient for most purposes.
흥미롭거나 기교가 뛰어난 전면을 가진 실용적인 건물은 대부분 용도에 아주 충분하다.
13-4. 소재: 역사 교육의 이유
13-4. 소재: 역사 교육의 이유
“Why teach history?”
“왜 역사를 가르칠까”
Not, I propose, because it’s there.
나는 역사가 거기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
Rather, we should teach history because it is a resource that can shed light on the lives we live today.
오히려, 역사는 우리가 오늘날 살고 있는 삶을 밝혀 줄 수 있는 자원이기 때문에 우리는 역사를 가르쳐야 한다.
We can learn from history because earlier times and thinkers were confronted with problems, ideas and circumstances which have affinities to those that confront us today.
이전 시대와 사상가들은 오늘날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것들과 유사성을 갖고 있는 문제, 개념, 상황에 직면했었기 때문에 우리는 역사로부터 배울 수 있다.
We can learn from them both when past ages are committed to concepts and views similar to our own, and when they have views that are notable for their differences.
우리는 과거의 시대가 우리 자신의 것들과 유사한 개념과 견해에 전념할 때와, 그것들의 차이로 인해 주목할 만한 관점을 가지고 있을 때 둘 다 그것들로부터 배울 수 있다.
Only a fool would ignore his past experience when confronted with a new situation.
새로운 상황에 직면할 때 어리석은 사람만이 자신의 과거 경험을 무시할 것이다.
It would be equally foolish to ignore our collective history.
우리의 집단적 역사를 무시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어리석은 일일 것이다.
This is why history should occupy a central place not only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ut in primary, secondary and post secondary education.
이러한 이유로 역사가 교양과목 교육과정에서뿐만 아니라 초등, 중등, 중등 이후의 교육에서도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해야 하는 것이다.
13-5. 소재: 법 사회화와 도덕 사회화
13-5. 소재: 법 사회화와 도덕 사회화
The goal of legal socialization is to instill in people a felt obligation or responsibility to follow laws and accept legal authority.
법 사회화의 목표는 사람들에게 법을 따르고 법적 권위를 수용할 절실한 의무감이나 책임감을 심어주는 것이다.
The goal of moral socialization is to instill in people a duty to follow societal standards of proper behavior independent of rules and codes.
도덕 사회화의 목표는 사람들에게 규칙과 규범과는 관계없이 적절한 행동의 사회적 기준을 따를 의무감을 심어주는 것이다.
Given that in normal everyday life those behaviors that society considers immoral are frequently prohibited by law, the two usually work toward the same goal.
보통의 일상생활에서 사회가 비도덕적이라고 여기는 그런 행동들이 빈번하게 법에 의해 금지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 둘은 보통 같은 목표를 향해 작용한다.
However, that is not always the case.
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Criminalizing a behavior does not make it immoral, nor is all immoral behavior necessarily criminalized.
어떤 행동을 법으로 금지하는 것은 그것을 비도덕적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며, 모든 비도덕적인 행동이 반드시 법으로 금지되는 것도 아니다.
Most people can think of an instance where they believe a behavior is immoral, but would not support criminalizing it or using the full force of the law to stop people from doing it.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떤 행동이 비도덕적이라고 믿지만 사람들이 그것을 하는 것을 막기 위해 그것을 법으로 금지하거나 법의 온전한 힘을 사용하는 것을 자신들이 지지하지 않을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even if people do abstractly support legal regulation of immoral behavior, they vary in how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want the legal system to intervene.
동시에 사람들은 비록 자신들이 비도덕적 행동의 법적 규제를 추상적으로 정말 지지한다고 하더라도, 어떻게 그리고 어느 정도나 법체계가 개입하기를 원하는지에 있어서는 서로 다르다.
Such views are strongly shaped by the wat in which people understand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the law withing society.
그러한 관점들은 사람들이 사회 안에서 법의 위치와 기능을 이해하는 방식에 의해 강하게 형성된다.
13-6. 소재: 영국과 프랑스의 평균수명 차이를 만든 요인
13-6. 소재: 영국과 프랑스의 평균수명 차이를 만든 요인
For many years the British-French rivalry has extended from rugby matches politics and trading insults to trading mortality statistics.
오랫동안 영국과 프랑스의 경쟁은 럭비 경기, 정치, 그리고 모욕적 언행을 주고받는 것에서 사망률 통계를 주고받는 것에 이르기까지 확대되었다.
Since records in France started to be accurately collected, they have reported considerably fewer deaths from hear disease and a longer lifespan than the British.
프랑스에서 기록이 정확하게 수집되기 시작한 이래로 기록들은 (프랑스가) 영국보다 심장병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상당히 적고 수명이 더 길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The French are proud of this, but many UK colleagues tell me that much of the difference is due to a reluctance to record deaths properly, with the same ‘Anglo-Saxon rigour’.
프랑스인들은 이를 자랑스러워하지만, 많은 영국인 동료들은 그 차이의 상당 부분이 죽음을 동일한 ‘앵글로 색슨의 엄격함’을 가지고 제대로 기록하기를 꺼리는 것에 기인한다고 말한다.
Others disagree, asserting that misclassification could only explain at most 20 percent of the difference, and point to a consistent north-south difference across Europe.
다른 사람들은 (사망자 집계의) 분류 오류는 기껏해야 그 차이의 20퍼센트만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 말에 동의하지 않고 유럽 전역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남북 차이를 거론하다.
Even within France itself there is a wide north-south difference, which suggests that most of the variation between UK and France is due to the healthier habits of the southerners.
심지어 프랑스 자체 내에서도 남과 북 사이에는 큰 차이가 존재하고, 이는 영국과 프랑스의 대부분의 차이가 남부 사람들의 더 건강한 습관 때문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13-7. 소재: 남미의 냉동 건조 감자 chuñ
13-7. 소재: 남미의 냉동 건조 감자 chuñ
Once harvested, potatoes, even under ideal conditions, keep for only a few months before they sprout, and they are vulnerable to mould and decay.
감자는 일단 수확되면 이상적인 조건에서도 겨우 몇 달간만 신선하게 유지되다가 싹이 나고, 곰팡이와 부패에 취약하다.
Native South Americans, however, developed a method of preserving them so that they could be stored for years to provide a safeguard against famine.
하지만 남아메리카 원주민들은 기근에 대비한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그것들이 수년간 보관될 수 있도록 그것들을 (썩지 않게) 저장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The cold, dry climate of the altiplano the high Andean plateau made this possible.
altiplano(안데스산맥의 높은 고원)의 춥고 건조한 기후가 이것을 가능하게 했다.
After harvest, the potatoes were covered to prevent dew from settling on them and left out overnight in freezing temperatures.
감자는 수확 후에 이슬이 그 위에 내려앉는 것을 막기 위해 덮인 상태로 몹시 추운 기온에 하룻밤 밖에 놓여진다.
The following day, the potatoes were exposed to the sun and farm families —men, women and children alike —trod on the frozen potatoes to express their liquid, a process repeated several times during the following days.
그다음 날에 그 감자는 태양에 노출되고, 농가 식구들, 즉 남자, 여자, 아이들이 모두 언 감자를 밟아 으깨어 그 액을 짜냈는데, (이는) 그다음 여러 날 동안 여러 번 반복되는 과정이었다.
The resulting freeze-dried potato, called chun͠o, was stored in sealed, permanently frozen underground warehouses where it would keep for years before deteriorating.
그 결과로 생긴 chuñ라고 불리는 냉동 건조된 감자는 수년간 신선하게 유지되다가 (상태가) 나빠지게 될 밀폐된 영구 냉동 지하 창고에 보관되었다.
Chun͠uo was ground into flour and baked into bread, or rehydrated and used for thickening soups and stews, such as chupe, which was made with available meat and vegetables.
chuñ는 빻아서 가루로 만들어 구워서 빵으로 만들거나, 수프와 chupe 같은 스튜를 걸쭉하게 하기 위해 물을 넣어 원상으로 되돌려 사용되었는데, 그것(chupe)은 구할 수 있는 고기와 채소로 만들어졌다.
13-8. 소재: 흙 다짐 벽
13-8. 소재: 흙 다짐 벽
Have you ever played with the sand art toy where you pour colored sand into empty plastic frames or bottles one layer at a time to make pretty designs and patterns?
예쁜 무늬와 문양을 만들기 위해 빈 플라스틱 틀이나 병에 한 번에 한 겹씩 색 모래를 부어 넣는 모래 예술 장난감을 가지고 놀아본 적이 있는가
Natural builders use a similar technique, but on a much larger scale, when they build rammed earth walls.
자연 건축업자들은 흙 다짐 벽을 만들 때 유사한 기법을 사용하지만, 훨씬 더 큰 규모로 사용한다.
A single wall of this type is often used as an accent piece in a naturally built house.
이런 형태의 단일 벽은 흔히 자연을 이용하여 지어진 집에서 악센트 피스로 사용된다.
Rammed earth walls are often made of layers of red, orange, yellow, brown and cream-colored earth.
흙 다짐 벽은 흔히 붉은색, 주황색, 노란색, 갈색 및 크림색 흙의 겹으로 만들어진다.
To make a wall like this, first a frame, or formwork, is built.
이와 같은 벽을 만들기 위해서, 우선 틀, 즉 거푸집이 만들어진다.
Next, a damp mixture of sand, gravel and clay is poured into the form.
다음으로, 모래, 자갈, 그리고 찰흙의 축축한 혼합물이 틀 안으로 부어진다.
To make it more attractive, the different layers might be colored with natural pigments.
그것을 더 매력적이게 하기 위해, 서로 다른 겹을 천연 안료로 착색할 수 있다.
Once the earth is in the form, it is packed down to compress it and make it stick together as a solid wall.
일단 흙이 틀 안에 들어가면, 압축하여 단단한 벽으로 서로 달라붙게 하기 위해 그것은 눌러 다져진다.
14-1. 소재: 직업과 무관할 때의 놀이의 가치
14-1. 소재: 직업과 무관할 때의 놀이의 가치
Play is often discounted as something for children, because it does not deal with important survival processes, because it is useless.
놀이는 중요한 생존 과정을 다루고 있지 않기 때문에, 즉 쓸모가 없다는 이유로 흔히 아이들용이라고 평가절하 되곤 한다.
But this is a profound misunderstanding.
그러나 이것은 심각한 오해이다.
Play is important because it is useless; because it allows us to act not because of necessity of convenience, but in order to freely express our being.
놀이는 쓸모가 없다는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중요한데, 그것이 우리로 하여금 필요나 편리함 때문이 아니라 자유롭게 우리의 존재를 표현하기 위해 행동하도록 해 주기 때문이다.
The problem, however, starts again when play becomes a profession —with all the external rewards and responsibilities that this entails.
그러나, 놀이가 직업이 되어 이에 수반하는 모든 외적 보상과 책임을 지니게 되면 다시 문제가 시작된다.
Musicians playing for leading symphony orchestras, or athletes playing for multi-million contracts with elite teams, no longer feel that they play to express their being.
잘나가는 관현악단에서 연주하는 음악가나 최고의 팀과 수백만 달러의 계약을 맺고 운동하는 선수들은 더 이상 자신의 존재를 표현하기 위해 (그것을) 하고 있다고 느끼지 않는다.
Instead, they start feeling that their skill is being used by others for their own ends.
그 대신, 그들은 자신들의 기량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 그들의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고 느끼기 시작한다.
When that happens, instead of allowing for the free flow of consciousness, even play becomes part of the iron cage.
그런 일이 일어나면, 의식의 자유로운 흐름을 허용하는 대신, 놀이조차도 쇠우리의 일부가 되어 버린다.
14-2. 소재: 명명 오류(nominal fallacy)
14-2. 소재: 명명 오류(nominal fallacy)
One facet of the nominal fallacy, the error of believing that the label carries explanatory information, is the danger of using common words and giving them a scientific meaning.
호칭이 설명 정보를 지닌다고 믿는 오류인 명명 오류의 한 측면은 평범한 단어를 사용하여 그것에 과학적 의미를 부여하는 위험이다.
This has the often disastrous effect of leading an unwary public down a path of misunderstanding.
이것은 부주의한 대중을 오해의 길로 호도하는 비참한 결과를 흔히 초래한다.
Words like “theory”, “law”, “force” do not mean in common discourse what they mean to a scientist.
‘이론’, ‘법’, ‘힘’과 같은 단어들은 평범한 담화에서 그것들이 과학자들에게 의미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Success” in Darwinian evolution is not the same “success” as taught by Dale Carnegie.
다윈의 진화론에서의 ‘성공’은 Dale Carnegie가 가르친 것과 같은 ‘성공’이 아니다.
“Force” to a physicist has a meaning quite different from that used in political discourse.
물리학자에게 ‘힘’은 정치 담론에서 사용되는 것과는 상당히 다른 의미를 지닌다.
The worst of these, though, may be “theory” and “law”, which are almost polar opposites —theory being a strong idea in science while vague in common discourse, and law being a much more muscular social than scientific concept.
하지만 이것들 중 가장 최악의 것은 ‘이론’과 ‘법’일 가능성이 있는데, 그것들은 거의 완전히 반대의 의미를 갖는 것들이라서, 이론은 과학에서 확실한 개념인 반면에 평범한 담화에서는 모호하고, 법은 과학적 개념이라기보다는 훨씬 더 강력한 사회적 개념이다.
These differences lead to sometimes serious misunderstandings between scientists and the public that supports their work.
이러한 차이점은 과학자와 그들의 작업을 지지하는 일반 대중 사이에 때때로 심각한 오해를 초래한다.
14-3. 소재: 정서 자극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14-3. 소재: 정서 자극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re is an optimal level of emotion that is necessary for increased learning.
학습 증진에 필요한 최적의 감정 수준이 있다.
Too much or too little reduces the efficiency of the cortex.
너무 많거나 너무 적은 수준은 대뇌 피질의 효율성을 감소시킨다.
This is why movies, books, and music that trigger emotions are easily remembered.
이것이 바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영화, 책, 음악이 쉽게 기억되는 이유다.
The best lessons in life or in a classroom make you laugh, think, or cry.
인생이나 교실에서 가장 좋은 수업은 여러분을 웃게 하거나, 생각하게 하거나, 혹은 울게 한다.
One of my high school teachers removed all the furniture from the classroom and taped small square dimensions on the floor that represented the amount of space a slave was afforded on the ships transporting them from Africa to America.
나의 고등학교 선생님 중 한 분은 교실에서 모든 가구를 치우고 바닥에 아프리카에서 미국으로 그들을 운반하는 배에서 노예 한 명에게 주어진 공간의 양을 나타내는 작은 사각형 모양의 면적을 테이프로 표시하셨다.
During that lesson, students were seated tightly packed in their allotted squares for the duration of the period.
그 수업에서 학생들은 수업 시간 내내 할당된 사각형 안에 꽉 들어찬 채 앉아 있었다.
We struggled to make it through the entire period and wondered how slaves could be in similar positions for months.
우리는 전체 수업 시간 동안 참아 내려고 애썼고 노예들이 어떻게 몇 달이나 비슷한 자세로 있을 수 있었는지 궁금히 여겼다.
My high school history teacher created an emotional experience that I remember vividly to this day.
나의 고등학교 역사 선생님께서는 내가 지금까지도 생생하게 기억하는 정서적 경험을 만들어주신 것이었다.
14-4. 소재: 표준 단위의 확산
14-4. 소재: 표준 단위의 확산
Standards are prevalent in our modern world because they reduce the costs of interactions among the firms and people that subscribe to them.
표준 단위는 그에 동의한 기업과 사람들 간의 상호 작용의 비용을 줄여주기 때문에 현대 사회에 널리 퍼져 있다.
Hence, it is not unexpected to see standards coevolve with markets.
따라서, 표준 단위가 시장과 함께 진화하는 것을 보는 것이 예상 밖의 일은 아니다.
Many people are surprised to learn that only a few centuries ago simple measures of weight and volume, such as the pound and the pint, were not standard.
많은 사람들은 불과 몇 세기 전만 해도 파운드와 파인트 같은 무게와 부피의 간단한 단위가 표준화되지[공인되지] 않았음을 알고 놀란다.
Even though the same word was used in different towns, the weight of a pound varied from town to town —sometimes by as much as a factor of four.
비록 같은 단어가 여러 다른 마을에서 사용되었지만, 1파운드의 무게는 마을마다 달랐는데, 때로는 4배만큼이나 차이가 났다.
But as cities began to trade with one another and governments began to impose their rule over larger areas, the use of standards grew.
하지만 도시들이 서로 거래를 하기 시작하고 정부가 더 넓은 지역을 통치하기 시작하면서, 표준 단위의 사용은 증가했다.
The coevolution of standards are markets is easy to understand, since anyone buying a bushel of corn from a vendor in another town would want that bushel to mean the same in both towns.
다른 마을의 상인에게서 옥수수 한 부셀을 사는 사람은 누구나 그 부셀이 두 마을에서 같은 것을 의미하기를 원할 것이기 때문에, 표준 단위와 시장이 함께 진화하는 것은 이해하기 쉽다.
So the possibility of trade created an incentive for standardization, and helped the expansion of the governments that were keen on the use of standards.
그래서 교역의 가능성은 표준화의 동기를 만들어냈으며[거래가 가능하려면 표준화가 생겨야 했고] 표준 단위의 사용에 몹시 관심이 많은 정부들이 널리 확대되는 것을 도왔다.
14-5. 소재: 유기체의 바탕이 되는 탄소의 유래
14-5. 소재: 유기체의 바탕이 되는 탄소의 유래
There is an interesting side to the evolutionary process that is illuminated by astronomy.
진화 과정에 대해 천문학에 의해 밝혀지는 재미있는 측면이 있다.
The living organisms we now see all have their structure based upon the element carbon.
우리가 오늘날 보는 살아있는 유기체들은 모두 그 구조가 탄소라는 원소에 기반하고 있다.
Most biochemists believe no other basis is possible for life.
생화학자 대부분은 다른 어떤 기반도 생명체의 기반이 될 수 없다고 믿는다.
But where does carbon come from?
그렇지만 탄소는 어디에서 오는가
Carbon originates in the centre of stars where at temperatures of millions of degrees it is ‘cooked’ from simple protons and neutrons.
탄소는 수백만 도의 온도에서 그것이 단순한 양성자와 중성자로부터 ‘조리되는[만들어지는]’ 항성의 중심부에서 생겨난다.
When the stars reach the end of their lives they explode and disperse carbon into space and on to the surface of planets and meteorites.
항성은 수명이 다하면 폭발하여 탄소를 우주로 그리고 행성 및 운석의 표면에 확산시킨다.
However, the time needed to make carbon and other heavier elements, like nitrogen and oxygen, by this stellar alchemy is very long; nearly a billion years.
그러나 이 항성의 연금술로 탄소, 그리고 질소와 산소 같은 다른 더 무거운 원소를 만드는 데 필요한 시간은 매우 긴데, 거의 십억 년에 달한다.
Only after this immense period of time will the building blocks of life be available in the universe, and only then can biochemistry take over.
이 엄청난 시간이 지난 후에야만 생명체의 구성 요소를 우주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오직 그때서야 비로소 생화학이 이어받을 수 있다.
14-6. 소재: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객체 지향적인 디자인 전략
14-6. 소재: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객체 지향적인 디자인 전략
Even very subtle manipulation of object-orientation in an ad design can impact purchase behavior.
광고 디자인에서 객체 지향 방법론을 아주 미묘하게 조작하기만 해도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dvertisers can increase purchase intentions by facilitating mental simulation through their visual depictions of the product.
광고주들은 제품에 대한 시각적 묘사를 통해 심적 시뮬레이션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구매 의사를 높일 수 있다.
They can do this simply by orienting a product (e.g., a cake with a fork) toward the right side.
그들은 이것을 단순히 제품(예를 들면, 포크가 있는 케이크)을 오른쪽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할 수 있다.
While this may not suit the smaller percentage of left-handers, the larger percentage of right-handers will have better mental product-interaction.
이것이 더 적은 비율로 존재하는 왼손잡이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지만, 더 많은 비율로 존재하는 오른손잡이들은 제품과의 정신적 상호작용을 더 잘 할 수 있을 것이다.
These results also hold for shelf display design in retail environments.
이러한 결과는 소매 환경에서의 선반 진열 디자인에도 적용된다.
For example, a very slight change in display design of mugs in th window of a coffee shop could affect purchases with consumers imagining picking up that coffee mug and drinking from it.
예를 들어, 커피숍 창문에 놓인 머그잔의 진열 디자인에 아주 작은 변화만 주어도 소비자들이 그 커피 잔은 들고 커피를 마시는 것을 상상하여 구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Including an instrument (e.g., a spoon for eating an advertised soup) that facilitates mental simulation should also increase purchase intentions.
심적 시뮬레이션을 용이하게 하는 도구(예를 들면, 광고하는 수프를 먹기 위한 숟가락)를 포함하는 것 역시 구매 의사를 증가시킬 것이다.
These consequences of visual depiction impact not just advertising design, but product packaging design and display design as well.
시각적 묘사의 이러한 결과는 광고 디자인뿐만 아니라 제품 포장 디자인과 진열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친다.
14-7. 소재: 지구상의 모든 에너지의 근원적인 원천인 태양
14-7. 소재: 지구상의 모든 에너지의 근원적인 원천인 태양
The sun is the ultimate source of all energy on earth, whether it’s used by grass in the fields, tress in the forest, or your car on the road.
태양은 들판의 풀에 의해 사용되든, 숲의 나무에 의해 사용되든, 또는 도로 위의 여러분의 차에 의해 사용되는 간에 지구상의 모든 에너지의 근원적인 원천이다.
Though poets might prefer a more evocative comparison, astrophysicists liken the sun to a nuclear fusion reactor.
시인들은 더 좋은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비교를 선호할 수도 있겠지만, 천체 물리학자들은 태양을 핵융합 원자로에 비유한다.
Astronomers observe that the sun’s diameter is more than one hundred times larger than the earth’s, and it is unimaginably hot —nearly 15 million degrees Celsius at its center.
천문학자들은 태양의 지름이 지구의 지름보다 100배 넘게 더 크며, 태양은 그 중심부가 거의 섭씨 1,500만 도로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뜨겁다고 말한다.
Within that heat, the sun packs enormous pressure; the core is forty-three times denser than a diamond.
태양은 그 열기 속에서 엄청난 압력을 지니며 중심부는 다이아몬드보다 43배 더 밀도가 높다.
Under these extreme conditions four protons slamming together make one helium atom through nuclear fusion.
이러한 극한 조건 하에서 4개의 양성자가 함께 부딪치며 핵융합을 통해 하나의 헬륨 원자를 만든다.
When that happens, about 0. 7 percent of the mass of the protons is turned into energy (E=mc²), and about 0.000000045 percent of that energy eventually comes flying in our direction in the form of sunlight.
그것이 일어날 때, 양성자 질량의 약 0. 7퍼센트가 에너지로 변환되고(E=mc²), 그 에너지의 약 0. 000000045퍼센트가 마침내 햇빛의 형태로 우리가 있는 방향으로 날아오게 된다.
That doesn’t sound like a lot of energy, but it’s enough to power all life on earth, and more.
그것은 많은 에너지처럼 들리지는 않지만,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에게 에너지를 공급하기에 충분하고 더 많기도 하다.
In fact, the energy in sunlight arriving on earth contains about twelve thousand times more energy than humanity uses in a year.
사실, 지구에 도달하는 햇빛의 에너지는 인류가 1년에 사용하는 에너지보다 약 12,000배 더 많은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다.
14-8. 소재: 운동이 두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14-8. 소재: 운동이 두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While our brains make up only 2% of our weight, they consume 20% of our energy.
두뇌는 우리 체중의 오직 2퍼센트만 차지하고 있지만, 우리 에너지의 20퍼센트를 소비한다.
They are hungry for oxygen and glucose.
그것은 산소와 포도당을 갈망한다.
This means they are dependent on good blood flow and good regulation of blood sugar.
이것은 그것이 적절한 혈액 순환과 적절한 혈당 조절에 의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is where exercise helps.
이 점에 있어서 운동이 도움이 된다.
Poor regulation of blood sugar, for example, is associated with smaller hippocampi —the brain regions responsible for laying down long-term memories.
예를 들어, 불충분한 혈당 조절은 더 작은 해마와 연관이 있는데, 이것은 장기 기억을 저장하는 데 책임이 있는 두뇌 부분이다.
Regular exercise will increase the amount of blood flowing through your brain, and improve the delivery of blood sugar.
규칙적인 운동은 여러분 두뇌에 흐르는 피의 양을 증가시키고 혈당의 전달을 개선시킬 것이다.
This will help new neurons —brain cells —to grow.
이것은 새로운 뉴런들, 즉 뇌 세포들이 성장하도록 도울 것이다.
Until recently, scientists didn’t think adults could grow new neurons; you just had to make do with what you were born with.
최근까지, 과학자들은 성인이 새로운 뉴런을 성장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는데, 사람은 자신이 가지고 태어난 것으로 그럭저럭 살아야만 한다는 생각이었다.
But we can —and exercise helps this, as well as strengthening connections between existing neurons, improving long-term memories.
그러나 우리는 할 수[뉴런을 성장시킬 수] 있으며 운동은 현재의[기존의] 뉴런들 간의 연결을 강화하여 장기 기억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렇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
15-1. 소재: 노인 언어의 특성
15-1. 소재: 노인 언어의 특성
Elderspeak is characterized by several components.
노인 언어는 몇 가지 구성 요소를 특징지어진다.
Which ones are beneficial for older adults and which ones are not helpful?
어떤 구성 요소가 노인에게 유익하고 어떤 것이 도움이 되지 않을까
Kemper and Harden had older adults watch a videotape in which a speaker described a route that was also traced on a map.
Kemper와 Harden은 노인들에게 지도상에서도 따라가게 되는 어떤 경로를 한 화자가 묘사하고 있는 비디오테이프를 시청하게 했다.
The older adults reported that the instructions were easier to follow when the speaker reduced the grammatical complexity and used semantic elaboration that is, repeated and expanded upon what was said.
노인들은 화자가 문법적 복잡성을 줄이고 의미의 상세화를 사용했을 때 (즉, 발화되는 내용을 반복하고 상세히 말했을 때) 설명을 이해하기가 더 쉽다고 말하였다.
Simpler grammar and semantic elaboration also helped older adults improve their accuracy when they had to reproduce the same route on a map of their own.
더 단순한 문법과 의미의 상세화는 또한 노인들이 자신들의 지도 위에 그들 스스로 같은 경로를 재현해야 했을 때 그들이 자신의 정확성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In contrast,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speaker’s utterances into two- and five-word sentences did not improve the older adults’ comprehension of the instructions, nor did it improve their performance when they traced a map of their own.
그에 반해서 화자의 발화 길이를 두 단어 문장과 다섯 단어 문장으로 줄이는 것은 설명에 대한 노인들의 이해를 향상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그들이 자신들의 지도를 따라갈 때에도 그들의 수행을 향상하지 못했다.
Also, the older listener did not find that an extremely slow rate of speaking with many pauses or exaggerated prosody was helpful.
또한, 노인 청취자들은 많은 휴지[멈춤] 또는 과장된 운율로 매우 느리게 말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
15-2. 소재: 외모에 대한 타인의 주목이 자의식에 미치는 영향
15-2. 소재: 외모에 대한 타인의 주목이 자의식에 미치는 영향
In one experiment, a student was required to wear an embarrassing T-shirt (one) sporting a large image of Barry Manilow —a popular singer but of low prestige among college students before entering a room in which a group of their peers were assembled.
한 실험에서, 한 학생이 자기 동료 집단이 모여 있는 방에 들어가기 전에 당황스러운 티셔츠(유명한 가수이지만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명성이 높지 않은 Barry Manilow의 모습을 담은 커다란 그림을 자랑스럽게 보여 주는 셔츠)를 입도록 요청을 받았다.
The scientists noted in their paper that ‘all participants nonetheless put on the shirt, although none looked particularly thrilled about doing so’.
과학자들은 자신들의 논문에서 ‘어느 누구도 그 셔츠를 입는 것에 대하여 신이 나는 것 같지는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참가자들이 그렇게 했다.’라고 언급했다.
The wearer of the T-shirt was later asked to estimate the number of fellow students in the crowded room who definitely discerned the face on the shirt, and this was compared with the actual number who had noticed.
티셔츠를 입은 사람은 나중에 사람들로 붐비는 방에서 셔츠 위에 그려진 얼굴을 분명히 알아보는 동료 학생들의 수를 추정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고, 이것은 실제로 알아차린 학생의 수와 비교되었다.
In fact, the students were so consumed with their own embarrassment over wearing the clothes that they were unable to accurately gauge how conspicuous it was to others.
사실상, 학생들은 그 옷을 입는 것에 대한 스스로의 당혹감에 너무 영향을 받아서 그것이 다른 사람들에게 얼마나 눈에 띄는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다.
The T-shirt wearers overestimated how many others spotted the embarrassing shirt on average by a factor of two.
티셔츠를 입은 사람들은 얼마나 많은 다른 사람들이 당황스러운 티셔츠를 알아보았는지를 평균적으로 두 배나 많게 과대 추정하였다.
15-3. 소재: 전전두엽 피질과 감정 양식의 상관관계
15-3. 소재: 전전두엽 피질과 감정 양식의 상관관계
Dr. Davidson and his colleagues have shown that there is asymmetry in the prefrontal cortex reflecting our affective style.
Davidson 박사와 그의 동료들은 우리의 감정 양식을 반영하는 전전두엽 피질에 비대칭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When there is more activity in the right side of the prefrontal cortex, it correlates with negative emotions such as worry, sadness, and anger.
전전두엽 피질의 우측이 더 활성화되면 그것은 걱정, 슬픔, 분노 같은 부정적인 감정과 상관관계가 있다.
If the left side is more active, we tend to be in a positive emotional state, with a sense of well-being, enthusiasm, even joy.
만약 (전전두엽 피질의) 좌측에 움직임이 더 많아지면, 우리는 행복감, 열정, 심지어 기쁨과 함께 긍정적인 감정 상태가 되는 경향이 있다.
Developing a greater ability to recover, then, should show up as a shift in the relative activity between the two sides of the prefrontal cortex: the left side ought to become more active as the right side calms down.
그렇다면, 더 큰 회복력을 생기게 하는 것은 전전두엽 피질의 양측 사이의 상대적 활동의 변화로 나타나게 된다. 즉, 우측은 진정되면서 좌측이 더 움직임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In fact, that happened with a group that practiced mindfulness meditation for eight weeks.
실제로, 이런 일은 8주 동안 마음 챙김 명상을 실행하는 한 집단에서 일어났다.
They had greater activity in the left side, reported a stronger sense of well-being, and even showed a positive change in immune system function, as measured by influenza antibody titers.
그들은 (전전두엽 피질의) 좌측이 더 활성화되었고, 더 강한 행복감을 (느낀다고) 말하였으며, 심지어 인플루엔자 항체 역가(力價)를 통해 측정된 바와 같이 면역 체계 기능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Those who had the most activity in the left prefrontal cortex had the strongest immune system response, suggesting a connection between overall well-being and the health of the immune system.
왼쪽 전전두엽 피질의 움직임이 가장 활발한 사람들이 가장 강한 면역 체계 반응을 보였는데. 이는 전반적인 행복과 면역 체계의 건강 사이의 연관성을 시사해 주었다.
15-4. 소재: 유용하지 않은 포커스 그룹의 피드백
15-4. 소재: 유용하지 않은 포커스 그룹의 피드백
Focus groups are commonly used in marketing but in some countries there are very real problems with them.
포커스 그룹은 마케팅에서 흔히 사용되지만 몇몇의 나라에서는 그들에게 매우 실질적인 문제가 있다.
Since it is difficult to recruit random people to be in focus groups, research agencies have developed large pools of consumers willing to take part in focus groups at short notice.
포커스 그룹에 들어갈 사람들을 무작위로 모집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연구 기관들은 촉박한 통보에도 포커스 그룹에 기꺼이 참여할 대규모 소비자 풀을 만들었다.
However, the problem is that many of these consumers are too willing.
그러나 문제는 이런 소비자 중 많은 수가 너무 자발적이라는 것이다.
Research has revealed that many consumers enjoy the pay, free food, and experience of being an expert and focus on pleasing the moderator in order to get invited back regularly.
연구는 많은 소비자가 보수, 무료 음식, 그리고 전문가가 되는 경험을 즐기고, 정기적으로 다시 초대를 받기 위해 진행자를 만족시키는 데 주력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Unfortunately, the way to please the very human moderator seems to be to work out what they want to hear, rather than providing them with genuine insights about the brand.
안타깝게도, 바로 그 인간적인 진행자를 만족시키는 방식은 브랜드에 대한 진정한 통찰력을 그들에게 제공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그들이 듣고 싶어 하는 말을 알아내는 것으로 보인다.
This makes much of the data gained from focus-group panels worthless.
이것은 포커스 그룹 패널로부터 얻은 자료의 많은 부분을 쓸모없게 만든다.
Agencies are award of this problem and ensure a churn rate within groups to keep them fresh, but consumers get around this by using multiple names in order to remain in the pool.
(연구) 기관들은 이 문제를 알고 있고, 그들[패널]을 새롭게 유지하기 위해 그룹 내에서 참가 중단율을 확실히 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은 (소비자) 인력풀에 남아 있기 위해 여러 이름을 사용함으로써 이것을 피한다.
16-1~2. 소재: 성공으로 가는 지름길
16-1~2. 소재: 성공으로 가는 지름길
Once you have defined what success looks like for you and have begun to design it, next comes the work.
일단 여러분이 성공이 여러분에게 어떤 것인지 정의하고 그것을 디자인하기 시작했으면, 그다음은 일이 따른다.
There’s no substitute for hard work; we all have to roll up our sleeves and take the stairs to get to that floor we’re going after.
각고의 노력을 대체할 만한 것은 없으며 우리는 모두 소매를 걷어 올리고, 우리가 가고자 하는 층으로 가기 위해 계단을 올라가야 한다.
The Roman philosopher Seneca once said, “Luck is what happens when preparation meets opportunity.”
로마의 철학자 Seneca는 “행운은 준비가 기회를 만날 때 생기는 것이다”라고 언젠가 말하였다.
The preparation is the work, and the opportunity will find us when we are truly ready to work and make it ours.
준비는 일이며, 우리가 일하고 그것을[기회를] 우리의 것으로 만들 준비가 진정으로 되었을 때 기회는 우리를 찾을 것이다.
While some get caught up in wishful thinking, visualizations, and acting as if they already have it, the one thing that glues the whole process together is putting in the elbow grease.
어떤 이들은 희망 사항, 구상화 그리고 자기들이 이미 그것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에 사로잡혀 있지만, 전체적인 과정을 함께 접착시키는 한 가지는 피땀[힘든 노동]을 쏟는 것이다.
A gardener can't just wish for a beautiful garden and one suddenly appears; she has to choose the seed, pick the place, clear the ground, dig the holes, plant the seed, water it, add mulch, and repeat these steps over and over again if she wants to experience that beautiful healthy garden in the flesh.
정원사가 그저 아름다운 정원을 원한다고 해서 갑자기 정원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만약 그녀가 그 아름답고 건강한 정원을 실물로 경험하고 싶다면, 씨앗을 고르고, 장소를 고르고, 땅을 개간하고, 구멍을 파고, 씨앗을 심고, 물을 주고, 뿌리 덮개를 더해주고 이 단계를 거듭 반복해야 한다.
Similarly, if you want to live a full, adventurous, abundant, joy-filled, and loving life, it’s going to take work.
마찬가지로, 만약 여러분이 완전하고, 모험적이고, 풍부하고, 기쁨으로 가득 차고, 사랑스런 삶을 살고 싶다면, 일을 해야 할 것이다.
Trust that there will be setbacks and temporary bumps along the journey, but they’re nature’s way of strengthening us to be ready for what it is we’re working toward.
그 어려운 과정에는 차질과 일시적인 방해물이 있을 테지만 그것들은 우리가 얻으려고 노력하는 바로 그것을 준비할 수 있도록 우리를 더 튼튼하게 하는 자연의 방식이라는 것을 믿어라.
16-3~4. 소재: 습관의 철학적 의미
16-3~4. 소재: 습관의 철학적 의미
Our tendency to overlook habit can be explained by one aspect of habit itself: the way in which familiarity and repetition dull our senses.
습관을 간과하는 우리의 성향은 습관 그 자체의 한 측면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데, 그것은 친숙함과 반복이 우리의 감각을 둔하게 만드는 방식이다.
Marcel Proust describes habit as a ‘heavy curtain’ which ‘conceals from us almost the whole universe, and prevents us from knowing ourselves.
Marcel Proust는 습관을 ‘우리로부터 거의 전 우주를 감추고 우리가 우리 자신을 아는 것을 막는’, ‘두꺼운 커튼’으로 묘사한다.
’Not only this: habit ‘cuts off from things which we have witnessed a number of times the root of profound impression and of thought which gives them their real meaning.’
이뿐만 아니라, 습관은 ‘우리가 몇 번이고 목격한 것들로부터 그것들에게 진정한 의미를 부여해주는 심오한 인상과 사고의 근원을 차단한다.’
Proust realized that an artist has to draw back, or tear open, this curtain of habit, so that the most familiar features of our world become visible, meaningful, and cause for wonder.
Proust는 예술가는 우리 세상의 가장 친숙한 특징들이 눈에 보이고, 유의미해지고, 경탄의 원인이 될 수 있도록 이 습관이라는 커튼을 걷어 내거나 뜯어내어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But this is also the philosopher’s task.
그러나 이것은 또한 철학자의 일이기도 하다.
Although it is often said —quoting Plato or Aristotle —that philosophy begins with wonder, the wondering state of mind is only reached by first penetrating the heavy curtain of habit.
비록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을 인용하여 철학은 경탄으로 시작한다고 자주 이야기되지만, 경탄하는 마음의 상태는 오로지 습관이라는 두꺼운 커튼을 우선 뚫고 나가야만 도달할 수 있다.
So habit is a uniquely philosophical issue, and it is also an important and profound feature of ordinary life.
그래서 습관은 특히 철학적인 주제이고, 또한 일상생활의 중요하고 심오한 특징이기도 하다.
A few European philosophers have gone so far as to claim, like many teachers in the Buddhist tradition, that habit provides ‘an answer to the problem of the self’, that our continuing identity through time and change is produced by the tenacity of habit.
몇몇 유럽의 철학자들은 불교 전통의 많은 스승들과 마찬가지로 습관은 ‘자신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공해주고, 시간과 변화를 거쳐 지속되는 우리의 정체성은 습관의 완강함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주장하기까지 했다.
If this is true —and perhaps even if it is not quite true —then habit’s ambiguity and uncertainty belong to the mystery of human selfhood.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그리고 혹시 만약 그것이 완전히 사실이 아니라 해도, 습관의 애매모호함과 불명확함은 인간의 개성이라는 불가사의에 속한다.
The question of habit may be inseparable from our hardest, deepest, most insistent question: who are we? who am I?
습관의[습관이라는] 문제는 우리의 가장 어렵고, 깊고, 가장 끈질긴 문제, 즉 ‘우리는 과연 누구인가’와 ‘나는 과연 누구인가’와 분리될 수 없을 것이다.
16-5~6. 소재: 타인을 기쁘게 하려는 욕구
16-5~6. 소재: 타인을 기쁘게 하려는 욕구
Children love to please their parents.
어린이들은 부모를 기쁘게 하는 것을 좋아한다.
They constantly seek attention, affirmation, and acceptance.
그들은 끊임없이 관심, 지지, 동의를 구한다.
The little boy who is not satisfied with merely riding his bicycle for his mom shows off by riding past the front yard with both hands in the air, “Look, Mom, no hands.”
엄마를 위해 단지 자전거를 타는 것에 만족하지 못하는 어린 소년은 두 손은 공중에 들고 자전거를 타고 앞마당을 지나며 “봐요, 엄마, 손을 놨어요.”라고 자랑한다.
One more achievement, one more accomplishment, and still another opportunity to impress a significant other.
어떤 중요한 다른 사람에게 감명을 주기 위해 또 하나의 성취, 또 하나의 업적, 그리고 거기에 또 하나의 기회가 필요한 것이다.
The burden to please or impress others can be overwhelming.
다른 사람들을 기쁘게 하거나 감동하게 하려는 부담감은 불가항력적일 수 있다.
It can cause us to mortgage our lives to the limit and compromise our self-worth in the process.
그것은 우리가 극단적으로 목숨을 걸고 달려들게 하고 그 과정에서 우리의 자아 존중감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
People-pleasing is the opposite of the self-sabotaging behavior coming from the thought that others should make you happy.
사람을 즐겁게 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 마땅히 ‘여러분’을 행복하게 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나오는 자기 태만 행위의 정반대이다.
If you believe that your job in life is to make others happy or at least to impress them, you suffer from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always trying to please others.
만약 여러분이 다른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거나 최소한 그들을 감동하게 하는 것이 인생에서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면, 여러분은 항상 다른 사람들을 기쁘게 하려고 노력하는 태도와 행동들로 고통 받게 된다.
If at first you do not accomplish this, you try longer and harder.
여러분이 처음에 이를 해내지 못한다면, 여러분은 더 오래 그리고 더 열심히 애쓰게 된다.
Then if you get unsatisfactory responses, you become frustrated and even depressed.
그리고 만약 여러분이 불만족스러운 반응을 얻는다면, 여러분은 좌절하고 심지어 우울해진다.
You shoulder the negative emotions of others, as if you are able to flip the inner switch that is under their control.
여러분은 마치 그들의 통제 하에 있는 내면의 스위치를 여러분이 켤 수 있는 것처럼 다른 사람들의 부정적인 감정을 떠맡게 된다.
The inability to control the attitudes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others is enough to drive a people-pleaser insane.
다른 사람들의 태도와 행동을 통제할 수 없다는 것은 사람들을 기쁘게 하려는 사람을 제정신이 아니게 만들 정도이다.
The need to make people happy appears selfless, but it destines a person to a life filled with anxiety and disappointment.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려는 욕구는 이타적으로 보이지만, 그것은 한 개인을 불안과 실망으로 가득한 삶으로 운명 짓는다.
16-7~8. 소재: 식물의 햇빛 수집 장치
16-7~8. 소재: 식물의 햇빛 수집 장치
Because plants are such marvelously adaptable creatures, they can maximize their ability to survive and thrive in almost any condition.
식물은 매우 놀라운 만큼 쉽게 적응하는 생물이기 때문에, 거의 모든 조건에서 생존하고 번성하는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Since they must make their own food, which requires light during photosynthesis, they must have some sort of mechanism to collect and trap the light they need; i.e., they need solar collectors.
그들은 광합성을 하는 동안 빛이 필요한 자기 자신의 영양물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자신에게 필요한 빛을 모아 가두어 놓은 일종의 작용 원리 [기작: 생물의 생리적인 작용을 일으키는 기본 원리]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즉 그들에게는 태양 에너지 수집기가 필요하다.
When man-made solar collectors are positioned on the roofs of buildings, they are positioned such that they face the direction from which they can collect the most light possible.
인간이 만든 태양 에너지 수집기가 건물 지붕에 배치될 때, 그것들은 가능한 한 가장 많은 햇빛을 모을 수 있는 방향을 향하도록 그렇게 배치된다.
Usually they are positioned facing south so that they can collect light all day long as the sun moves from east to west across the south sky.
태양이 남쪽 하늘을 가로질려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그것들은 하루 종일 햇빛을 모을 수 있도록 대개 남쪽을 향해 배치된다.
The positions are usually fixed.
그 위치는 대개 고정되어 있다.
Elaborate systems may be electronically controlled to move with the sun facing south east in morning hours and slowly moving to face south west as the day progresses.
정교한 장치는 전자적으로 제어되어 태양과 함께 움직여서 아침 시간에는 남동쪽을 향하고, 하루가 지나면서 천천히 움직여 남서쪽을 향할 수 있다,
Grana in plant cells move much like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solar panels, orienting themselves to maximize light collection in shady areas and to minimize light collection in bright sunny areas.
식물 세포 속의 그라나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그 태양 전자판과 매우 흡사하게 움직여서, 그늘진 지역에는 햇빛 수집을 극대화하고 햇빛이 잘 드는 밝은 지역에서는 햇빛 수집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신의 방향을 정한다.
Leaves of trees which are growing on the outermost branches where light is abundant, have a morphology designed to lessen the intensity and have grana in vertical stacks.
햇빛이 풍부한 가장 바깥쪽 가지에서 자라나고 있는 나뭇잎은 강도를 줄이게 고안된 구조를 가지고, 수직으로 포개진 그라나를 가진다.
On the other hand, interior leaves which receive only filtered light may have grana which are in horizontal stacks.
반면에 여과된 햇빛만 되는 안쪽의 잎은 수평으로 포개진 그라나를 가질 수 있다.
17-1~3. 소재: 아들이 불안해하는 상황에 대비를 시킨 아버지
17-1~3. 소재: 아들이 불안해하는 상황에 대비를 시킨 아버지
Once participant of a workshop told a particularly insightful story about his twin six year-old boys.
워크숍의 한 참가자가 자신의 6살 된 쌍둥이 아들들에 관한 매우 통찰력이 있는 이야기를 했다.
As any parent knows, riding the school bus without Mon or Dad is scary enough for a first grader.
어떤 부모도 알듯이 엄마나 아빠 없이 학교 버스를 타는 것은 1학년 아이에게는 충분히 두려운 것이다.
But finding the way from the classroom to the bus at 3:30 by themselves is even more intimidating.
그렇지만 3시 30분에 자기들끼리 교실에서 버스까지 길을 찾아가는 것은 훨씬 더 겁먹게 한다.
There are so many buses!
버스가 너무 많은 것이다!
And they all look the same.
그리고 그 버스는 다 똑같이 생겼다.
His six-year-olds spent most of the school year getting comfortable with their exact route and pickup point every day.
그의 6살 된 아이들은 매일 자기들이 갈 정확한 경로와 승차 지점에 익숙해지는 데 학년도의 대부분 시간이 걸렸다.
Then One day they were told their pickup spot was going to change.
그러던 어느 날 그들은 승차 지점이 바뀔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In the days leading up to the big switch, it became evident that one of the twins was very concerned, while the other seemed unaffected.
큰 변화를 앞두고 있던 나날에, 쌍둥이 중 한 명은 매우 걱정하는 반면에 다른 한 명은 영향을 받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Apparently, the new pickup spot was just outside one boy’s classroom.
보아하니 새로운 승차 지점은 한 아이의 교실 바로 밖이었다.
He could see it from the window.
그는 창문에서 그곳을 볼 수 있었다.
But for the other boy, in a different classroom, the pickup spot was even farther away, and in a different direction.
그러나 다른 교실에 있는 다른 아이에게는 승차 지점에서 훨씬 더 멀었고, 다른 방향이었다.
The night before the big day, shortly after bedtime, Dad noticed one child sleeping soundly, while the other was restless.
중요한 날 전날 밤 잠자리에 드는 시간 직후에 아빠는 한 아이는 곤히 자고 있는데, 다른 아이는 잠들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챘다.
He got his nervous little boy out of bed and asked him what was wrong.
아빠는 자신의 불안해하는 어린아이를 잠자리에서 일어나게 하고 그에게 무엇이 문제인지 물었다.
“I don’t know what I’m going to do, Daddy.”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아빠.”
So Dad dressed the little boy up in his school clothes already laid out for the next day, and they went on an imaginary journey.
그래서 아빠는 어린아이에게 이미 다음 날을 위해 (입을 수 있도록) 펼쳐 놓은 학교 갈 때 입는 그의 옷을 입혔고, 그들은 가상 여행을 떠났다.
“Pretend you’re in class, and the teacher says it’s time to go.
“네가 교실에 있다고 상상하렴. 그리고 선생님이 이제 갈 시간이라고 말씀하신다.
Walk out that door and show me which way you’re going to turn.”
그 문밖으로 걸어 나가 네가 어느 방향으로 돌지 내게 보여 주렴.”
The little one did as Dad asked.
그 어린아이는 아빠가 요구한 대로 했다.
“Now, let’s practice walking down the hall and across the parking lot to the pickup spot.”
“이제, 복도를 따라 걸어가서 주차장을 건너 승차 지점으로 가는 연습을 하자.”
Two good attempts convinced both father and child that all was well.
두 번의 잘된 시도는 아버지와 아이 모두에게 모든 것이 다 잘 되어간다는 확신을 주었다.
“Now, who else in your class rides the same bus with you?”
“이제, 너의 반에서 다른 누가 너와 같은 버스를 타지”
“Johnny B. does.”
“Johnny B.가 타요.”
“Okay, then you pretend I’m Johnny B. You practice asking me if it’s okay if you follow me to the bus.”
“그래. 그러면 넌 내가 Johnny B. 라고 상상하렴. 너는 네가 버스까지 나를 따라가도 되는지 나에게 물어보는 연습을 해라.”
After two or three attempts, the boy found a comfortable way to ask.
두세 차례 시도 후에 소년은 편안하게 물어보는 방법을 찾았다.
Now he had a plan B.
이제 그는 제2안이 있었다.
After a few more words of reassurance, Dad tucked his confident young man in bed, and he fell right to sleep.
안심시키는 몇 마디 말을 하고 난 후에 아빠는 자신의 자신감에 차 있는 어린아이를 감싸 잠자리에 들게 했고, 그는 바로 잠들었다.
What Dad realized was that people, even children, aren’t really afraid of change.
아빠가 깨닫게 된 것은 사람들, 심지어 어린아이들도 진정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었다.
They’re afraid of not being prepared for the change.
그들은 변화에 준비되지 못하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이다.
17-4~6. 소재: Elliot의 구 소비에트 연방 여행
17-4~6. 소재: Elliot의 구 소비에트 연방 여행
As part of a peace delegation, Elliot was invited to tour the former Soviet Union in 1983 at the height of the Cold War.
평화 사절단의 일원으로서, Elliot은 냉전의 절정기인 1983년에 구 소비에트 연방을 여행하도록 초청받았다.
Travel to Russia was tense at that time and included frequent searches by Soviet police and political posturing by officials.
러시아 여행은 그 당시 긴장되었으며 소비에트 경찰의 빈번한 수색과 관료들의 정치적인 가식을 포함하였다.
But the Russian people were friendly and gracious.
하지만 러시아인들은 친절하고 상냥했다.
Elliot was invited to a Russian home and served an elaborate dinner, even though he knew the family’s financial resources were scarce.
Elliot은, 비록 그 가정의 재원이 부족하다는 것을 그가 알았지만, 한 러시아 가정에 초대받아 정성을 들인 저녁 식사를 대접받았다.
The photos that he took that evening of three lively generations living together in one small apartment were precious to him.
그가 그날 저녁에 작은 아파트에서 함께 살아가는 활기찬 세 세대를 찍은 사진은 그에게 무척 소중했다.
The next day Elliot decided to rest at his hotel instead of joining his delegation on a field trip.
다음 날 Elliot은 견학을 가는 대표단에 합류하는 대신에 호텔에서 쉬기로 결정했다.
Later that afternoon, he took a walk through the neighborhood with his camera.
그날 오후 늦게 그는 자신의 카메라를 가지고 동네를 산책했다.
After he stopped to photograph a little boy on a red tricycle, the child disappeared into a long line of people.
그가 멈추어서 빨간 세발자전거를 탄 어린 소년의 사진을 찍은 후에, 그 아이는 길게 줄지어 있는 사람들 속으로 사라졌다.
Immediately the crowd began to complain vigorously about the photo Elliot had just snapped of the little boy.
즉시 그 군중은 Elliot이 방금 찍은 그 어린 소년의 사진에 대해서 격렬하게 항의하기 시작했다.
The fuss caused Elliot to remember that he had been expressly told never to photograph people in lines, and he had already witnessed two other delegates’ films exposed to light after such an incident.
그 야단법석으로 인해 Elliot은 자신이 줄 서 있는 사람들의 사진을 절대 찍지 말라고 분명히 들었고, 또 자신이 이미 다른 두 대표자의 필름이 그런 사건 후에 빛에 노출되는 것을 목격했던 것이 생각이 났다.
In the blink of an eye, Elliot found himself face to face with a large policeman who asked him in broken English to give him his camera.
눈 깜박할 사이에, Elliot은 카메라를 자신에게 내놓으라고 유창하지 못한 영어로 요구하는 덩치 큰 경찰관과 마주하게 되었다.
Smiling politely and apologizing, Elliot pushed the camera and its precious film deep into the backpack he held tightly in his arms and pretended he didn’t understand what he policeman was asking him.
정중하게 미소 짓고 사과하면서, Elliot은 카메라와 그 안의 소중한 필름을 자신의 팔에 단단히 매고 있는 배낭 안 깊숙이 밀어 넣고 그 경찰관이 자기에게 요구하고 있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척했다.
This exchange continued for a few moments until the policeman signaled for Elliot to accompany him to the police station, which turned out to be several miles away.
이 대화를 그 경찰관이 Elliot에게 자기를 따라 경찰서로 가자고 신호를 줄 때까지 얼마 동안 계속되었는데, 경찰서가 몇 마일 떨어져 있음이 밝혀졌다.
There, he was passed from one group to another, each of apparently higher rank than the last.
그곳에서, 그는 한 무리에게서 다른 무리에게로 연이어 보내졌고, 각각의 무리는 보아하니 바로 이전 무리보다 직책이 높은 듯하였다.
Finally, there was a phone call to someone who sounded like an official.
마침내, 관료처럼 보이는 누군가에게 전화가 왔다.
He could make out the words “American, camera,” but not much else.
그는 ‘미국인, 카메라’라는 단어는 알아들었지만, 다른 것은 그다지 알아듣지 못했다.
At the end of the call, the man shrugged, smiled embarrassedly, and indicated that Elliot was free to go.
통화가 끝나자, 그 남자는 어깨를 으쓱하고 멋쩍게 미소 짓고는 Elliot이 가도 된다고 말했다.
When Elliot described what had happened to the other members of his delegation, they asked him why he didn’t immediately hand over the film.
Elliot이 자신이 속한 파견단의 다른 일원들에게 그 전에 일어났던 일에 대해 설명했을 때, 그들은 그에게 왜 그가 즉시 그 필름을 건네지 않았는지 물었다.
His answer was, “If he had threatened me, I would have.
그는 대답했다. “만약 그가 나를 위협했다면, 난 그렇게 했을 거예요.
If the demands sounded aggressive or anyone laid a hand on me, I would have given in.
만약 그 요구가 공격적으로 들렸거나 누군가가 내게 손을 댔다면, 나는 굴복했을 거예요.
But that didn’t happen, so I held my ground.”
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고 그래서 나는 흔들리지 않았어요.”
17-7~9. 소재: 승리를 포기하고 생명을 구한 Larry Lemieux
17-7~9. 소재: 승리를 포기하고 생명을 구한 Larry Lemieux
While the lion’s share of the world’s attention at the 1988 Olympic Games in Seoul went to track and field, an amazing story took place in the obscure sport of sailing.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세계의 관심의 가장 큰 부분은 육상 경기로 향했지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요트 종목에서 놀라운 이야기가 일어났다.
Canadian Larry Lemieux overcame tough 35-knot winds and was in position to claim a medal in the Finn-class competition.
캐나다 사람인 Larry Lemieux는 핀급 경기에서 거친 35노트의 바람을 극복하고 메달을 딸 위치에 있었다.
However, when he saw a capsized boat on a nearby course with injured Singapore sailors in trouble, he abandoned his race to help them.
하지만 그가 인근 코스에서 부상을 입은 싱가포르 선수들이 곤경에 빠져 있는 전복된 배를 보았을 때, 그는 그들을 돕기 위해 자신의 레이스를 포기했다.
Although his actions cost him a medal, it powerfully illustrated to the world that athletic victory alone isn’t everything.
그의 행동은 그에게 메달을 희생하도록 했지만, 그것은 경기의 승리만이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세상에 강력하게 보여주었다.
Shaw Her Siew and Joseph Chan’s boat had capsized about 19 miles off the coast of Busan.
Shaw Her Siew와 Joseph Chan의 배는 부산 해안에서 대략 19마일 떨어진 곳에서 전복되었었다.
Most competitors would have tried to pick up the gold medal, but as Lemieux told The Edmonton Journal, his instincts directed him elsewhere.
대부분의 경쟁자는 금메달을 획득하려 했을 테지만 Lemieux가 The Edmonton Journal에서 말한 것처럼, 그의 본능은 그를 다른 곳으로 향하게 했다.
“The first rule of sailing is, you see someone is trouble, you help him.” Lemieux said.
“요트 경기의 첫 번째 규칙은, 누군가 곤경에 처한 것을 보면, 그를 돕는 것입니다.”라고 Lemieux는 말했다.
“If I went to them and they didn’t really need help, c’est la vie.
“내가 그들에게 갔는데 그들이 정말로 도움이 필요하지 않다면, 인생이 그러한 것이니 할 수 없는 일이지요.
If I didn’t go, it would be something I would regret for the rest of my life.”
내가 가지 않는다면, 남은 생애 동안 후회할 무언가가 될 것입니다.”
He didn’t want to chance living with that guilt.
그는 그런 죄책감을 안고 사는 일을 감행하고 싶지 않았다.
However, once he made the decision, rescuing the stranded sailors still wasn’t easy.
하지만, 그가 결정을 내리고 나서도 좌초된 선원들을 구조하는 것은 여전히 쉽지 않았다.
There were 12-foot waves crashing all around and the current was against the wind.
주변에 온통 굉음과 함께 부딪치는 12피트의 파도가 있었고 물살의 흐름은 바람과 반대였다.
Lemieux had to sail downwind to reach Chan and took on a lot of water in the process.
Lemieux는 Chan에게 이르기 위해 바람과 같은 방향으로 항해를 해야 했으며 그 과정에서 많은 물과 싸웠다.
Skillfully, Lemieux kept his own boat from capsizing, pulled Chan out of the water and then headed back to help Siew.
능숙하게, Lemieux는 자신의 배가 전복되는 것을 막고, Chan을 물 밖으로 끌어내고 나서 다시 Siew를 도우러 갔다.
Afterwards, he kept his small boat steady until a Korean Navy boat arrived and then returned to the race and finished 21st out of a field of 32.
나중에, 그는 한국 해군의 배가 도착할 때까지 자신의 작은 배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였고, 그런 다음 경기로 복귀해 32명이 참가한 경기장에서 21번째로 경기를 마쳤다.
As he told the Journal, he had no regrets.
그가 (The Edmonton) Journal에 말한 것처럼, 그는 아무런 후회가 없었다.
“Chan would have been lost at sea had he not been found.
“그가 발견되지 않았다면, Chan은 바다에서 길을 잃었을 것입니다.
Because the waves were so high you couldn’t see the big, orange course markers when you were between troughs.
왜냐하면, 파도가 매우 높아서 파도 사이의 골에 있을 때 그 커다란 주황색 코스 표지를 볼 수 없었으니까요.
So looking for someone’s head would have been like looking for a needle in a haystack... I could have won gold.
그러니 누군가의 머리를 찾는 것은 건초 더미에서 바늘을 찾는 것과 같았을 겁니다… 저는 금메달을 딸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But, in the same circumstances, I would do what I did again.”
하지만, 같은 상황에 부닥친다면, 나는 다시 한 번 제가 했던 것을 하겠습니다.”
17-10~12. 소재: 아동 프로그램 주인공 Mr. Rogers에 대한 아버지의 오해
17-10~12. 소재: 아동 프로그램 주인공 Mr. Rogers에 대한 아버지의 오해
As a kid I had a steady diet of programs like Sesame Street and Mister Rogers’ Neighborhood.
어렸을 때 나는 Sesame Street와 Mister Rogers’ Neighborhood 같은 프로그램들을 꾸준히 많이 시청했다.
I always thought it was amazing that Mr. Rogers had an entire magical land of make-believe with characters, stories and a trolley that ran through his home.
나는 항상 Mr. Rogers가 등장인물들, 이야기, 그리고 그의 집을 관통해서 달리는 전차가 있는 온통 마법 같은 환상의 나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놀랍다고 생각했다.
He was my hero, second only to my father, who was a policeman in my heart.
그는 내 영웅이었고, 내 마음속에서 경찰관이었던 나의 아버지에 버금가는 존재였다.
One day my father strapped me into the car seat of his big Cadillac as we travelled to the Harrisburg International Airport to pick up my Uncle George.
어느 날 우리가 George 삼촌은 Harrisburg 국제공항으로 마중하러 갈 때 아버지는 자신의 큰 캐딜락의 카시트 벨트를 나에게 채웠다.
Once my father spotted him, they proceeded to the baggage claim to grab his luggage.
일단 아버지가 그를 발견하자, 그들은 삼촌의 짐을 가지러 수하물 찾는 곳으로 갔다.
I held my father’s hand, happy to be accompanying him on a mission, until suddenly I broke away from him.
나는 아버지의 손을 잡고, 그와 함께 임무에 동행하는 것을 기뻐했는데, 그러다 갑자기 그에게서 떨어지게 되었다.
My father hadn’t noticed because he was busy removing bags from the conveyor belt.
아버지는 자신이 컨베이어 벨트에서 가방을 꺼내느라 바빴기에 알아차리지 못했다.
It had only been a moment, but a moment was all it took to send my father into a tailspin.
그것은 단지 한 순간이었지만, 나의 아버지를 당황하게 만드는 데 필요한 충분한 시간이었다.
He began to search frantically for me calling my name, but there was no response.
그는 내 이름을 부르며 나를 미친 듯이 찾기 시작했지만, 응답이 없었다.
It was then that my father turned around, and he spotted me with a man at the baggage claim kiosk maybe 30 feet away from him.
바로 그때 아버지가 돌아섰고, 그는 자신에게 30피트 정도 떨어진 수하물 수취 무인 정보 단말기에서 한 남자와 함께 있는 나를 발견했다.
He sprang into action before my uncle had a change to stop him and ran to the man shaking my hand.
그는 내 삼촌이 그를 제지할 틈을 갖기도 전에 갑자기 행동을 개시하였고 나와 악수하고 있던 남자에게 달려갔다.
With one hand on his police-issued weapon, he asked the man to step away from me slowly.
한 손은 경찰에게 지급된 무기에 대고, 그는 그 남자에게 나에게서 천천히 물러설 것을 요구했다.
The man complied, and very calmly explained himself to my father at the same time.
남자는 순응했고, 동시에 나의 아버지에게 매우 침착하게 자신이 한 행동의 이유를 말했다.
He told my father that I ran up to him, and that is wasn’t uncommon for children to do so, simply because they felt safe in his presence.
그는 나의 아버지에게 내가 그에게 달려왔고, 어린이들이 그렇게 행동하는 것은 흔한 일이며, 단순히 그들이 그가 있으면 안전하다고 느끼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Fueled by adrenaline, concern, and anger, my father was infuriated at this man until I said to him, “Daddy, why are you mad at Mr. Rogers?”
아드레날린, 걱정, 그리고 분노에 자극되어, 나의 아버지는 내가 그에게 “아빠, 왜 Mr. Rogers에게 화가 나셨나요”라고 말할 때까지 이 남자에게 격노해 있었다.
My father’s normally chocolate complexion turned red with embarrassment.
창피함으로 나의 아버지의 평소 초콜릿색인 얼굴색은 빨개졌다.
He apologized profusely to Mr. Rogers, and then both had a good laugh.
그는 Mr. Rogers에게 아주 많이 사과했고, 둘 모두는 크게 웃었다.
Immediately, my uncle, my father and Mr. Rogers began to explain to me why it was so important that I’d never run away from the adult who was in charge of taking care of me at the time.
바로, 삼촌과 아버지 그리고 Mr. Rogers는 내가 그 당시 나를 돌봐 주는 것을 책임지던 어른으로부터 절대 멀리 벗어나지 않는 것이 왜 그렇게 중요한지에 대해서 설명하기 시작했다.
From that day forward I never departed from my caretakers.
그날 이후로 나는 결코 나의 보호자에게서 떨어지지 않았다.
18-1. 소재: 사진작가 Dorothea Lange
18-1. 소재: 사진작가 Dorothea Lange
Dorothea Lange's oeuvre constitutes one of the most moving and committed contributions to the social documentary photography in the 20th century.
Dorothea Lange의 모든 작품은 20세기의 사회 기록사진에 가장 감동적이고 헌신적인 공헌을 한 것들 중의 하나로 여겨진다.
After studying at Columbia University in New York, she started out as an independent portrait photographer in San Francisco.
그녀의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공부한 이후, 샌프란시스코에서 자영하는 인물 사진작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Shocked by the number of homeless people in search of work during the Great Depression, she decided to take pictures of people in the street to draw attention to their plight.
대공황 중에 일자리를 찾는 노숙자의 수에 충격을 받고서, 그녀는 거리의 사람들의 곤경에 대한 관심을 끌기 위해 그들의 사진을 찍기로 결심했다.
In 1935, she joined the Farm Security Administration (FSA) and reported on living conditions in the rural area of the USA.
1935년에, 그녀는 Farm Security Administration(FSA)에 들어가 미국 농촌 지역의 생활 여건을 보도했다.
In a direct manner, she documented the bitter poverty of migrant workers and their families.
직접적으로 그녀는 이주 노동자들과 그들 가족의 지독한 빈곤을 기록했다.
One of the most famous photographs of the FSA project is Migrant Mother, the portrait of a Californian migrant worker with her three children.
FSA 프로젝트에서 가장 유명한 사진 중 하나는 세 명의 자녀를 둔 한 캘리포니아 이주 노동자의 인물 사진인 Migrant Mother이다.
This highly concentrated image has made Dorothea Lange an icon of socially committed photography.
이 고도로 응집된 (사진의) 이미지는 Dorothea Lange를 사회적으로 뚜렷한 의식을 가진 사진 분야의 아이콘으로 만들었다.
18-2. 소재: Joe Hyams가 얻은 분노에 대한 교훈
18-2. 소재: Joe Hyams가 얻은 분노에 대한 교훈
While practicing the martial art wing-chun, Joe Hyams was accidentally hit by a workout partner.
무술 영춘권을 연습하던 도중, Joe Hyams는 연습 파트너에게 우연히 맞았다.
This made him angry.
이것은 그를 화나게 했다.
His teacher, Jim Lau, noticed and spoke to him about his anger, saying that unleashing anger against another person inspires anger in return from the other person.
그의 스승인 Jim Lau는 그의 분노를 알아채고 그에게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다른 사람을 향해 폭발한 분노는 반작용으로 그 (다른) 사람의 분노를 불러일으킨다고 말했다.
The following weekend, Mr. Hyams went to New York, arriving early in the morning and hoping to get some rest before a business meeting.
그 다음 주말, Mr. Hyams는 뉴욕에 갔는데, 아침 일찍 도착하여 업무 회의 전에 휴식을 취하기를 바랐다.
Unfortunately, his hotel room was not ready and would not be ready for another four hours, so he demanded to see the manager, then angrily confronted her.
불행히도 그의 호텔 객실은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고 이후 4시간 동안 준비가 되지 않을 것이었기에, 그는 매니저를 보고자 했고 분노에 차서 그녀를 대면했다.
Later, after having calmed down, he apologized, and the manager said, "You really took me by surprise.
나중에, 진정된 후, 그는 사과했고, 매니저는 "손님께서는 저를 정말 놀라게 했습니다.
I intended to do what I could for you, but when you came on so strong I forgot my good intentions and decided not to go out of my way to help you."
저는 손님께 할 수 있는 일을 하고자 했지만, 손님께서 강압적으로 행동했을 때, 저는 저의 좋은 의도를 잊어버리게 되었고 굳이 손님을 돕지는 않기로 결심하게 되었습니다."라고 말했다.
18-3. 소재: 당뇨병 원인의 첫 단서
18-3. 소재: 당뇨병 원인의 첫 단서
It was only in 1919 when Dr. Oscar Minkowski and Dr. Joseph Merring got the first clue to the cause of diabetes.
Oscar Minkowski 박사와 Joseph Merring 박사가 당뇨병의 원인에 대한 첫 단서를 얻은 것은 불과 1919년이었다.
While trying to find out the possible causes of diabetes they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pancreas plays some role in causing diabetes.
당뇨병의 가능한 원인을 알아내려고 노력하는 동안, 그들은 췌장이 당뇨병을 유발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To confirm their finding they decided to remove the pancreas of a dog to study the after-effects on the dog.
자신들의 연구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그들은 개의 췌장을 제거하여 그 개에게 미치는 여파를 연구하기로 했다.
After removing the pancreas of the dog they noticed that the dog was urinating excessively.
개의 췌장을 제거 한 후에 그들은 개가 과도하게 소변을 본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When Dr. Minkowski noticed a bunch of flies gathered on the urine he suspected the dog was diabetic and to confirm his suspicion he tested the dog's urine for sugar.
Minkowski 박사가 그 소변 위에 파리 떼가 모인 것을 발견했을 때, 그는 개가 당뇨병에 걸린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했고, 자신의 느낌을 확인하기 위해 개의 소변에서 당을 검사했다.
It confirmed his suspicion of the dog being diabetic as he found sugar in its urine.
그가 개의 소변에서 당을 발견했기 때문에 그것이 그 개가 당뇨병에 걸렸다는 그의 느낌을 확인해 주었다.
This finding finally linked diabetes to the pancreas.
이 연구 결과는 마침내 당뇨병을 췌장에 관련지었다.
18-4. 소재: 젊은 궁수와 노대가 사이의 일화
18-4. 소재: 젊은 궁수와 노대가 사이의 일화
After winning many contests, a boastful champion archer challenged an old master who was renowned for his skills.
여러 대회에서 우승한 후에, 우쭐한 우승자 궁수는 그의 (활 쏘는) 솜씨로 유명한 노대가에게 도전했다.
The young man flawlessly hit a distant bull's eye, and then split that arrow with his second shot.
그 젊은이는 멀리 떨어진 과녁의 한복판을 완벽하게 맞힌 다음, 두 번째 활을 쏘아서 그 화살을 쪼갰다.
There, he said to the old man, "see if you can match that!"
그는 그 노인에게 "자, 당신이 저것에 필적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 보시죠!"라고 말했다.
The master motioned the young archer to follow him up a mountain.
그 대가는 그 젊은 궁수에게 산 위로 자신을 따라오라고 몸짓을 했다.
When they reached a deep chasm spanned by a rather flimsy and shaky log, the old master stepped onto the middle of the dangerous bridge, picked a far away target, drew his bow, and fired a clean, direct hit.
그들이 꽤 엉성하고 흔들거리는 통나무가 걸쳐 있는 깊은 골에 도착했을 때, 그 노대가는 그 위험한 다리의 한복판으로 나아가서, 멀리 떨어진 과녁을 고르고, 자신의 활시위를 당긴 다음, 명중타를 날렸다.
Now, you, he said, as he stepped back onto the safe ground.
이제, 자네 차례네. 라고 안전한 지면으로 물러나오며 그는 말했다.
The young man was frozen with fear.
그 젊은이는 두려움으로 얼어붙었다.
You have much skill with your bow, the master said, "but you have little skill with the mind that releases the shot."
자네는 상당한 활 솜씨를 가지고 있지만, 활을 쏘는 마음에 있어서는 거의 솜씨가 없는 것이네. 라고 그 대가는 말했다.
19-1. 소재: 집단을 결속시키는 전통
19-1. 소재: 집단을 결속시키는 전통
Nothing addresses our need to fit in with others as profoundly as traditions.
전통만큼 깊이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려는 우리의 욕구를 다루는 것은 없다.
Traditions satisfy our deep emotional needs for belonging and create bonds not easily swayed.
전통은 귀속에 대한 우리의 깊은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쉽게 흔들리지 않는 결속력을 만들어 낸다.
Developed over time in a country, community, or family, traditions are the foundation of a culture.
전통은 시간이 흐르면서 국가, 지역 사회 혹은 가족 내에서 발전해서 한 문화의 토대가 된다.
While a ritual is time alone with the soul, traditions are the bonding glue of a group.
의식은 영혼과 보내는 혼자만의 시간이지만, 전통은 한 집단을 묶어 주는 접착제이다.
When we participate in a tradition, we are not acting alone but in harmony with others in a common cause, belief, or event.
전통에 참여 할 때, 우리는 단독으로가 아니라 공동의 목적, 신념 혹은 행사 속에서 다른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어 행동한다.
The traditional singing of the "Star-Spangled Banner" at the opening of a sporting event bonds the crowd with a common sense of pride and unites them together for the game.
스포츠 행사의 개막식에서 전통적으로 '미국 국가'를 부르는 것은 공동의 자부심으로 군중을 결속시키고, 경기를 위해 그들을 하나로 통합한다.
For more than a hundred year, the passing of the Olympic torch throughout countries has set aside religious differences and race, and opened up nations' borders for a common tradition: the Olympics.
1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여러 나라 전역에서의 올림픽 대회 성화의 봉송은 종교적 차이와 인종을 무색하게 했고, 공동의 전통인 올림픽 대회를 위해 국가들의 국경을 개방했다.
Caught up in the security of a mutual custom, traditions have their own codes of ethics that transcend differences and unite a people, if only for a moment.
전통은 공동의 관습이 주는 안도감과 깊이 연관되어, 단지 잠깐이긴 하지만 차이를 초월하여 하나의 국민을 결속하는 그 나름대로의 윤리 규범을 가지고 있다.
19-2. 소재: 논증의 한 방법으로서의 귀추법
19-2. 소재: 논증의 한 방법으로서의 귀추법
Abduction is a process of reasoning used to decide which explanation of given phenomena we should select, and so, naturally, it is also called 'argument to the best explanation'.
귀추 법은 주어진 현상에 대해 어떤 설명을 선택해야 할 것인지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추론의 과정이고 그래서 당연히 그것은 '최선의 설명을 향해 가는 논증'이라고도 불린다.
Often we are presented with certain experiences and are called upon to offer some sort of explanation for them.
종종 우리는 특정한 경험을 제시받고 그것들을 위한 어떤 설명을 제안 하도록 요구받는다.
But the problem we frequently face is that a given body of data may not determine or force us to accept only one explanation.
그러나 우리가 자주 직면하는 문제는 주어진 많은 양의 데이터가 우리가 한 가지 설명만을 받아들이도록 결심 하게 만들거나 혹은 강제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Unsettling as it seems, some philosophers have even argued that for any possible body of evidence there will always be a variety of explanations consistent with it.
불안한 마음이 들 수도 있겠지만 몇몇 철학자들은 '어떤 가능 한' 많은 양의 증거에 대해서도 그것과 일치하는 다양한 설명이 '항상' 있기 마련이라고 주장해 오기까지 했다.
This is just the claim that Duhem and Quine have advanced.
이것이 바로 Duhem과 Quine이 제기한 주장이다.
Whether or not their claim is true, however, in cases where we do face a set of alternative explanations, our task as good reasoners must be to decide which one of those explanations best fits the evidence.
그러나 그들의 주장이 사실이든 아니든 우리가 일련의 대안적인 설명에 정말 직면하는 경우, 훌륭한 추론자로서의 우리의 과업은 그런 설명 중 어느 것이 그 증거에 '가장 잘' 맞는지를 결정하는 것이어야 한다.
That's where abduction comes in.
바로 그런 경우에 귀추법이 사용된다.
19-3. 소재: 음식 소비와 사회적 계층과 관련된 생활양식 간의 연관성
19-3. 소재: 음식 소비와 사회적 계층과 관련된 생활양식 간의 연관성
The links between food consumption and lifestyles defined in relation to social hierarchies developed in various ways in centuries later than the sixteenth-century.
음식 소비와 사회적 계층과 관련하여 정의된 생활양식 사이의 연관성은 16세기 이후에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했다.
The motif of quality became clearer.
'품질'에 대한 동기가 더 명확해졌다.
Consumers now took for granted that the domain of social privilege expressed itself in the right-or duty-to obtain food products of ever higher quality.
소비자들은 이제 사회적 특권의 영역이 그 어느 때보다 더 높은 품질의 식품을 구하는 권리 또는 의무로 표현되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였다.
However, there were still correspondences between typologies of foods and beverages and the typologies of the consumers themselves.
그러나 음식과 음료의 유형 분류 체계와 소비자 자체의 유형 분류 체계 간에는 여전히 관련성이 있었다.
For example, in eighteenth-century Europe, coffee was considered the dominant bourgeois drink, whereas chocolate was aristocratic.
예를 들어 18세기 유럽에서 커피는 지배적인 중산층의 음료로 여겨진 반면에 초콜릿은 귀족적이었다.
What was defined here was a clearly ideological antithesis:
여기서 정의된 것은 명백한 이념적 대립이었다.
the former awoke and stimulated the mind to work and to be productive; whereas the latter was a drink for the inactive and lazy.
전자는 정신을 각성시키고 자극하여, 일하고 생산적이 되게 했으며, 반면에 후자 는 움직이지 않고 게으른 사람들을 위한 음료였다.
In the following century, however, coffee had already become a popular beverage in France, as had tea in Holland and England.
하지만 그 다음 세기에는, 프랑스에서 커피가 이미, 네덜란드와 영국에서 차가 그랬듯이, 인기 있는 음료가 되어 있었다.
19-4. 소재: 이집트 달력의 탄생
19-4. 소재: 이집트 달력의 탄생
The rhythm of the Nile was the rhythm of Egyptian life.
나일 강의 리듬은 이집트인 삶의 리듬이었다.
The annual rising of its waters set the calendar of sowing and reaping with its three season: inundation, growth, and harvest.
그것의 강물이 매년 불어나는 것으로 인해 범람, 재배, 그리고 추수라는 그것의 세 절기에 따라 파종과 수확의 일정이 결정되었다.
The flooding of the Nile from the end of June till late October brought down rich silt, in which crops were planted and grew from late October to late February, to be harvested from late February till the end of June.
6월 말부터 10월 하순까지의 나일강의 범람은 비옥한 토사를 유입시켰는데, 그 토사에 10월 하순부터 2월 하순까지 농작물이 심겨져 자랐고, 2월 하순부터 6월 말까지 수확되었다.
The rising of the Nile, as regular and as essential to life as the rising of the sun, marked the Nile year.
태양이 뜨는 것만 큼 규칙적이고 삶에 필수적이었던 나일 강의 물이 불어나는 것은 나일 역년의 특징을 이루었다.
The primitive Egyptian calendar, naturally enough, was a "nilometer"- a simple vertical scale on which the flood level was yearly marked.
당연히 그 초기 이집트 달력은 범람의 수위가 매년 표시된 단순한 수직 모양의 잣대였던 '나일 강의 수위계'였다.
Even a few year's reckoning of the Nile year showed that it did not keep in step with the phases of the moon.
나일 역년을 몇 년 만 계산해 보더라도 그것이 달의 위상과 맞지 않는다는 것이 드러났다.
But very early the Egyptians found that twelve months of thirty days each could provide a useful calendar of the seasons if another five days were added at the end, to make a year of 365 days.
그러나 아주 일찍이 이집트인들은 각각 30일로 된 12개월이, 끝에 또 5일이 더해져서 365일로 된 1년을 만들면 유용한 절기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This was the "civil" year, or the "Nile year," that the Egyptians began to use as early as 4241 B.C.
이것이 이집트인들이 일찍이 기원전 4241년에 사용하기 시작한 '보통' 역년, 즉 '나일 역년'이었다.
20-1. 소재: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원자력과 수력 전기의 한계
20-1. 소재: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원자력과 수력 전기의 한계
There are some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that are only controversially considered alternative, and they include nuclear power and hydropower.
대안으로 간주되는 것만 해도 논란의 여지가 있는 재생 가능 에너지 기술이 몇 가지 있는데, 그것들은 원자력과 수력 전기를 포함한다.
Both nuclear power and hydropower are emission-free, and so alleviate the most common negative consequence of fossil-fuel-based energy production, air pollution.
원자력과 수력 전기는 둘 다 배기가스가 없기 때문에, 화석 연료 기반의 에너지 생산의 가장 일반적인 부정적 결과인 대기 오염을 경감한다.
However, they suffer from other environmental problems that make them unattractive to some advocates of alternative energy solutions.
그러나 그것들은 대체 에너지 해결책의 일부 옹호자들에게 그것들을 매력적이지 않게 하는 다른 환경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
Nuclear power produces highly radioactive wastes that must be stored and safely disposed of for long periods of time, and hydroelectric power traditionally comes from large dams that block free-flowing rivers and disturb natural riverine ecosystems.
원자력은 장기간 저장되어 안전하게 처리되어야 하는 고방사능 폐기물을 만들어 내고, 수력 전기는 전통적으로 자유롭게 흐르는 강을 막고 강의 자연 생태계를 어지럽히는 대규모 댐에서 생산된다.
Newer forms of smaller, run-of-river hydroelectric plants avoid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large dams and reservoirs, but their potential physical implementation is limited and so they will never serve as the predominant solution to worldwide energy needs.
더 소규모이면서 (저수지 없이) 흐르는 물을 이용하는 보다 최신 형태의 수력 발전소는 대규모 댐과 저수지의 부정적인 결과를 피하기는 하지만, 그것들의 잠재적인 실제 운용이 제한되어서, 결코 전 세계의 에너지 수요에 대한 주된 해결책의 역할을 할 수는 없을 것이다.
Nuclear power and hydropower therefore as with most alternative energy sources, solve some problems but not others.
따라서 원자력과 수력 전기는 대부분의 대체 에너지원과 마찬가지로 몇 가지 문제는 해결하지만 다른 몇 가지 문제는 해결하지 못한다.
20-2. 소재: 다른 용도에 맞게 고친 옷의 가치
20-2. 소재: 다른 용도에 맞게 고친 옷의 가치
Repurposed clothing tells an even more complex tale than that of secondhand garments.
다른 용도에 맞게 고친 옷은 중고 옷의 이야기보다 훨씬 더 복잡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Until recently, clothes that were extensively altered from their original form were frequently overlooked in museum collections, as it was believed that their alterations rendered them inauthentic.
최근까지, 원래 형태에서 크게 변형된 옷들은 박물관 소장품에서 자주 간과되었는데, 왜냐하면 그것들의 변형으로 인해 그것들이 정통이 아니게 되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Today, however, analyses of such objects by scholars like Alexandra Palmer, fashion curator at The Royal Ontario Museum, Toronto, as well as the embrace of repurposing techniques by high-end fashion labels, have imbued altered objects with newfound significance.
그러나, 오늘날, 고급 패션 브랜드들이 다른 용도에 맞게 고치는 기술을 수용하고 있는 것뿐만 아니라 토론토 왕립 온타리오 박물관의 패션 큐레이터인 Alexandra Palmer와 같은 학자들이 이러한 물건들을 분석한 것은 변형된 물건에 새로 발견된 의미를 불어넣었다.
Such clothing is now used to provide insight on the high value placed on textiles in the past, as well as to how that value has diminished over time.
현재 이러한 옷은 과거에 직물에 매겨진 높은 가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이에 더하여 그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감소해 왔는지에 대해서도 통찰력을 준다.
Examining remade garments also highlights a resourcefulness and skill that is all but lost in the contemporary fashion industry.
다시 만들어진 의복에 대한 고찰은 또한 현대 패션 업계에서는 거의 사라진 풍부한 재치와 솜씨를 강조한다.
In many ways, these garments acted as early models of sustainability.
여러 가지 면에서, 이 옷들은 지속 가능성의 초기 모델의 역할을 했다.
20-3. 소재: 탄산음료 병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 아이디어
20-3. 소재: 탄산음료 병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 아이디어
Kids and adults around the world are coming up with creative ways to use less fuel.
전 세계 아이들과 어른들은 연료를 적게 사용하는 창조적인 방법을 고안하고 있다.
For example, in the slums of Manila, Philippines, people live in tiny shacks made from sheets of metal.
예를 들어 필리핀 마닐라 빈민가에서는 사람들이 금속판으로 만든 작은 판잣집에서 산다.
Until recently, the shacks were completely dark inside.
최근까지는 판잣집 내부가 완전히 어두웠다.
Anyone who was too old or sick to go outside had to spend every day in darkness.
너무 늙고 병들어 밖에 나갈 수 없는 사람은 누구라도 매일 어둠 속에서 보내야 했다.
But one day, IIIac Diaz, who is part of an organization called My Shelter Foundation, looked at an empty pop bottle and had an idea.
그러나 어느 날 My Shelter Foundation이라는 단체의 일원인 IIIac Diaz는 비어있는 탄산음료 병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었다.
Soon, all around the slum, people were cutting small bottle-sized holes into the roofs, inserting a pop bottle with a few teaspoons of bleach inside to keep dangerous molds from growing and gluing the bottle into the roof.
곧 빈민가의 전역에서, 사람들은 지붕에 작은 병 크기의 구멍을 내고, 탄산음료 병(위험한 곰팡이가 자라는 것을 막기 위해 안에 몇 티스푼의 표백제를 넣은)을 끼워 놓고 그 병을 지붕에 접착제로 붙이고 있었다.
Suddenly, light poured down into places where people had never had light before.
갑자기 빛이 사람들이 이전에 결코 빛을 보지 못했던 곳으로 쏟아져 들어왔다.
20-4. 소재: 소비자의 에너지 사용에서의 반발 효과
20-4. 소재: 소비자의 에너지 사용에서의 반발 효과
Within the arena of household consumption, research predominantly focuses on direct rebound effects among consumers particularly for energy appliances in the home and fuel efficiency in vehicles.
가계 소비 영역 내에서 연구는 특히 가정의 에너지 가전제품과 차량의 연료 효율성에 대한 소비자의 직접적인 '반발 효과'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For example, often large energy savings are predicted when consumers replace traditional incandescent light bulbs with more efficient compact fluorescent bulbs.
예를 들어, 소비자들이 전통적인 백열전구를 보다 효율적인 소형 형광등으로 교체할 때 흔히 많은 에너지가 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However these savings rarely reach their predicted targets as research indicates that many consumers, recognising that the light costs less to operate, appear less thorough about switching it off, resulting in more hours of use, i.e. higher energy consumption.
그러나 연구가 보여 주듯이, 많은 소비자들이 전등을 작동하는 데 비용이 덜 든다는 것을 인식하여 전등을 끄는 것을 덜 철저히 하는 것처럼 보이고, 이는 더 오랜 시간의 사용, 즉 더 많은 에너지 소비라는 결과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절감은 예상 목표에 도달하는 경우가 드물다.
Similarly, studies have indicated that energy savings from efficiency improvements, for example, a more efficient space heating unit or increased levels of insulation, are often then spent on increased heating standards.
마찬가지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예를 들어 더 효율적인 공간 난방 장치 또는 향상된 단열 수준과 같은 효율성 향상을 통해 얻은 에너지 절감(량)은 그 다음에는 흔히 높아진 난방 기준에 맞춰 사용된다.
Here, the consumer may gain by operating a warmer home for the same or lower cost than they had previously.
여기서 소비자는 동일하거나 더 낮은 비용으로 이전보다 더 따뜻한 집을 가동함으로써 이득을 얻을 수 있다.
21-1. 소재: 난초벌
21-1. 소재: 난초벌
As pretty as the orchids they pollinate, orchid bees come in a brightly colored array of brilliant and metallic blues, greens, and purples.
난초벌은 자신들이 가루받이를 해주는 난초만큼 예쁜데, 아주 밝은 금속성의 청색, 초록색, 그리고 자주색이 선명한 색깔로 배열된 형태를 띤다.
These bees are not social like honeybees —they are typically solitary in nesting, with no division of labor and little communal activity.
이 벌들은 꿀벌처럼 사회적이지 않다. 그들은 분업이 없고 공동체 활동이 거의 없으며 보통 홀로 벌집을 짓는다.
The males leave the nest shortly after birth and never return, spending their lives collecting flower fragrances that they store in special grooves on their hind legs and that may be released to attract females.
수컷은 태어나자마자 벌집을 떠나 돌아오지 않으며, 꽃의 향을 모으며 일생을 보내는데, 그 향을 뒷다리의 특별한 홈에 저장하고 그 향은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방출되기도 한다.
Females construct nests from mud, resins, and other materials and gather both nectar and pollen from a variety of plants.
암컷들은 진흙, 수지, 그리고 다른 재료들로 벌집을 만들며 다양한 식물로부터 꿀과 꽃가루를 모은다.
The two hundred species of orchid bees are native to Central and South America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ollination of many orchids.
200종의 난초 벌은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토종벌이며 많은 난초의 수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Only a single species can be found in the United States.
한 종류만 미국에서 발견될 수 있다.
This bee, Euglossa vidrissimia, is a recent arrival from either Mexico or Central America and was likely introduced to the United States accidentally.
이 벌, 즉 Euglossa vidrissimia는 멕시코 혹은 중앙아메리카로부터 최근에 들어온 것인데, 아마도 우연히 미국으로 들어왔을 것이다.
21-2. 소재: 액체의 분자 특성
21-2. 소재: 액체의 분자 특성
A liquid is like a gas in that its molecules move around or 'flow' that's why both are called 'fluids', while solids aren't.
액체는 그것의 분자가 움직여 돌아다니는, 즉 '흐른다'는 점에서 기체와 같다(그러한 이유로 두 가지[액체와 기체]가 모두 '유체'라고 불리는 반면, 고체는 그렇지 않다).
But the molecules in a liquid are much closer to each other than the molecules in a gas.
하지만 액체 속의 분자들은 기체 속의 분자들보다 서로 훨씬 더 가까이 있다.
If you put a gas into a sealed tank, it fills every nook and cranny of the tank up to the top.
만약 밀봉된 탱크에 기체를 넣으면, 그것은 탱크의 구석구석을 채워 꼭대기까지 가득 찬다.
The volume of gas rapidly expands to fill the whole tank.
기체의 부피는 급속히 팽창해서 탱크 전체를 채운다.
A liquid also fills every nook and cranny, but only up to a certain level.
액체도 또한 구석구석을 채우지만, 일정한 수준까지만 채운다.
A given amount of liquid, unlike the same amount of gas, keeps a fixed volume, and gravity pulls it downwards, so it fills only as much as it needs of the tank, from the bottom upwards.
같은 양의 기체와 달리, 주어진 양의 액 체는 일정한 부피를 유지하고, 중력은 그것을 아래로 끌어당겨서, 그것은 바닥에서부터 위쪽으로 그것이 필요로 하는 만큼만 탱크를 채운다.
That's because the molecules of a liquid stay close to each other.
그것은 액체의 분자가 서로 밀접해 있기 때문이다.
But, unlike those of a solid, they do slide around over each other, which is why a liquid behaves as a fluid.
하지만, 고체의 분자와는 달리, 그것들은 서로의 위로 정말 미끄러지듯 이리저리 움직이는데, 그러한 이유로 액체가 유체로서 작용한다.
21-3. 소재: 플로지스톤
21-3. 소재: 플로지스톤
Before formalized science, some very smart people believed in some really weird things.
과학이 제대로 형식을 갖추기 전에, 아주 영리한 일부 사람들은 정말로 이상한 것을 믿었다.
At about the same time Johann Sebastian Bach was composing symphonies, many scientists asserted that "phlogiston" resided within everything you could burn, and once you set it on fire, the phlogiston escaped into the air.
Johann Sebastian Bach가 교향곡을 작곡하고 있던 시기와 거의 같은 시기와 거의 같은 시기에, 많은 과학자들은 태울 수 있는 모든 것 안에 '플로지스톤'이 존재하고, 일단 그것에 불을 붙으면, 플로지스톤은 공기 중으로 빠져나간다고 주장했다.
If you had some burning wood in a pot and placed a lid over it, the flame would go out because the air could hold only so much phlogiston before it was saturated.
항아리 안에 타고 있는 나무를 약간 두고 그것 위에 뚜껑을 덮으면, 불꽃은 꺼질 것인데, 왜냐하면 공기는 (플로지스톤으로) 포화되기 전에 단지 한정된 양의 플로지스톤만 담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Left in the open, a piece of wood eventually turned to ash and was, as they put it, fully dephlogisticated.
뚜껑이 없는 곳에 놓여 있는 나무 조각은 결국 재로 바뀌고 그들이 말하듯이 플로지스톤을 완전히 잃게 된다.
This idea lasted for about a hundred years before it was debunked by diligent scientific attacks.
이 생각은 부단한 과학적 공격에 의해 그것이 틀렸음이 밝혀지기 전까지 약 백 년 동안 지속되었다.
Eventually, scientists realized there was no such thing as phlogiston, and the real magic element was oxygen.
결국, 과학자들은 플로지스톤과 같은 것은 없고 진짜 마법의 요소는 산소라는 것을 깨달았다.
Flames consumed oxygen, and lids starved flames.
불꽃은 산소를 소비했고, 뚜껑은 불꽃을 굶어 죽게 했다.
21-4. 소재: 올빼미의 눈
21-4. 소재: 올빼미의 눈
Over the millennia, owls evolved tubular eyes, which face forward and are immovable, and are the reason owls developed the ability to turn their heads 270 degrees.
수천 년 동안 올빼미는 관 모양의 눈을 진화시켰는데, 그 눈은 정면을 향해 움직일 수가 없고, (그 관 모양의 눈은) 올빼미가 머리를 270도 돌리는 능력을 발달시킨 이유이다.
Owl eyes have more black-and-white detecting rods than color cones, allowing them to see in the dark.
올빼미의 눈에는 색상을 구분하는 추상체보다 흑백을 구분하는 간상체가 더 많기 때문에, 올빼미들은 어둠 속에서 볼 수 있다.
Their large round yellow eyes, with dark pupils wide enough to let in small amounts of light in darkness, are one of the first things we notice about them.
어둠 속에서 적은 양의 빛을 받아들이기에 충분히 넓은 검은 동공이 있는, 크고 둥글며 노란 올빼미의 눈은 우리가 올빼미들에 대해 가장 먼저 인지하는 것 중의 하나이다.
In the human world, large eyes with wide pupils hold a certain attraction both for the viewer and the viewed.
인간 세계에서, 넓은 동공을 지닌 큰 눈은 보는 사람과 보는 대상이 되는 사람 둘 다에게 어느 정도 매력을 지닌다.
Studies show that a person's pupils dilate in the presence of someone they are attracted to.
연구에 따르면 사람의 눈동자는 끌리는 사람이 있을 때 커진다.
Advertisers dilate the eye of models in photographs to make their products more attractive by default.
광고주는 자신의 제품을 자연스럽게 더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해 사진 속 모델의 눈을 키운다.
Nature, it seems, has prepared us biologically to be attracted to owls by giving them such big eyes.
자연은 그것들[올빼미]에게 그렇게 큰 눈을 제공함으로서 우리가 생물학적으로 올빼미에게 끌리게 만들어 놓은 것 같다.
22-1. 소재: 황무지 여행 시 휴대할 장비의 유형 및 관리 방법
22-1. 소재: 황무지 여행 시 휴대할 장비의 유형 및 관리 방법
When traveling into the wilderness, the type of gear you carry can either help or hinder your efforts.
황무지 안으로 들어갈 때, 여러분이 지니고 다니는 장비의 유형은 여러분의 노력을 돕거나 방해할 수 있다.
Specific gear will depend on many factors, which include the environment, weight, and cost.
특정한 장비는 여러 가지 요소를 좌우될 터인데, 거기에는 환경, 중량 및 비용이 포함된다.
Whenever possible, try to bring gear that has multiple uses.
가능한 경우마다 다용도 장비를 가져가도록 애를 쓰도록 하라.
A durable space blanket is a good example: It can be used as an added layer of clothing, a signal orange side in winter; silver side in summer, a water collection device, and shelter.
내구성 있는 비상 담요[경랑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얇은 알루미늄 코팅 시트]가 좋은 예인데, 그것은 한 겹 더 입을 옷, 신호기(겨울에는 오렌지색 면,여름에는 은색 면), 물을 모으는 장치 그리고 엄폐물로 사용될 수 있다.
A military poncho, thick-ply garbage bags and parachute lines are a few other examples of multi-use items.
군용 판초, 두께가 두꺼운 쓰레기봉투, 낙하산 줄은 여러 가지 용도로 쓰이는 물건들의 몇 가지 다른 예이다.
When bringing gear that operates on batteries, make sure to protect it from cold, soaking moisture, salt corrosion, and sand by wrapping it with a good insulating material and placing it in a waterproof bag.
배터리로 작동하는 장비를 가지고 갈 때에는, 그것을 좋은 절연재로 싸서 방수 가방에 넣어 추위, 스며드는 습기, 소금기에 의한 부식, 모래로부터 반드시 보호하라.
22-2. 소재: 자연 자원을 이용한 레저 시설
22-2. 소재: 자연 자원을 이용한 레저 시설
The French government utilised skiing as a part of its strategies for regional development in the post-Second World War economic reconstruction.
프랑스 정부는 스키를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 재건에서 지역 개발을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사용했다.
Purpose-built ski resorts, or 'ski factories' as some tourism and recreation researchers labelled them because of their emphasis on the mass accommodation of skiers and construction from glass, concrete and steel, were built in the late 1950s to aid regional development.
특정한 목적 에 맞게 만들어진 스키장들, 다시 말해 그것들이 스키 타는 사람들의 대규모 숙박 시설과 유리, 콘크리트, 강철을 재료로 하는 건설 공사에 주안점을 두었기 때문에 일부 관광 및 여가 연구자들이 이름 붙인 '스키 공장들'이 1950년대 후반에 지역 개발을 돕기 위해서 지어졌다.
The combination of demand from a growing mass leisure class and reg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has driven similar transformations in many of the world's mountain landscapes for the purpose of recreation and tourism.
늘어나는 대중 여가 계층의 수요와 지역 개발 기회들과의 결합이 휴양과 관광을 위해 세계의 많은 산림경관에 유사한 변화를 가져왔다.
This development demonstrates how previously unused nature may become a resource offering economic opportunities.
이런 개발은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자연이 어떻게 경제적인 기회를 제공하는 자원이 될 수 있는지를 보여 준다.
This process emphasises that nature only becomes a resource when a human value is placed upon it, typically through the market, thus acquiring an instrumental value that previously did not exist.
이 과정은, 자연은 보통 시장을 통해 인간의 가치가 그 위에 놓일 때에야 자원이 되어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도구적 가치를 얻는다는 것을 강조한다.
22-3. 소재: 스포츠 참여와 관람
22-3. 소재: 스포츠 참여와 관람
Participating in sports is quite different from watching sports.
스포츠 참여와 관람 스포츠에 참여하는 것은 스포츠를 보는 것과 아주 다르다.
Yet in sport studies, these two activities are often lumped together statistically and anecdotally.
그러나 스포츠 연구에서 이 두 가지 활동은 통계적으로, 그리고 별 근거 없이 함께 묶이는 경우가 흔하다.
Combining them only adds to the confusion of the value of each, leads to suspect conclusions, and interferes with the assessment of the overall influence of sport.
그것들을 결합하는 것은 각각의 가치에 대한 혼란을 증가시키고 의심스러운 결론을 야기하며 스포츠의 전반적인 영향에 대한 평가를 방해할 뿐이다.
For example, many people would rate tackle football as the most popular sport in the United States.
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이 미식축구를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로 평가할 것이다.
Based on spectator interest, this is a reasonable conclusion.
관중의 관심을 근거로, 이것은 합리적인 결론이다.
But if we look at participation, football is popular only through high school and only with boys.
그러나 참여를 살펴보면, 미식축구는 고등학교 기간에만, 그리고 남학생들에게만 인기가 있다.
Beyond age 18, tackle football is not a reasonable option due to the number of players required, lack of equipment, and risk of injury.
18세 이후에, 미식축구는 필요한 선수의 수, 장비 부족, 그리고 부상 위험 때문에 합리적인 선택이 아니다.
Thus it is more accurate to say that football is the most popular spectator sport in the United States but rates far down the list in participation.
따라서 미식축구는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중 스포츠이지만 참여 순위표에서는 한창 낮게 평가된다고 말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22-4. 소재: 지속 가능한 관광 사업
22-4. 소재: 지속 가능한 관광 사업
The 2008 winners of the annual awards for sustainable tourism all demonstrate that best practice in tourism is far-reaching, and extends beyond what was once understood to constitute tourism –mainly just planes, hotels, and beaches.
지속 가능한 관광 사업을 위한 연례 시상식의 2008년 수상자들은 모두 관광 사업에서의 모범 사례가 광범위하며, 주로 단순히 비행기, 호텔, 그리고 해변과 같이 한때 관광 사업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던 것 이상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As an example, the winner of the poverty reduction award was an initiative in which both local farmers and tourists benefit.
한 예로서, 빈곤 감축 상의 수상자는 현지 농부와 관광객 둘 다 이익을 얻는 한 활동 계획이었다.
The hoteliers in this award-winning nation have traditionally imported much of their food while ignoring local farmers whose produce was going to waste.
이 상을 받은 국가의 호텔경영자 들은 전통적으로 식자재의 대부분을 수입해 오면서 현지 농부들은 신경 쓰지 않아 그들의 농산물이 쓸모가 없어지고 있었다.
Now, 1,000 farmers, most of whom are women, have been helped to supply local hotels.
이제, 대부분이 여성인 1,000명의 농부들이 도움을 받아 현지 호텔에 납품해 오고 있다.
At the same time, the country's travel foundation, one of the funding organizations, and the initiative have launched their own farmyard –to demonstrate best practice and to become a tourist attraction on its own merits.
동시에, 지금 지원 단체 중 하나인, 그 나라 의 여행 재단과 그 활동 계획은 모범 사례를 증명하고 자체 장점에 의거하여 관광 명소가 되기 위해 그들 자신의 농장을 시작했다.
Taking tourists to the farmyard, for example, is one way in which they can see how their contribution to sustainability is working.
예를 들어, 관광객을 그 농장에 데리고 가는 것은 그들[관광객]이 지속 가능성에 대한 자신들의 기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볼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다.
23-1. 소재: 이상적인 사무 공간 계획
23-1. 소재: 이상적인 사무 공간 계획
With the changes to open collaborative workstations and planning from cubicles, issues of privacy, noise, and loss of work focus have impacted the planning process in recent years.
칸막이 한 좁은 공간에서 개방적인 협력 작업 공간과 배치로 변화함에 따라 최근 몇 년간 사생활 문제, 소음 및 업무 집중력 상실이 그런 배치 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Many employees have complained that the very open workstation plans and integral collaborative spaces make concentration difficult.
많은 직원들은 바로 그 개방적인 작업 공간 배치와 통합적인 협력 공간이 집중을 어렵게 한다고 불평해 왔다.
This is not to say that companies all want to go back to cubicles and private offices.
그렇다고 해서 기업들이 모두 칸막이한 좁은 공간과 개인 사무실로 돌아가고 싶어 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Companies feel that the space plans that emphasize collaborative areas help with teamwork and the generation of ideas and solutions.
기업들은 협력 구역을 강조하는 공간 배치가 팀워크 및 아이디어와 해결책의 생성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The company also saves money because the space requirements of the more open work areas take less square footage than a cubicle plan with aisles.
또한 기업은 더 개방적인 작업 구역의 공간 요구 사항이 통로가 있는 칸막이 한 좁은 공간 배치 보다 더 작은 (평방피트로 계산된) 면적을 차지하기 때문에 돈을 절약한다.
However, many designers and manufacturers find that a blend of collaborative spaces and areas of privacy –although not necessarily private cubicles or offices –has its advantages for many companies.
그러나 많은 설계 회사와 시공 회사는 협력 공간과, 반드시 개인적인 칸막이 한 좁은 공간이나 개인 사무실은 비록 아니더라도, 사적인 공간을 조합하는 것이 많은 기업에 이점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23-2. 소재: 사진작가의 자기 홍보에 있어서 웹사이트의 유용성
23-2. 소재: 사진작가의 자기 홍보에 있어서 웹사이트의 유용성
Websites are steadily becoming more important in the photographer's self-promotion repertory.
웹사이트는 사진작가의 자기 홍보 목록에 있어서 꾸준히 더 중요해지고 있다.
If you have a good collection of digital photographs –whether they have been scanned from film or are from a digital camera –you should consider creating a website to showcase samples of your work,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work you do, and display your contact information.
여러분이 필름에서 스캔한 것이든,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것이든, 괜찮은 디지털 사진 모음을 가지고 있다면, 여러분의 작품 샘플을 보여 주고, 하는 일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연락처를 올려놓기 위한 웹사이트를 만드는 것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The website does not have to be elaborate or contain every photograph you've ever taken.
웹사이트는 정교하게 만들어지거나 여러분이 찍은 모든 사진을 포함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In fact, it is best if you edit your work very carefully and choose only the best images to display on your website.
사실, 매우 주의를 기울여 작품을 편집하여 웹사이트에 전시할 최고의 이미지만 고른다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The benefit of having a website is that it makes it so easy for photo buyers to see your work.
웹사이트를 갖는 것의 장점은 사진을 사는 사람들로 하여금 여러분의 작품을 보는 것이 매우 쉽도록 해 준다는 것이다.
You can send e-mails to targeted photo buyers and include a link to your website.
목표로 하는 사진 구매자에게 이메일을 보내 여러분의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를 넣을 수도 있다.
Many photo buyers report that this is how they prefer to be contacted.
많은 사진 구매자들은 이것이 선호하는 연락 방식이라고 말한다.
Of course, your URL should also be included on any print materials, such as postcards, brochures, business cards, and stationery.
물론, 여러분의 URL은 엽서, 안내 책자, 명함, 편지지와 같은 인쇄물에도 포함되어야 한다.
Some photographers even include their URL in their credit line.
어떤 사진작가들은 심지어 자신의 URL을 크레디트 라인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23-3. 소재: 스튜디오 예술가의 자질
23-3. 소재: 스튜디오 예술가의 자질
A studio artist works like a novelist.
스튜디오 예술가는 소설가처럼 일한다.
He or she may pay a great deal of attention to the details of everyday visible reality, but what he or she adds to those observations is the something else, the shaping form supplied by his or her genius.
그 혹은 그녀는 매일 볼 수 있는 현실의 세부적인 것들에 많은 관심을 기울일 수도 있지만, 그들이 그러한 관찰들에 더하는 것은 '다른 어떤 것', 즉 그 혹은 그녀의 천재성에 의해 제공되는 구체화된 형태이다.
The details figure in, but they are not the main point.
그 세부적인 것들이 역할을 하기는 하겠지만, 그것들이 요점은 아니다.
Walker Evans wrote in an undated note to himself that anyone who goes to Botticelli to learn about the dress and manners of the fifteenth century is a pedant and a fool.
Walker Evans는 자신이 보려고 적어둔 날짜 없는 쪽지에 15세기의 복장과 매너를 배우기 위해 Botticelli에게 가는 누구든 현학자이며 바보라고 썼다.
Few scholars of the future who look at Jan Groover's breakthrough still-life arrangements of kitchen utensils will spend much time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the colander in the 1970s.
Jan Groover가 주방 기구를 획기적인 정물화 기법으로 배열한 것을 보는 미래의 학자들 중 1970년대 여과기 개발을 생각하며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The main point is not a compilation of facts about the objects seen, but the genius of their combination into an original composition.
요점은 보이는 사물에 대한 사실의 모음이 아니라, 그들이 독창적인 구성으로 (보이는 사물을) 결합하는 천재성이다.
23-4. 소재: 영화와 건축물
23-4. 소재: 영화와 건축물
Filmmakers, with the help of production designers, art directors, location managers, and countless other members of cast and crew, insert architecture into their films.
영화 제작자들은 프로덕션 디자이너, 미술 감독, 야외 촬영 감독, 그리고 수많은 다른 출연진과 제작진의 도움으로 자신들의 영화에 건축물을 끼워 넣는다.
On a practical level, architecture sets a scene, conveying information about plot and character while contributing to the overall feel of a movie.
현실적인 면에서 보면, 건축물은 어떤 장면의 배경이 되며, 영화의 전반적인 분위기에 기여하면서 줄거리와 등장인물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In more discreet ways, filmmakers can use their cameras to make statements about the built –or unbuilt –environment, or use that environment to comment metaphorically on any of a variety of subjects, from the lives of the characters in their films to the nature of contemporary society.
더 신중하게 말하면, 영화 제작자들은 카메라를 사용하여 지어진 –혹은 지어지지 않은 –배경에 대해 얘기하거나, 그 배경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삶에서부터 그 당시 사회의 특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의 어떤 것에 대해서든 비유적으로 언급할 수 있는 것이다.
Architects, for their part, create not only the structures that appear in films but the structures in which films appear –theaters –and the very infrastructure that supports the film industry.
건축가들은 그들 본연의 역할대로 영화에 등장하는 구조물뿐만 아니라, 영화가 상영되는 구조물, 즉 영화관과 영화 산업을 지원하는 바로 그 기반 시설도 만들어 낸다.
24-1. 소재: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교육의 필요성
24-1. 소재: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교육의 필요성
Why must we keep insisting that education is primarily academic in nature?
우리는 왜 교육이 본질적으로 주로 학문적이라고 계속 주장해야 하는가
Why is there a hierarchical structure of education that places academia at the top and the art at the bottom?
왜 학구적 세계는 상위에, 예술은 하위에 두는 계층적인 교육 구조가 존재하는가
Learning takes many forms.
학습에는 많은 형태가 있다.
Children do not all learn in the same way.
어린이들이 모두 같은 방식으로 배우는 것은 아니다.
You cannot seat them all behind desks in a classroom, dictate information to them and expect them to absorb all of it like a sponge.
여러분은 그들 모두를 교실 책상 뒤에 앉혀서, 정보를 받아쓰게 하고 스펀지처럼 그 모두를 흡수하기를 바랄 수 없다.
Some will do well learning in this way. A great deal will not.
일부는 이런 방식으로 학습을 잘할 것이다. 상당수는 그렇지 않을 것이다.
The latter of these children prefer to learn with their bodies, with their hearts and with their imaginations.
후자의 이 어린이들은 자신들의 몸으로, 자신들의 마음으로, 그리고 자신들의 상상력으로 배우는 것을 선호한다.
They are the dancers, the runners, the singers, the actors, and the writers.
그들은 댄서, 달리기 선수, 가수, 배우, 그리고 작가들이다.
They are absolutely wonderful people who give so much joy and happiness to others, yet we do not value them as we should.
그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아주 많은 기쁨과 행복을 주는 매우 멋진 사람들이지만, 우리는 마땅히 그래야 하는 것처럼 그들을 소중히 여기지 않는다.
Instead, we reprimand them for not fitting in with the other mob.
대신, 우리는 그들이 다른 무리와 어울리지 못한다고 질책한다.
24-2. 소재: 정보화 시대에 학교가 직면한 도전
24-2. 소재: 정보화 시대에 학교가 직면한 도전
As society continues to rapidly change due to the evolution of a global economy and advances in technology, schools continue to function in the same way as they did 100 years ago.
세계 경제의 발전과 기술 진보에 의해 사회가 계속 빠르게 변화할 때, 학교는 100년 전에 작동했던 바와 같은 방식으로 계속 작동하고 있다.
Students, teachers, and leaders are changing as a result of the proliferation of technology in the real world.
학생, 교사, 그리고 지도자들은 현실 세계에서 기술 확산의 결과로 변화하고 있다.
Our information society needs people who can effectively manage and use ever-increasing amounts of information to solve complex problems and to make decisions in the face of uncertainty.
우리의 정보 사회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불확실성에 직면해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계속 증가하는 양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운용하고 사용할 수 있는 사람들을 필요로 한다.
This presents a bit of a paradox as the concept of schools as the traditional factory model of education is incompatible with the evolving demands of the information age.
이것은 교육의 전통적인 공장 모형으로서의 학교의 개념이 정보화 시대의 진화하는 요구에 부합되지 못하기 때문에 약간의 역설을 제시한다.
Despite decades of national, state, and local promotion of educational uses of technology, classroom practice in most schools has changed little from that of the mid-20th century.
수십 년 동안 국가, 주, 그리고 지역 사회가 기술을 교육에 사용하는 것을 장려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교에서 교실 관행은 20세기 중반의 관행에서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This challenge is compounded by issues related to aging infrastructure, inequity in funding, and a global focus on standardization.
이런 도전은 노후해지는 사회 기반 시설, 재정 지원의 불공평함, 그리고 표준화에 대한 세계적인 주목과 관련된 문제들에 의해 더 심각해진다.
24-3. 소재: 교사가 될 준비를 위해 필요한 것들
24-3. 소재: 교사가 될 준비를 위해 필요한 것들
A common misconception among students of education is that if they pass the required courses, everything will work when they enter the classroom.
교직을 이수하는 학생들 사이의 흔한 오해는 만일 그들이 필수 과목들을 이수하면, 그들이 교실에 들어갈 때 모든 것이 잘 되리라는 것이다.
However, the students you will work with are unique in time and in the environment in which you actually encounter them.
그러나 여러분들이 함께 공부할 학생들은 시간 면에서 또한 여러분이 그들을 실제로 만나는 환경 면에서 고유하다.
Your teacher education program can prepare you for what things will be "like", but it is only a representation of the reality you will experience.
여러분의 교사 교육 프로그램은 여러분에게 상황이 무엇과 '같게' 될지에 대해 대비하게 해 줄 수 있지만, 그것은 여러분이 경험할 현실의 묘사일 뿐이다.
You can be prepared, but ultimately you will have to observe, assess and adjust on your own.
여러분은 '준비될'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 여러분은 스스로 관찰하고, 평가하고, 적응해야 할 것이다.
Although some people do seem to have a knack for teaching, what they really have is a talent for communicating.
몇몇 사람들이 가르치는 재주를 정말로 가지고 있는 것 같지만 그들이 정말로 가진 것은 의사 전달의 재능이다.
Who can criticize a nice knack like that?
누가 그렇게 좋은 재주를 비판할 수 있겠는가
Yet, teaching in a school requires more than just being a good communicator.
그러나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은 그저 의사 전달을 잘하는 사람이 되는 것 이상을 필요로 한다.
It requires being able to teach some very specific information and skills under some rather specific conditions of time, place, available materials.
그것은 시간, 장소, 사용 가능한 자료의 몇 가지 상당한 구체적인 조건 하에서 몇 가지 매우 구체적인 정보와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것을 요구한다.
24-4. 소재: 상황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
24-4. 소재: 상황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
In a movie of long ago, Sleeper, the protagonist wakes up from a several-hundred-year sleep understandably malnourished and disoriented.
오래전 영화 '슬리퍼(Sleeper)'에서 주인공은 수백 년의 잠에서 당연히도 영양실조와 혼란에 빠진 상태로 깨어난다.
His doctors are overheard planning a high-potency diet of sugar-laden goods for him, shaking their heads at the "primitive" beliefs that the medical establishment once held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at vegetables were good for you.
그는 자신을 담당하는 의사들이 의료계가 과거 21세기에 가지고 있었던, 채소가 몸에 좋다는 '원시적인' 믿음을 부정하면서, 자신을 위해 설탕이 잔뜩 든 음식으로 이루어진 고효능 식단을 계획하고 있다는 것을 우연히 듣는다.
Now, they say, everyone knows that they cause cancer.
채소가 암을 일으킨다는 것을 이제는 누구나 알고 있다고 그들은 말한다.
While intended to be funny, that scene captures the dilemma you face when evaluating information and research to guide your behavior.
재미를 위해 의도된 것이지만, 그 장면은 여러분의 행동을 이끌 정보와 연구 자료를 평가할 때 직면하는 딜레마를 포착한다.
It is not enough to hear experts tell you things unless you evaluate them for yourself.
여러분이 상황을 스스로 평가하지 않는 한, 전문가들이 여러분에게 그것들[상황]을 말하는 것을 듣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다.
On one hand, you should exhibit healthy skepticism toward ideas that conflict with what you think you already know, or what has been grounded in your experience.
한편으로는, 여러분은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나 자신의 경험에 근거한 것과 충돌하는 생각에 대해 건전한 의심을 보여 주어야 한다.
Yet, on the other hand, you should force yourself to remain open to new ideas that may actually be more accurate and useful.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여러분은 실제로 더 정확하고 유용할 수 있는 새로운 생각에 자기 자신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해야 한다.
25-1. 소재: 의사소통의 의미
25-1. 소재: 의사소통의 의미
Communication is not merely a matter of producing effects on other communicators; it is one of actually engaging with them.
의사소통은 단순히 다른 의사 소통자에게 영향을 주는 문제가 아니라, 실제로 그들과 관계를 맺는 문제이다.
Communicating is a kind of sharing.
의사소통은 일종의 공유이다.
When two people communicate rather than "talk at each other", they come to have something in common.
두 사람이 ('서로에게 일방적으로 말하기'보다는) 의사소통을 할 때 그들은 무언가를 공유하게 된다.
They must start with something in common, too, even if this is only the language they share.
공통점이 그들이 공유하는 언어뿐이더라도, 그들은 또한 공통점을 가지고 시작해야 한다.
Communication does not demand complete agreement or acceptance, but it does demand understanding.
의사소통은 완전한 합의 또는 수용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이해를 진정 요구한다.
When put into language, my thoughts, ideas, notions, and beliefs are no longer mine alone assuming they ever were.
언어를 표현될 때, 내 생각, 사상, 개념, 그리고 신념은 (전에는 혹시 그랬다고 추정하더라도) 더 이상 내 것만은 아니다.
They have been put into a form in which they can be shared.
그것들은 공유될 수 있는 형태로 표현되었다.
The primary aim of language use is understanding; all of the other effects my linguistic actions may have on other people getting my listeners to agree with me, to obey my orders, to trust me, or whatever only come about because what I have tried to communicate has been understood.
언어 사용의 주요 목표는 이해인데, 내 언어활동이 다른 사람들에게 미칠지도 모르는 다른 모든 영향(듣는 사람이 내게 동의하게 하거나, 내 명령에 복종하게 하거나, 나를 신뢰하게 하거나, 혹은 그 무엇이더라도)은 내가 전달하려고 했던 것이 이해되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일 뿐이다.
25-2. 소재: 계승되기 위한 구전 문학의 특성
25-2. 소재: 계승되기 위한 구전 문학의 특성
Human memory limits which cultual variants can be remembered and transmitted successfully.
인간의 기억력은 어떤 문화적 변형이 성공적으로 기억되고 전달될 수 있는지를 제한한다.
People are unlikely to retain information that is easily forgotten or misremembered, particularly in cultures relying on an oral tradition.
사람들은, 특히 구전에 의존 하는 문화에서는, 쉽게 잊히거나 잘못 기억되는 정보를 (온전히) 보존할 가능성이 적다.
David Rubin, a professor at Duke University, provided a brilliant account of how the cognitive structure of memory affects the content of oral traditions such as epic ballads or counting-out rhymes.
듀크대학교 교수인 David Rubin은 기억 의 인지적 구조가 서사 발라드나 술래 뽑기 노래와 같은 구전의 내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훌륭한 설명을 했다.
As one example of his approach, he used work on imagery in cognitive psychology to argue that epic ballads such as the Iliad or Odyssey tend to focus on concrete, easily visualized actions because people find it easier to remember events that are concrete and easy to visualize.
그의 접근법의 한 예로, 그는 인지 심리학의 심상에 관한 연구를 이용하여, 사람들이 구체적이고 시각화하기 쉬운 사건을 기억하는 것이 더 쉽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일리아드'나 '오디세이'와 같은 서사 발라드는 구체적이고 쉽게 시각화할 수 있는 행동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
Homer is filled with concrete action, not because the Greeks had trouble with abstraction but because the constraint of human memory makes concrete images more likely to survive generation after generation of oral transmission.
호머(의 작품)는 구체적인 행동으로 가득 차 있는데, 이는 그리스인들이 추상적 관념에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 기억력의 제약으로 인해 구체적인 행동으로 가득 차 있는데, 이는 그리스인들이 추상적 관념에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 기억력의 제약으로 인해 구체적인 이미지가 자손 대대로 구전되어 살아남을 가능성이 더 있기 때문이다.
25-3. 소재: 식탁 공유를 통한 집단 정체성 확인
25-3. 소재: 식탁 공유를 통한 집단 정체성 확인
Even the peasant family defines its own identity at the table.
심지어 소작농 가족들도 식탁에서 그들 자신의 정체성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To live on one bread and once wine, that is, to share food, is in medieval language an almost technical way of signifying that one belongs to the same family.
'한 가지의 빵과 한 가지의 포도주를 먹고 사는 것,' 즉 음식을 공유하는 것은 중세의 언어로 어떤 사람이 동일한 가족에 속한다는 것을 거의 기술적인 방식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Even today in different dialectal expressions, the house is identified with the food that allows the domestic community to live there together:
오늘날에도 다양한 방언 표현 속에서 집은 가정의 공동체가 그곳에서 함께 살 수 있도록 해 주는 음식과 동일시된다.
Let's go home (andiamo in casa) in the traditional vocabulary of the Romagna region meant, "Let's go into the kitchen."
즉, Romagna 지역의 전통 어휘로 '집에 가자'(andiamo in casa)는 '부엌으로 들어가자'는 뜻이었다.
On all social levels sharing a table is the first sign of membership in a group.
모든 사회적 계층에서 식탁을 공유하는 것은 집단의 구성원 자격의 첫 번째 표시이다.
That might be the family but also a broader community –each brotherhood, guild, or association reasserts its own collective identity at the table.
그것은 가족일 수도 있지만 더 넓은 공동체일 수도 있는데 각각의 성직자 단, 조합 또는 협회는 식탁에서 자신의 집단 정체성을 다시 분명히 한다.
Every monastic community demonstrates its intimacy in the refectory where all are supposed to share the meal from which are temporarily excluded only the excommunicated –those who are impure because they have some guilt.
모든 수도원 공동체는 모두가 식사를 같이 하기로 되어 있는 식당에서 자신들의 적대감(친밀감)을 보여 주는데, 파문당한 사람들, 즉 죄로 인해 순수하지 못한 사람들만 일시적으로 그 식사에서 제외된다.
25-4. 소재: 개념의 부호화 가능성
25-4. 소재: 개념의 부호화 가능성
The Arabic language doesn't have a single word for compromise, which some have said is the reason that Arabs seem to be unable to reach a compromise.
아랍어에는 '타협'에 해당하는 하나로 된 단어가 없는데, 어떤 사람들은 이것이 아랍인들이 타협에 이를 수 없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라고 말했다.
Yet, the Arabic language does provide several ways to articulate the concept of compromise, the most common being an expression that translates in English to "we reached a middle ground."
그러나 아랍어는 타협이라는 개념을 분명 하게 표현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정말로 제공하는데, 가장 일반적인 것은 영어로 '우리는 중간 입장[타협안]에 도달했다.'라고 번역되는 표현이다.
This example illustrates codability, which refers to the ease with which a language can express a thought.
이 예는 부호화 가능성을 설명하는데, 그것은 언어가 사고를 표현할 수 있는 용이성을 가리킨다.
When a language has a convenient word for a concept, that concept is said to have high codability.
어떤 언어가 어떤 개념에 해당하는 사용하기 좋은 단어를 가지고 있으면, 그 개념은 높은 부호화 가능성을 가진다고 말한다.
Thus the existence of the word compromise gives that idea high codability in English.
따라서 '타협'이라는 단어의 존재는 영어에서 그 개념에 높은 부호화가능성을 부여한다.
When a concept requires more than a single word for its expression, it possesses lower codability.
어떤 개념이 그것을 표현하는 데 한 단어가 넘게 필요하다면, 그 개념은 더 낮은 부호화 가능성을 지닌다.
It is accurate, then, to say that the idea of compromise has lower codability in Arabic than in English.
그렇다면, 타협이라는 개념은 영어에서보다 아랍어에서 더 낮은 부호화 가능성을 가진다고 말하는 것은 정확하다.
However, having a phrase rather than a single word to express an idea does not mean that the idea is nonexistent in a given culture, only that it is less easily put into the language code.
하지만 어떤 개념을 표현하는 하나로 된 단어가 아니라 구(句)를 가진다는 것은 해당 문화에 그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그 개념이 그 언어 부호로 덜 쉽게 표현된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다.
26-1. 소재: 유무형의 문화유산의 복원과 체험을 위한 가상 기술의 활용
26-1. 소재: 유무형의 문화유산의 복원과 체험을 위한 가상 기술의 활용
Virtual representation of cultural heritage means using technologies, such as digital photography, 3D information acquisition, multimedia, and virtual reality, to create a virtual situation that can allow experience to a cultural heritage, which can provide the protection and spread of the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의 가상 재현이란, 문화유산에 대한 경험을 가능하게 해 줄 수 있는 가상의 상황을 만들어 내기 위해 디지털 사진술, 3D 정보 수집, 멀티미디어, 가상현실과 같은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문화유산의 보호와 전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For material cultural heritage, such as relics, groups of buildings and ruins, we can use virtual representation technology to restore the appearance of cultural heritage by the models in real life and display it comprehensively.
유물, 건물더미, 유적과 같은 물질적 문화유산의 경우, 우리는 실제 생활 속에 있는 모형에 근거하여 그 문화유산의 모양을 복원하고 완성된 상태로 전시하기 위해 가상 재현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 look to find the best way based on its features to reconstruct and integrate forms of visual or experience by making intangible into tangible.
무형(無形)의 문화유산의 경우에는, 무형의 것을 유형의 것으로 만듦으로써 영상 자료나 경험의 형태를 재구성하고 통합하기 위해 그 문화유산의 특성들에 근거한 최선의 방법을 찾기를 기대한다.
In addition, we can combine material cultural heritage wi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make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cultural heritage more three-dimensional and deeper.
또한, 우리는 물질적 문화유산과 무형의 문화유산을 결합시켜서 문화유산의 보존과 전수를 보다 입체적이고 더 심도 있게 만들 수도 있다.
26-2. 소재: 자동차와 운전자의 관계에 관한 전망
26-2. 소재: 자동차와 운전자의 관계에 관한 전망
As cars are becoming less dependent on people, the means and circumstances in which the product is used by consumers are also likely to undergo significant changes, with higher rates of participation in car sharing and short-term leasing programs.
자동차가 사람에게 덜 의존하게 됨에 따라, 자동차 공유와 단기 임대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비율이 높아지면서 그 제품이 소비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방식과 환경 또한 상당한 변화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
In the not-too-distant future, a driverless car could come to you when you need it, and when you are done with it, it could then drive away without any need for a parking space.
그리 머지않은 미래에 운전자가 필요 없는 자동차(자율주행 자동차)는 여러분이 필요할 때 올 것이고 여러분이 그것의 사용을 끝내면 그것은 그런 다음 주차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떠나가 버릴 수 있다.
Increases in car sharing and short-term leasing are also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decrease in the importance of exterior car design.
자동차 공유와 단기 임차의 증가는 또한 자동차의 외부 디자인이 가진 중요성이 이에 상응하여 감소하는 것과 연관될 가능성이 높다.
Rather than serving as a medium for personalization and self-identity, car exteriors might increasingly come to represent a channel for advertising and other promotional activities, including brand ambassador programs, such as those offered by Free Car Media.
자동차의 외부는 개인화와 자아 정체성의 매체로 역할을 하기보다는, Free Car Media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이 브랜드 홍보 대사 프로그램을 포함한 광고와 다른 홍보 활동을 위한 수단을 점차 대표하게 될 것이다.
As a result, the symbolic meanings derived from cars and their relationship to consumer self-identity and status are likely to change in turn.
결과적으로 자동차에서 끌어내는 상징적인 의미와 그것들이 소비자의 자아 정체성과 지위와 맺는 연관성은 결국 변할 가능성이 높다.
26-3. 소재: 인터넷과 사고
26-3. 소재: 인터넷과 사고
My own reading and thinking habits have shifted dramatically since I first logged on to the Web fifteen years ago or so.
15년 전쯤에 처음으로 인터넷에 로그온 한 이후로, 내 자신의 독서와 사고 습관은 크게 바뀌었다.
I now do the bulk of my reading and researching online.
나는 이제 독서와 조사의 대부분을 온라인으로 한다.
And my brain has changed as a result.
그리고 결과적으로 내 두뇌가 바뀌었다.
Even as I've become more adept at navigating the rapids of the Net, I have experienced a steady decay in my ability to sustain my attention.
인터넷의 (정보가 빠르게 흐르는) 급류를 항해하는데 더 능숙해진 바로 그 순간에, 나는 주의 집중을 유지하는 능력이 꾸준히 감퇴하는 것을 경험해 왔다.
As I explained in the Atlantic in 2008, "What the Net seems to be doing is chipping away my capacity for concentration and contemplation.
2008년 Allantic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인터넷이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집중력과 숙고를 위한 나의 능력을 조금씩 깎아 내는 것이다.
My mind now expects to take in information the way the Net distributes it: in a swiftly moving stream of particles."
내 마음은 이제 인터넷이 정보를 배포하는 방식으로, 즉 빠르게 움직이는 입자의 흐름 속에서 정보를 받아들이기를 기대한다."
Knowing that the depth of our thought is tied directly to the intensity of our attentiveness, it's hard not to conclude that as we adapt to the intellectual environment of the Net our thinking becomes shallower.
사고의 깊이가 우리의 주의 집중의 강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우리가 인터넷의 지적 환경에 적응함에 따라 우리의 사고가 더 피상적이게 된다고 결론짓지 않기가 어렵다.
26-4. 소재: 인지 컴퓨팅
26-4. 소재: 인지 컴퓨팅
Cognitive computing is supported by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which allows computers to autonomously learn from data.
인지 컴퓨팅은 머신 러닝과 딥러닝 기술에 의해 지원되는데, 그것은 컴퓨터들이 데이터로부터 자율적으로 학습하도록 한다.
This technology means computers can change and improve their algorithms by themselves, without being explicitly programmed by humans.
이 기술은 컴퓨터가 인간에 의해 명시적으로 프로그램화되지 않고도 혼자서 자신들의 알고리듬을 변화시키고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How does it work?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는가
Put simply, if we give the computer a picture of a cat and a picture of a ball, and show it which one is the cat, we can then ask it to decide if subsequent pictures contain cats.
간단히 말해, 만일 우리가 컴퓨터에게 고양이 사진과 공 사진을 주고 어떤 사진이 고양이인지 알려주면, 우리는 그것에게 뒤에 나오는 사진들에 고양이가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The computer compares other images to its training data set (i.e. the original cat image) and comes up with an answer.
컴퓨터는 다른 이미지들을 자신의 훈련용 데이터 세트(즉 원래의 고양이 이미지)와 비교하고 답을 찾아낸다.
Today'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can do this unsupervised, meaning they do not need their decisions to be pre-programmed.
오늘날의 머신 러닝 알고리듬은 이것을 자율적으로 할 수 있는데 그것은 그것들의 결정이 미리 프로그램화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same principle applies to even more complex tasks, albeit with a much larger training set.
비록 훨씬 더 큰 훈련용 세트가 있어야 하긴 하나, 같은 원리가 훨씬 더 복잡한 과업에도 적용된다.
Google's voice recognition algorithms, for instance, work from a massive training set, but it's still not nearly big enough to predict every possible word, phrase or question.
예를 들어 구글의 음성 인식 알고리듬은 대량의 훈련용 세트로 작동하지만 그것은 여전히 가능한 모든 단어, 구, 혹은 질문을 예측하기에는 전혀 충분히 크지 않다.
27-1. 소재: 추종자들의 기대에 부합하기 위한 지도자들의 책임
27-1. 소재: 추종자들의 기대에 부합하기 위한 지도자들의 책임
For leader, eternally in the spotlight, the most important ingredient for gaining followers' confidence is to live up to expectations, particularly the expectations they have created themselves.
추종자들의 기대에 부합하기 위한 지도자들의 책임 끊임없이 주목을 받는 위치에 있는 지도자들에게 있어, 추종자들의 신뢰를 얻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기대, 특히 그들 스스로가 만들어 낸 기대에 부응하는 것이다.
Leaders need to do what they promise and practice what they preach.
지도자들은 그들이 약속한 일을 하고, 그들이 역설한 바를 실행에 옮겨야 한다.
Followers are very sensitive to leaders who seem to go back on their word and/or don't take their own medicine.
추종자들은 자신의 약속을 어기는 것처럼 보이고, 그리고/또는 못마땅한 것을 받아들이지 않는 지도자들에 대해 매우 민감하다.
In many languages, the saying is that confidence "comes by foot and leaves by horse," which goes to show that the speed at which confidence can crumble has been known to humanity for a long time.
여러 언어에, 신뢰는 '발로 걸어와서 말을 타고 떠난다'라는 속담이 있는데, 이것은 신뢰가 허물어질 수 있는 속도가 (얼마나 빠른지가) 인류에게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는 것을 보여 주는 데 도움이 된다.
Therefore, leaders need to safeguard the faith that people have in them by acting in accordance with the expectations they have raised themselves –they need to "walk the talk" instead of only being the "sage on stage" who has all the wise words but exhibits few of the wise deeds.
그러므로, 지도자들은 그들 스스로가 키운 기대에 부합되게 행동함으로써 사람들이 그들에 대해 가지고 있는 믿음을 지킬 필요가 있다.
they need to "walk the talk" instead of only being the "sage on stage" who has all the wise words but exhibits few of the wise deeds.
그들은 현명한 말만 잔뜩 늘어놓고 현명한 행동은 거의 보여주지 않는 그저 '무대 위의 현자(賢者)'만 되지 말고 '말한 것을 실천할' 필요가 있다.
27-2. 소재: 두려움의 긍정적 기능
27-2. 소재: 두려움의 긍정적 기능
There are physiological processes that take place when we are faced with something that scares us.
우리가 두려움을 주는 것에 직면할 때 발생하는 생리적 과정이 있다.
When we're frightened, the brain releases two groups of chemicals, endocannabinoids and opioids.
우리가 두려워지면 두뇌는 두 종류의 화학 물질인 엔도칸나비노이드와 오피오이드를 방출한다.
As they surge through our systems, these chemicals keep us from feeling pain and give us a rush of energy and clarity that can help us when we need it most.
이 화학 물질들이 우리 체내에 차오를 때, 그것들은 우리가 고통을 느끼는 것을 막아 주고, 가장 필요한 순간에 우리를 도울 수 있는 갑자기 치밀어 오르는 에너지와 사고력의 명확성을 제공한다.
You've heard of average-size mothers finding the strength to pull heavy objects off their children before they're crushed.
여러분은 보통 체구의 어머니가 자신의 아이들이 깔리기 전에 그들에게서 무거운 물체를 당겨 끌어내는 힘을 찾아낸 것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
That's adrenaline, one of the hormones triggered by fear.
그것은 두려움에 의해 촉발된 호르몬 중 하나인 아드레날린이다.
Many survivors of natural disasters and plane crashes talk about how in the heat of the moment, they just did what they had to do, without awareness of their injuries or any feeling of loss of control.
자연재해 및 비행기 추락 사고의 많은 생존자들은 흥분한 순간에 부상에 대한 인식이나 통제력 상실에 대한 어떤 감정도 없이 어떻게 그들이 해야 하는 일을 바로 해냈는지에 관해 이야기를 한다.
In these cases, fear actually enables people to take extreme measures in order to survive.
이러한 경우 두려움은 실제로 사람들이 생존하기 위해 극단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27-3. 소재: 상황 단서
27-3. 소재: 상황 단서
Several studies find situational cues can radically change people's mental set about what is normatively appropriate in a social dilemma.
몇몇 연구는 상황 단서가 사회적 딜레마에서 무엇이 규범적으로 적절한지에 관한 사람들의 마음가짐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For example, different groups of students in one study played a dilemma game according to identical rules, with only the name of the game varying.
예를 들어, 한 연구에서 여러 학생 집단이 게임의 이름만 달리한 채로 동일한 규칙에 따라 딜레마 게임을 했다.
Students were much more generous and cooperative when the game was called the "Community Game" than when the same game was labeled the "Wall Street Game."
학생들은 동일한 그 게임이 '월스트리트 게임'이라고 불릴 때보다 '커뮤니티 게임'이라고 불릴 때 훨씬 더 관대하고 협조적이었다.
In an even more subtle manipulation of social norms, half the students in one experiment were primed for interdependence (by completing sentences containing words such as "group," "friendships," or "together") while the other half were primed for independence (by completing sentences containing words such as "independent," "individual," or "self-contained").
사회 규범을 훨씬 더 미묘하게 조작한 가운데, 한 실험의 학생의 절반은 ('집단,' '우정,' 또는 '함께'와 같은 단어를 포함하는 문장을 완성함으로써) 상호 의존성에 대한 사전 정보를 얻고 있었지만, 나머지 절반은 ('독립적인,' '개인적인,' 또는 '자족적인'과 같은 단어를 포함하는 문장을 완성함으로써) '독립성'에 대한 사전 정보를 얻고 있었다.
The students who were primed for interdependence were later more cooperative and trusting in a public-goods dilemma.
상호 의존성에 대한 사전 정보를 얻은 학생들은 나중에 공공재의 딜레마에서 더 협조적이었고 다른 사람을 더 신뢰하였다.
27-4. 소재: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얻은 조언
27-4. 소재: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얻은 조언
Consider social media.
소셜 미디어를 생각해보라.
Let's say it's Friday night and you plan to go to the cinema, but you are not sure what to see.
금요일 밤이어서 여러분은 영화를 보러 갈 계획이지만, 무엇을 봐야 할지 모른다고 하자.
You ask your online friends for their advice.
여러분은 온라인 친구들에게 조언을 구한다.
Ten people comment, and seven of them suggest The Theory of Everything.
열 명이 견해를 밝히고, 그 중 일곱 명이 The Theory of Everything을 제안한다.
Did seven people like The Theory of Everything so must that the movie instantly came to mind when they commented on your post?
일곱 명이 The Theory of Everything을 너무 좋아해서 그들이 여러분의 글에 견해를 밝혔을 때 그 영화가 즉시 마음에 떠올랐을까
Maybe. Here is another possibility:
어쩌면 그럴 수도 있다. 여기 또 다른 가능성이 있다.
one friend recommended the movie on your page and the others were then biased in that direction.
한 친구가 여러분의 페이지에 그 영화를 추천했고, 그러자 다른 친구들은 그쪽으로 마음이 기울어졌다.
Once a friend or two recommended the film, other friends who did not like the movie as much refrained from saying so, or even avoided recommending a different film so as not to offend the others or stand out as a black sheep.
일단 친구 한두 명이 그 영화를 추천하면, 그 영화를 그만큼 좋아하지 않는 다른 친구들은 그렇게 말하는 것을 삼가거나, 또는 다른 사람들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거나 말썽꾼으로 두드러지지 않도록 심지어 다른 영화를 추천하는 것조차 피했다.
28-1. 소재: 운반 가능한 가치 저장소로서의 돈의 특징
28-1. 소재: 운반 가능한 가치 저장소로서의 돈의 특징
One of the most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money is that it acts as an easily transportable store of value.
돈의 가장 근본적인 특징 중 하나는 그것이 쉽게 운반 가능한 가치 저장소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The fruits of our labor can be held in a crystallized form — instead of exchanging work directly for goods, we exchange it for cash, which can then be spent at our convenience.
우리가 하는 노동의 결실은 구체적인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노동을 직접 상품과 교환하는 대신에, 우리는 그것을 현금으로 교환하고, 그 후 그 것은 우리가 편한 때 사용될 수 있다.
Money therefore holds value the same way a battery holds energy, and makes it movable both in time and space (unlike some other stores of value, such as land).
따라서 돈은 배터리가 에너지를 보유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가치를 유지하고, (토지와 같은 일부 다른 가치 저장소와는 달리) 시간과 공간 모두에서 가치를 움직일 수 있게 한다.
A paycheck in one’s pocket can be spent whenever and wherever one wants — providing, of course, that someone is willing to accept it.
주머니 속의 급료 지불 수표는 본인이 원하는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물론, 누군가가 기꺼이 그것을 받으려고 한다면 말이다.
To be of use, money must be not just portable but also easily exchangeable.
쓸모 있게 되려면, 돈은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교환할 수 있어야 한다.
28-2. 소재: 지식 사회의 출현
28-2. 소재: 지식 사회의 출현
In recent years, several theorists have considered knowledge as the main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최근 몇 년 동안에 여러 이론가들은 지식을 경쟁우위의 주요 원천으로 여겨 왔다.
These theorists argue that post-industrial society — and indeed the entire economy — is increasingly based on knowledge production.
이 이론가들은 탈산업화된 사회는, 그리고 사실상 그 경제 전반은, 점점 더 지식 생산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
Therefore, the expression “Knowledge Society” is an apt description of the contemporary world.
그러므로, ‘지식 사회’라는 표현은 현대 세계의 적절한 묘사이다.
The emergence of the knowledge society can be conceptualized on a relative or on an absolute basis in relation to industrial society.
지식 사회의 출현은 산업사회와 비교하여, ‘상대적’이거나 ‘절대적’ 기반 위에서 개념화될 수 있다.
From the relative perspective, the knowledge society is an evolutionary development, where the production of knowledge becomes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the production of tangible goods in the economy.
상대적인 관점에서 볼 때, 지식 사회는 진화상의 발달 단계인데, 거기에서는 지식 생산이 경제 체제 안에서 유형 상품의 생산보다 ‘상대적으로’ 더 중요해진다.
From the absolute perspective, the knowledge society represents a more radical change, because it enables new forms of knowledge socialization and new possibilities to store the output of learning across time and space.
절대적인 관점에서 보면, 지식 사회는 더 근본적인 변화를 보여 주는데, 그 이유는 그것[지식 사회]이 새로운 형태의 지식 사회화와 새로운 가능성들로 하여금 시간과 공간을 가로질러 학습의 산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해 주기 때문이다.
In the absolute approach, knowledge society is contrasted with industrial society as postindustrial society, with capitalism as post-capitalist society, and with modern society as postmodern society.
절대적인 접근법에서 보면, 지식 사회는 탈산업화 사회로서 산업화 사회와, 탈자본주의 사회로서 자본주의와, 탈현대사회로서 현대사회와 ‘대조’된다.
28-3. 소재: 고용 증가에 따른 한계 생산량 체감 현상
28-3. 소재: 고용 증가에 따른 한계 생산량 체감 현상
Suppose a donut store has three workers working in limited, often confined kitchen space.
어느 도넛 가게에 세 명의 직원이 좁고 보통 사방이 막혀있는 주방 공간에서 일하고 있다고 하자.
To increase productivity, the store may want to employ more workers.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그 가게는 더 많은 직원을 고용하고 싶어 할 수 있다.
For a period of time, the workers will help productivity.
일정한 기간, 그 직원들은 생산성(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Over time with each new worker added, production will begin to increase at smaller intervals.
시간이 가면서 새로운 직원이 한 명씩 추가됨에 따라 생산량은 더 작은 간격으로 증가하기 시작할 것이다.
Soon, the workers will start getting in one another’s way, and this will result in negative growth for the store.
곧, 직원들은 서로 방해하기 시작하고 이것은 그 가게의 성장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The workers will have to wait in line to use the machinery, walkway spaces will become crammed with people and raw materials, and the store would turn into one giant mess.
직원들은 기계를 사용하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할 것이고, 통로 공간은 사람들과 원료로 가득할 것이고 가게는 하나의 거대한 난장판으로 변할 것이다.
Consequently, the total product of the store will start diminishing; the marginal product of additional workers will decline because of the amount of labor relative to machinery.
결과적으로, 가게의 전체 생산량이 감소하기 시작할 것이다. 기계와 관련된 노동량 때문에 추가된 직원들의 한계 생산량은 감소할 것이다.
In time, if the store continues to hire more employees, the total product will go to zero due to the lack of store space.
결국, 만일 가게가 더 많은 직원을 계속하여 고용하면, 전체 생산량이 가게 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0이 될 것이다.
28-4. 소재: 노령화에 대한 인식 향상
28-4. 소재: 노령화에 대한 인식 향상
One impact of the growth of the older population is the increased visibility of aging, which results in more awareness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about older people, and about the diversity and uniqueness among older individuals.
노인 인구 증가의 한 가지 영향은, 증가하는 노령화의 가시성인데, 그것은 일반 대중 사이에, 노인들에 대한, 그리고 노인 개개인들의 다양성과 고유성에 대한 더 많은 인식이 생기게 한다.
As older people become more numerous and visible, stereotypical attitudes and discriminatory practices that disadvantage older people are more likely to be established.
노인들이 더 많아지고 눈에 띄게 되면서, 노인들을 불리하게 하는 정형화된 태도와 차별적인 관행들이 도전받을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For example, in comparing magazine advertisements in the year 2014 to those from 1980, we see a marked increase in both the number of ads that feature older people and in the average age of many models.
예를 들어, 2014년의 잡지 광고들과 1980년의 그것들을 비교해 보면, 노인들이 주연으로 출연하는 광고의 수와 많은 모델들의 평균 연령 두 가지 모두에서 뚜렷한 증가가 있다.
While most people in ads are still young, our images of aging are changing along with heightened awareness of the aging of society.
광고 속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여전히 젊기는 하지만, 노령화에 대한 우리의 이미지는 사회의 노령화에 대한 높아진 인식과 함께 변화하고 있다.
There may be no better example of this trend than the skyrocketing popularity of TV personality Betty White, age 92 at the time of this writing.
이 글을 쓰고 있는 시점에 92세의 나이에 TV에 나오는 유명인인 Betty White의 치솟는 인기보다 이런 경향을 더 잘 보여 주는 사례는 없을 것이다.
29-1. 소재: 언어와 음식의 구조적 엄격성의 차이
29-1. 소재: 언어와 음식의 구조적 엄격성의 차이
Food is, indeed, rather like language, but one can be more free with food.
실제로 음식은 언어와 상당히 유사하지만 우리는 음식에 대해서는 더 자유로울 수 있다.
It is not so tightly structured as the elements of language are.
그것은 언어의 요소들이 그런 것만큼 그렇게 엄격하게 구조화되어 있지 않다.
Consider the simplest case: the similarity of combining phonemes into a word and ingredients into a dish.
가장 단순한 경우, 즉 여러 음소를 한 단어로 결합하는 것과 여러 재료를 하나의 요리로 결합하는 것의 유사성을 생각해 보자.
“Tree” has three phonemes: /t/, /r/, and /i/ (/i/ is used to write the “ee” sound in standard sound transcriptions).
‘Tree’에는 /t/, /r/, 그리고 /i/의 세 가지 음소가 있다. (/i/는 표준 발음 표기에서 ‘ee’의 발음을 기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A minimal sort of Texas chili might have three ingredients: beans, chili, and meat.
텍사스 칠리의 최소 유형에는 콩, 칠리, 고기의 세 가지 재료가 들어 있을 것이다.
With the word, if you mispronounce it (dree), drag out one sound (treeee), write it, yell it, or otherwise mangle it, it is still “the same word” to an English speaker.
단어의 경우는, (dree와 같이) 그 단어를 잘못 발음하거나, (treeee처럼) 하나의 소리를 끌거나, 그 단어를 쓰거나, 그 단어를 외치거나 아니면 그 단어를 불분명하게 말해도, 영어 화자에게 그것은 여전히 ‘똑같은 단어’이다.
With the food, tripling the chili, or using a different type of bean, changes the dish materially and provides a quite different experience.
음식의 경우는, 칠리를 세 배로 하거나, 혹은 다른 종류의 콩을 사용하는 일은 그 요리를 상당히 다르게 하고 아주 다른 경험을 제공한다.
To that extent, food is less tightly structured. One does not automatically reduce a range of different experiences to “the same thing.”
그 정도로 음식은 덜 단단히 구조화되어 있다. 우리는 다양한 다른 경험을 ‘똑같은 것’으로 기계적으로 축소하지 않는다.
29-2. 소재: 단일 영양소의 역할에 대한 과장
29-2. 소재: 단일 영양소의 역할에 대한 과장
The role of nutrients has often been interpreted outside the context of the foods, dietary patterns, and broader social contexts in which they are found.
영양소의 역할은 흔히 그것들이 들어 있는 식품의 맥락, 식사 패턴, 그리고 더 넓은 사회적 맥락을 벗어나 해석되어 왔다.
Nutrition experts have, for example, made definitive statements about the role of single nutrients, such as the role of fat or fiber, in isolation from the foods in which we find them.
예를 들어 영양 전문가들은 지방이나 섬유질의 역할 같은 단일 영양소의 역할에 대해, 그런 단일 영양소가 들어 있는 식품과 분리해서 확정적인 진술을 해 왔다.
This singlenutrient reductionism often ignores or simplifies the interactions among nutrients within foods and within the body.
이런 단일 영양소 환원론은 흔히 식품 내, 그리고 신체 내 영양소 간의 상호 작용을 무시하거나 단순화한다.
It has also involved the premature translation of an observed statistical association between single nutrients and diseases into a deterministic or causal relationship, according to which single nutrients are claimed to directly cause, or at least increase the risk of, particular diseases.
그것은 또한 단일 영양소와 질병 간의 관찰된 통계적 연관성을, 결정론적 관계나 인과 관계로 조급하게 해석하는 것을 수반해 왔는데, 그 관계에 따르면 단일 영양소는 특정 질병을 직접 유발하거나, 적어도 그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주장된다.
Nutrition scientists have also tended to exaggerate any beneficial or harmful health effects of single nutrients.
영양학자들은 또한 단일 영양소의 유익하거나 해로운 건강상의 영향은 무엇이나 과장하는 경향이 있었다.
For example, the harmful effects of total fat, saturated fat, and dietary cholesterol — and the benefits of polyunsaturated fats, omega-3 fats, and vitamin D — have all, arguably, been exaggerated, if not in some cases seriously misrepresented, over the years.
예를 들어 몇몇 경우에는 심하게 잘못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총 지방, 포화 지방, 식이성 콜레스테롤의 해로운 영향과 다가 불포화 지방, 오메가3 지방, 비타민 D의 이점은 모두 수년간 거의 틀림없이 과장되어 왔다.
29-3. 소재: 미국 남북 전쟁 시 병사들의 통조림 식품 체험
29-3. 소재: 미국 남북 전쟁 시 병사들의 통조림 식품 체험
Soldiers’ wartime exposure to commercially canned foods, though occasional, generated the beginnings of consumer trust.
가끔이긴 하지만 전시에 병사들이 상업적인 통조림 식품을 체험한 것이 소비자 신뢰의 시작을 가져왔다.
This trust flowed back up the chain of production, providing the first faint signs of wider demand that canners needed in order to innovate and expand.
이런 신뢰가 일련의 생산으로 다시 흘러들어, 혁신하고 발전하기 위해 통조림 제조업자들이 필요로 하는 더 광범위한 수요에 대한 최초의 어렴풋한 조짐을 제공했다.
Tastes were often slow to change when ordinary consumers were given a choice between new products and their go-to standards.
보통의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제품과 그들이 믿을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제품 간의 선택권이 주어지면, 미각은 흔히 더디게 바뀌었다.
But because army men in the American Civil War had little choice when it came to their food supply, they gave new foods a chance and widened their palates to partially accommodate canned foods.
그러나 미국 남북 전쟁에 참전한 병사들은 자신들의 식량 보급에 관한 한 선택권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새로운 식품에 기회를 주었고, 자신들의 감식력을 넓혀 통조림 식품을 부분적으로 수용했다.
After the war, they brought these new preferences home with them.
전쟁 후에 그들은 이런 새로운 선호를 고향으로 가져갔다.
The nature of trust that these battlefield encounters fostered was not yet rooted in scientific certainty,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isks, or knowledge of where the food had come from.
이런 전장에서의 우연한 만남이 조성한 신뢰의 본질은 아직 과학적 확신, 그 위험성에 대한 더 나은 이해, 혹은 그 식품의 출처에 대한 지식에 근거한 것은 아니었다.
Rather, it sprang from exposure and familiarity that made a new kind of food seem worth sampling and its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worth appreciating.
오히려, 그것은 새로운 종류의 식품을 시식할 만한 가치가 있어 보이게 하고 그것의 편리함과 접근성의 진가를 인정할 만한 가치가 있어 보이게 한 체험과 친숙함에서 비롯되었다.
29-4. 소재: 건강에 해로운 행동을 하는 이유
29-4. 소재: 건강에 해로운 행동을 하는 이유
We need to find out why people are not naturally motivated to eat sensibly and take exercise, and why the motivation to consume alcohol or to smoke persists in spite of their harmful effects on the body.
우리는 왜 사람들이 분별 있게 먹고 운동을 하려는 의욕을 자연스럽게 가지지 않는지, 그리고 왜 술을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려는 동기가 신체에 미치는 그것들의 악영향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The probable reason is that good or bad effects are not felt immediately but only several years or even decades later.
그럴듯한 이유는 좋거나 나쁜 영향이 즉각 느껴지지 않고 몇 년 또는 심지어 몇십 년 후에야 느껴진다는 것이다.
With regard to nutrition there is some feedback from research, but it takes a very long time for the results of research to spread through society.
영양에 관해서는 연구로부터의 상당한 정보가 있지만, 연구 결과가 사회 전반에 퍼지는 데는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린다.
The explanation is that the mechanisms of biochemical adaptation oppose clinical manifestations of nutritional imbalances (deficits or excesses of nutrients) and pronounced disturbances or disease arise only after the adaptation reserves have become exhausted.
그 이유는 생화학적 적응 기제가 영양 불균형(영양분의 결핍이나 과잉)의 임상적 징후에 저항하며, 뚜렷한 장애나 질병은 적응 여력이 고갈되고 난 후에야 발생하기 때문이다.
A similar phenomenon is observed with chronic consumption of alcohol and heavy smoking over a long period.
비슷한 현상이 만성적인 음주와 장기간에 걸친 심한 흡연에서 관찰된다.
클래스카드의 다양한 학습을 바로 체험해 보세요!
고객센터
궁금한 것, 안되는 것
말씀만 하세요:)
답변이 도착했습니다.